1. 결재 (決裁) [결째]
한자: 決(결단할 결), 裁(옷마를 재)
결정할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함.
용례:
- 결재 서류.
- 결재가 나다.
- 결재를 받다.
- 결재를 올리다.
2. 경제제재 (經濟制裁) [경제제:재]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制(절제할 제:), 裁(옷마를 재)
특정 국가에 가하는 경제적인 압박 수단. 재외 자산 동결, 무역 봉쇄 따위가 있다.
용례:
- 경제 제재를 가하다.
- 그 나라에 대한 유엔의 경제 제재를 완화했다.
- 유엔 안보리가 전쟁을 일으킨 나라에 대한 경제 제재를 결의했다.
3. 공재 (公裁) [공재]
한자: 公(공평할 공), 裁(옷마를 재)
관청에서 행하는 재판.
4. 관재 (官裁) [관재]
한자: 官(벼슬 관), 裁(옷마를 재)
관청의 결재(決裁).
5. 국제중재 (國際仲裁) [국쩨중재]
한자: 國(나라 국), 際(즈음/가[邊] 제:), 仲(버금 중(:)), 裁(옷마를 재)
국제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제삼자인 국제기관이 분쟁 당사국 사이에 개입하여 분쟁의 해결을 꾀하는 일.
6. 군부독재 (軍部獨裁) [군부독째]
한자: 軍(군사 군), 部(떼 부), 獨(홀로 독), 裁(옷마를 재)
군부가 국가 권력을 도맡아서 강압적으로 다스리는 일.(군사독재)
7. 군재 (軍裁) [군재]
한자: 軍(군사 군), 裁(옷마를 재)
‘군사 재판’(軍事裁判)을 줄여 이르는 말.
8. 기재 (旣裁) [기재]
한자: 旣(이미 기), 裁(옷마를 재)
이미 결정함.
9. 단재 (斷裁) [단:재]
한자: 斷(끊을 단:), 裁(옷마를 재)
옷감이나 재목 따위를 치수에 맞도록 재거나 자르는 일.
10. 독재 (獨裁) [독째]
한자: 獨(홀로 독), 裁(옷마를 재)
「1」특정한 개인, 단체, 계급, 당파 따위가 어떤 분야에서 모든 권력을 차지하여 모든 일을 독단으로 처리함.
「2」민주적인 절차를 부정하고 통치자의 독단으로 행하는 정치. 고대 로마의 체제,
독일의 나치즘, 이탈리아의 파시즘, 일본의 군국주의 따위가 그 전형이다.
용례:
- 「1」독재 정권.
- 「1」국민들은 독재에 항거하여 궐기하였다.
11. 미결재 (未決裁) [미:결째]
한자: 未(아닐 미(:)), 決(결단할 결), 裁(옷마를 재)
아직 결재하지 아니함.
용례:
미결재 서류.
12. 미재 (未裁) [미:재]
한자: 未(아닐 미(:)), 裁(옷마를 재)
아직 재결(裁決)하지 아니함.
13. 민재 (民裁) [민재]
한자: 民(백성 민), 裁(옷마를 재)
‘민사 재판’(민사 사건에 대하여 민사 소송법에 의거하여 법원에서 행하는 재판.)을 줄여 이르는 말.
14. 부총재 (副總裁) [부:총재]
한자: 副(버금 부:), 總(다[皆] 총:), 裁(옷마를 재)
총재에 다음가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총재를 보좌하며 총재의 유고 시에 그를 대리한다.
15. 사적제재 (私的制裁) [사쩍제:재]
한자: 私(사사(私事) 사), 的(과녁 적), 制(절제할 제:), 裁(옷마를 재)
국가 또는 공공의 권력이나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 개인이나 사적 단체가 범죄자에게 벌을 주는 일.
16. 상재 (上裁) [상:재]
한자: 上(윗 상:), 裁(옷마를 재)
「1」임금의 재가(裁可).
「2」상부의 결재.
17. 성재 (聖裁) [성:재]
한자: 聖(성인 성:), 裁(옷마를 재)
임금의 재가(裁可)를 높여 이르는 말.
용례:
신은…기휘(忌諱)에 저촉되는 것에 이르러서는 진실로 어리석은 신이 생각할 겨를이 없습니다. 엎드려 성재를 바랍니다.≪번역 태종실록≫
18. 신재 (神裁) [신재]
한자: 神(귀신 신), 裁(옷마를 재)
신이 인간 행위의 옳고 그름을 가려 결정함.
19. 앙결재 (仰決裁) [앙:결째]
한자: 仰(우러를 앙:), 決(결단할 결), 裁(옷마를 재)
결재를 바람.
20. 양재 (洋裁) [양재]
한자: 洋(큰바다 양), 裁(옷마를 재)
양복을 재단하고 재봉하는 일.
용례:
- 양재 학원.
- 양재 기술.
- 남편이 입지 못하게 된 낡은 옷을 이용해 아이들의 양복을 개조해 주기 위해서는 양재에 관한 책을 읽을 필요가 있을 것이고….≪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 자기는 한 일 년 양재나 미용술을 배워 가지고 따로 자립할 방도를 차리겠다는 것이다.≪염상섭, 순정의 저변≫
21. 예재 (叡裁) [예:재]
한자: 叡(밝을 예:), 裁(옷마를 재)
임금이 결재하여 허락함. 또는 그런 허락.
용례:
이번에 속대전을 찬집하는 일은…후세 자손에게 남겨 주기 위한 성의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 가운데 큰 절목은 이미 예재를 거쳤으니, 다시 의논할 필요가 없으나….≪번역 영조실록≫
22. 오재 (五裁) [오:재]
한자: 五(다섯 오:), 裁(옷마를 재)
병이 있을 때 다섯 가지 맛의 음식을 금하는 일. 병이 힘줄에 있으면 신맛, 기에 있으면 매운맛, 뼈에 있으면 짠맛, 혈에 있으면 쓴맛, 살에 있으면 단맛의 음식을 금한다.
23. 윤재 (允裁) [윤:재]
한자: 允(맏[伯] 윤:), 裁(옷마를 재)
임금이 신하의 청을 허락함.
24. 자재 (自裁) [자재]
한자: 自(스스로 자), 裁(옷마를 재)
스스로 자기의 목숨을 끊음.
25. 전재 (剪裁) [전:재]
한자: 剪(가위 전(:)), 裁(옷마를 재)
옷감이나 재목 따위를 치수에 맞도록 재거나 자르는 일.
26. 제재 (制裁) [제:재]
한자: 制(절제할 제:), 裁(옷마를 재)
「1」일정한 규칙이나 관습의 위반에 대하여 제한하거나 금지함. 또는 그런 조치.
「2」법이나 규정을 어겼을 때 국가가 처벌이나 금지 따위를 행함. 또는 그런 일.
용례:
- 「1」제재를 가하다.
- 「1」규모도 큰 외과 전문 병원이어서 환자 면회가 까다로웠었는데 여기선 입원실까지 아무런 제재도 안 받고 무사통과였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2」유엔 안보리의 도발국 제재 방안.
- 「2」방문객들은 가해자의 처벌이 재판을 통한 법적 제재 따위로는 만족할 수가 없다고 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27. 조재 (朝裁) [조재]
한자: 朝(아침 조), 裁(옷마를 재)
조정의 재결(裁決)이나 재단.
28. 주재 (奏裁) [주:재]
한자: 奏(아뢸 주(:)), 裁(옷마를 재)
임금에게 아뢰어 재가를 청함.
29. 중재 (仲裁) [중재]
한자: 仲(버금 중(:)), 裁(옷마를 재)
「1」분쟁에 끼어들어 쌍방을 화해시킴.
「2」제삼자가 분쟁 당사자 사이에 들어 분쟁을 조정하고 해결하는 일. 제삼자의 결정은 구속력을 가진다.
용례:
- 「1」중재를 맡다.
- 「1」중재를 요청하다.
- 「1」중재를 받다.
- 「1」중재를 붙이다.
- 「1」중재를 들다.
- 「1」결론이 나지 않자…물러나 앉았던 김 병장이 중재를 나섰다.≪신상웅, 심야의 정담≫
- 「1」둘이 주고받는 말투에 은근히 가슴 졸였던지 사뭇 둘을 화해시키려는 기색이었다. 옥경의 그런 중재를 반가워하며 철이 아무 일도 없었던 사람처럼 물었다.≪이문열, 변경≫
30. 직재 (直裁) [직째]
한자: 直(곧을 직), 裁(옷마를 재)
「1」직접 결재함.
「2」지체하지 아니하고 즉시 헤아려 결정함.
31. 처재 (處裁) [처:재]
한자: 處(곳 처:), 裁(옷마를 재)
결정하여 조처함.
32. 천재 (天裁) [천재]
한자: 天(하늘 천), 裁(옷마를 재)
천자(天子)가 재결을 함. 또는 그 재결.
33. 체재 (體裁) [체재]
한자: 體(몸 체), 裁(옷마를 재)
생기거나 이루어진 틀. 또는 그런 됨됨이.
용례:
- 작품의 구성과 체재.
- 체재를 개편하다.
- 체재를 갖추다.
- 체재에 구애되지 않다.
34. 총재 (摠裁) [총:재]
한자: 摠(거느릴 총:), 裁(옷마를 재)
대한 제국 때에 둔, 수륜원·철도원·평식원·수민원·제실 제도 정리국·서북 철도국·군국기무처·표훈원·지계아문 등의 으뜸 관직. 칙임관이다.
35. 총재 (總裁) [총:재]
한자: 總(다[皆] 총:), 裁(옷마를 재)
어떤 기관이나 단체에서 모든 사무를 관리·감독하며 결재함.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
용례:
- 중앙은행 총재.
- 적십자사 총재.
36. 치재 (治裁) [치재]
한자: 治(다스릴 치), 裁(옷마를 재)
‘즉결 재판’(卽決裁判)을 달리 이르는 말
37. 칙재 (勅裁) [칙째]
한자: 勅(칙서 칙), 裁(옷마를 재)
임금이 옳고 그름을 가림.
용례:
법부대신이 내 이름과 함께 몇 사형 죄인의 명부를 가지고 입궐하여 상감의 칙재를 받았다.≪김구, 백범일지≫
38. 친재 (親裁) [친재]
한자: 親(친할 친), 裁(옷마를 재)
임금이 몸소 재결함.
용례:
아직 왕비도 없는 소년 왕이매 가정적으로는 무슨 일이 있을 까닭이 없고, 모두가 대외적 사무라, 왕이 친재를 하지 않으려면 수양에게밖에는 의논할 데가 없었다.≪김동인, 대수양≫
39. 통재 (統裁) [통:재]
한자: 統(거느릴 통:), 裁(옷마를 재)
「1」통솔하여 재결(裁決)함.
「2」통솔하여 다스림.
40. 특재 (特裁) [특째]
한자: 特(특별할 특), 裁(옷마를 재)
특별한 재결(裁決).
41. 풍재 (風裁) [풍재]
한자: 風(바람 풍), 裁(옷마를 재)
「1」풍채(風采)와 용모를 아울러 이르는 말.
「2」격에 맞는 멋.
42. 한재 (韓裁) [한:재]
한자: 韓(한국/나라 한(:)), 裁(옷마를 재)
한복을 재단하고 재봉하는 일.
43. 혁명독재 (革命獨裁) [형명독째]
한자: 革(가죽 혁), 命(목숨 명:), 獨(홀로 독), 裁(옷마를 재)
새로운 사회 체제를 만들어 낼 목적으로 강행하는 독재. 프랑스 혁명이나 러시아 혁명 당시의 독재가 전형적인 사례이다.
용례:
사회주의 실현을 위해 혁명 독재 수립의 단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 모든 것을 바친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44. 형재 (刑裁) [형재]
한자: 刑(형벌 형), 裁(옷마를 재)
‘형사 재판’(형사 사건에 관한 재판. 범죄자에게 형벌을 과하기 위하여 형사 소송법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행한다.)을 줄여 이르는 말.
45. 휘재 (徽裁) [휘재]
한자: 徽(아름다울 휘), 裁(옷마를 재)
왕세자가 임금을 대리하여 재결(裁決)을 내리던 일. 또는 그 재결.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