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갱재 (賡載) [갱재]
한자: 賡(이을 갱), 載(실을 재:)
임금이 지은 시가(詩歌)에 화답하는 시나 노래를 짓던 일.
2. 거재 (車載) [거재]
한자: 車(수레 차), 載(실을 재:)
물품 따위를 수레에 실음.
3. 게재 (揭載) [게:재]
한자: 揭(높이들[擧]/걸[掛] 게:), 載(실을 재:)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실음.
용례:
- 학술지 게재 원고.
- 편집부에서 기사의 게재 여부와 위치 등을 결정한다.
4. 과적재 (過積載) [과:적째]
한자: 過(지날 과:), 積(쌓을 적), 載(실을 재:)
화물의 적재정량을 초과하여 실음.
용례:
과적재 차량.
5. 구재 (具載) [구재]
한자: 具(갖출 구(:)), 載(실을 재:)
빠짐없이 자세하게 적어 실음.
6. 기재 (記載) [기재]
한자: 記(기록할 기), 載(실을 재:)
문서 따위에 기록하여 올림.
용례:
- 기재 사항을 빠짐없이 적으시오.
- 지원서의 기재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된다.
- 상덕이 들어오는 걸 보더니 그는 기재 중이던 교무 일지를 덮으면서 앉을 자리를 권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7. 누재 (累載) [누:재]
한자: 累(여러/자주 루:), 載(실을 재:)
여러 해.
8. 도담태재 (挑擔駄載) [도담태재]
한자: 挑(돋울 도), 擔(멜 담), 駄(짐 실을 태), 載(실을 재:)
짐을 메거나 지거나 실음.
9. 도재 (倒載) [도:재]
한자: 倒(넘어질 도:), 載(실을 재:)
「1」수레 같은 데에 거꾸로 실음.
「2」앞뒤 분간도 못 할 만큼 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등재 (登載) [등재]
한자: 登(오를 등), 載(실을 재:)
「1」일정한 사항을 장부나 대장에 올림.
「2」서적이나 잡지 따위에 실음.
용례:
- 「1」세계 문화유산 등재 절차.
- 「1」신약을 개발해서 의약품에 관한 특허권 등재 신청을 준비 중이다.
- 「2」학술 논문 등재 기준.
- 「2」이 문예지는 소설의 소재가 기발하고 흥미로울수록 작품의 등재 가능성이 높아진다.
11. 등재 (謄載) [등재]
한자: 謄(베낄 등), 載(실을 재:)
베껴 적음.
12. 만재 (滿載) [만:재]
한자: 滿(찰 만(:)), 載(실을 재:)
「1」자동차, 배 따위에 물건을 가득 실음.
「2」신문, 잡지 따위에 기사를 가득 실음.
13. 무재 (誣載) [무:재]
한자: 誣(속일 무:), 載(실을 재:)
거짓으로 꾸미어 적음.
14. 미재 (未載) [미:재]
한자: 未(아닐 미(:)), 載(실을 재:)
기사나 글 따위를 아직 싣지 아니함.
15. 박재 (舶載) [박째]
한자: 舶(배 박), 載(실을 재:)
「1」배에 실음.
「2」선박에 실어 운송함.
16. 박재 (博載) [박째]
한자: 博(넓을 박), 載(실을 재:)
널리 수집하여 책에 실음.
17. 부재 (附載) [부:재]
한자: 附(붙을 부(:)), 載(실을 재:)
어떤 글이나 시 따위를 주가 되는 글에 첨가하여 실음.
18. 부재 (覆載) [부:재]
한자: 覆(덮을 부), 載(실을 재:)
하늘이 만물을 덮고 땅이 만물을 받쳐 실었다는 뜻으로, 하늘과 땅을 이르는 말.
19. 분재 (分載) [분재]
한자: 分(나눌 분(:)), 載(실을 재:)
한 편의 글을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몇 차례 나누어 실음.
20. 비재 (備載) [비:재]
한자: 備(갖출 비:), 載(실을 재:)
갖추어 적음.
21. 선재 (船載) [선재]
한자: 船(배 선), 載(실을 재:)
배에 짐을 실음.(주재)
22. 소재 (所載) [소:재]
한자: 所(바 소:), 載(실을 재:)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기사가 실려 있음.
23. 수재 (收載) [수재]
한자: 收(거둘 수), 載(실을 재:)
잡지나 신문 등에 원고 따위를 모아서 실음.
24. 수천재 (數千載) [수:천재]
한자: 數(셈 수:), 千(일천 천), 載(실을 재:)
까마득하게 아주 오랜 세월.
용례:
바닷가에 서 있는 저 바위는 수천재에 걸쳐 파도에 깎여서 매끄럽게 되었다.
25. 승재 (乘載) [승재]
한자: 乘(탈 승), 載(실을 재:)
짐 따위를 실음.
26. 억재 (億載) [억째]
한자: 億(억[數字] 억), 載(실을 재:)
끝없는 햇수. 또는 영원한 세월.
27. 역재 (譯載) [역째]
한자: 譯(번역할 역), 載(실을 재:)
번역하여 신문, 잡지 따위의 출판물에 실음.
28. 연재 (連載) [연재]
한자: 連(이을 련), 載(실을 재:)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긴 글이나 만화 따위를 여러 차례로 나누어서 계속하여 실음.(속재)
용례:
신문 연재.
29. 완재 (完載) [완재]
한자: 完(완전할 완), 載(실을 재:)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작품 전체를 끝까지 다 실음.
30. 운재 (運載) [운:재]
한자: 運(옮길 운:), 載(실을 재:)
배나 수레 따위에 실어서 나름.
31. 이재 (已載) [이:재]
한자: 已(이미 이:), 載(실을 재:)
「1」이미 문서 따위에 적는 일을 완료함.
「2」이미 물건 따위를 싣는 일을 완료함.
32. 장재 (裝載) [장재]
한자: 裝(꾸밀 장), 載(실을 재:)
짐을 꾸려서 배나 수레 따위에 실음.
33. 적재 (摘載) [적째]
한자: 摘(딸[手收] 적), 載(실을 재:)
요긴한 것만을 따서 기록하여 실음.
34. 적재 (積載) [적째]
한자: 積(쌓을 적), 載(실을 재:)
물건이나 짐을 선박, 차량 따위의 운송 수단에 실음.
용례:
- 그 차는 운임도 싸고 적재 능력도 커서 장거리 운송에 적합하다.
- 비행장 입구에 다시 검문소가 있었으나 그들은 폭발물 따위의 적재 유무만을 살피고는 곧 통과시켰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35. 전재 (全載) [전재]
한자: 全(온전 전), 載(실을 재:)
소설이나 논문 따위의 글을 출판물에 실을 때에 전체를 다 실음.
36. 전재 (前載) [전재]
한자: 前(앞 전), 載(실을 재:)
「1」앞에 게재함.
「2」이해의 바로 앞의 해.
37. 전재 (轉載) [전:재]
한자: 轉(구를 전:), 載(실을 재:)
어떤 곳에 이미 발표되었던 글을 다른 곳에 그대로 옮겨 실음.
용례:
- 무단 전재.
- 본서(本書)에 실린 내용의 전재를 금합니다.
38. 전투적재 (戰鬪積載) [전:투적째]
한자: 戰(싸움 전:), 鬪(싸움 투), 積(쌓을 적), 載(실을 재:)
예상되는 전투에 즉각 대응할 수 있게 인원을 배정하고 장비와 보급품을 쌓아 두는 일.
39. 전투탑재 (戰鬪搭載) [전:투탑째]
한자: 戰(싸움 전:), 鬪(싸움 투), 搭(탈[乘] 탑), 載(실을 재:)
전투 시에 재빨리 싸울 수 있도록 함정, 항공기, 차량 따위에 장비와 보급품 및 이를 사용하는 인원을 함께 싣는 일.
40. 집재 (輯載) [집째]
한자: 輯(모을 집), 載(실을 재:)
편집하여 기재함.
41. 차재 (車載) [차재]
한자: 車(수레 차), 載(실을 재:)
차에 실음.
42. 천재 (千載) [천재]
한자: 千(일천 천), 載(실을 재:)
천 년이나 되는 세월이라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이르는 말.
용례:
옛사람의 말에 천재의 뒤에 지기(知己)의 사람이 하나만 있을 것 같으면 죽어도 한이 없다고 하였습니다.≪한용운, 흑풍≫
43. 첩재 (疊載) [첩째]
한자: 疊(거듭 첩), 載(실을 재:)
같은 사실을 거듭 기재함.
44. 초재 (抄載) [초재]
한자: 抄(뽑을 초), 載(실을 재:)
어떤 글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뽑아 실음.
45. 취재 (臭載) [취:재]
한자: 臭(냄새 취:), 載(실을 재:)
「1」배에 실은 짐이 상하여 냄새가 나고 못 쓰게 됨.
「2」짐을 실은 배가 뒤집어져 가라앉음.
용례:
「1」마침내 비바람까지 불어와 세곡 태반이 취재를 당할 참이었다.≪김주영, 객주≫
46. 탑재 (搭載) [탑째]
한자: 搭(탈[乘] 탑), 載(실을 재:)
배, 비행기, 차 따위에 물건을 실음.
용례:
화물 탑재.
47. 특재 (特載) [특째]
한자: 特(특별할 특), 載(실을 재:)
글 따위를 특별히 실음.
48. 함재 (艦載) [함:재]
한자: 艦(큰 배 함:), 載(실을 재:)
군함에 실음.
49. 휴재 (休載) [휴재]
한자: 休(쉴 휴), 載(실을 재:)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연재하던 글을 한동안 싣지 아니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