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죽 (刻竹) [각쭉]
한자: 刻(새길 각), 竹(대 죽)
설대 부분에 무늬를 새긴 담뱃대.
용례:
그믐산이의 기척이 들리자 덧문과 미닫이가 열려 있던 사랑에서 각죽을 문 사내가 먼저 같은 목소리로 물었다.≪이문구, 오자룡≫
2. 간죽 (竿竹) [간:죽]
한자: 竿(낚싯대 간), 竹(대 죽)
담배통과 물부리 사이에 끼워 맞추는 가느다란 대.
3. 객죽 (客竹) [객쭉]
한자: 客(손 객), 竹(대 죽)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따로 마련한 담뱃대.
용례:
놋재떨이 가로는 객죽이 서너 개 걸쳐 있다.≪이기영, 봄≫
4. 고죽 (孤竹) [고죽]
한자: 孤(외로울 고), 竹(대 죽)
「1」홀로 서 있는 대나무.
「2」대나무로 만든 피리나 저.
「3」대나무의 하나. 죽순이 삼 년에 한 번 나온다.
「4」중국 은나라 때에, 지금의 허베이성(河北省) 루룽현(盧龍縣)에서
랴오닝성(遼寧省) 차오양시(朝陽市)에 이르는 지역에 있던 나라.
5. 고황죽 (枯黃竹) [고황죽]
한자: 枯(마를 고), 黃(누를 황), 竹(대 죽)
바싹 말라서 누렇게 된 왕대. 흔히 좋은 연을 만들 때 연달로 쓴다.
6. 공죽 (空竹) [공죽]
한자: 空(빌 공), 竹(대 죽)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따로 마련한 담뱃대.
7. 낙죽 (烙竹) [낙쭉]
한자: 烙(지질 락), 竹(대 죽)
대의 표면을 달군 쇠로 지져 여러 가지 무늬를 만드는 일. 또는 그 대.
용례:
합죽선에 낙죽을 하여 구름무늬를 넣었다.
8. 난죽 (蘭竹) [난죽]
한자: 蘭(난초 란), 竹(대 죽)
「1」난초와 대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난초의 곡선에 대나무의 직선을 조화시킨 먹그림.
9. 녹죽 (綠竹) [녹쭉]
한자: 綠(푸를 록), 竹(대 죽)
푸른 대나무.
10. 단죽 (短竹) [단:죽]
한자: 短(짧을 단(:)), 竹(대 죽)
살담배를 피우는 데에 쓰는 짧은 담뱃대.
11. 두갑죽 (頭匣竹) [두갑쭉]
한자: 頭(머리 두), 匣(갑(匣) 갑), 竹(대 죽)
붓두껍을 만드는 데 쓰는 대나무.
12. 매란국죽 (梅蘭菊竹) [매란국쭉]
한자: 梅(매화 매), 蘭(난초 란), 菊(국화 국), 竹(대 죽)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동양화에서, 매화·난초·국화·대나무를 그린 그림.)를 달리 이르는 말.
용례:
매란국죽으로 선비의 기개를 드러내다.
13. 매죽 (梅竹) [매죽]
한자: 梅(매화 매), 竹(대 죽)
매실나무와 대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14. 목죽 (木竹) [목쭉]
한자: 木(나무 목), 竹(대 죽)
나무와 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15. 묵죽 (墨竹) [묵쭉]
한자: 墨(먹 묵), 竹(대 죽)
먹으로 그린 대나무.
용례:
지금까지 서화에 없던 경지가 있어, 세상 사람들이 이를 본받아 채색을 버리고 묵죽을 많이 그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최명희, 혼불≫
16. 방죽 (方竹) [방죽]
한자: 方(모[棱] 방), 竹(대 죽)
단면이 네모진 대나무의 하나.
17. 백간죽 (白簡竹) [백깐죽]
한자: 白(흰 백), 簡(대쪽/간략할 간(:)), 竹(대 죽)
담뱃대를 만드는 데 쓰는 흰 설대.
18. 백죽 (白竹) [백쭉]
한자: 白(흰 백), 竹(대 죽)
껍질을 벗긴 대나무.
19. 백통죽 (백통竹) [백통죽]
한자: 竹(대 죽)
대통과 물부리를 백통으로 만든 담뱃대.
20. 별간죽 (別簡竹) [별간죽]
한자: 別(다를/나눌 별), 簡(대쪽/간략할 간(:)), 竹(대 죽)
특별히 잘 만든 담배설대.
21. 별연죽 (別煙竹) [벼련죽]
한자: 別(다를/나눌 별), 煙(연기 연), 竹(대 죽)
보통 것과 달리 잘 만든 담뱃대.
22. 봉죽 (鳳竹) [봉:죽]
한자: 鳳(봉새 봉:), 竹(대 죽)
봉황이 깃드는 대나무란 뜻으로, 풍어를 위해 끝에 꿩 깃을 단 대나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3. 부산죽 (釜山竹) [부산죽]
한자: 釜(가마[鬴] 부), 山(메 산), 竹(대 죽)
부산 지방에서 만들어 내는 담뱃대.(부죽)
24. 비죽 (比竹) [비:죽]
한자: 比(견줄 비:), 竹(대 죽)
생황, 퉁소 따위의 대나무로 만든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5. 사죽 (斜竹) [사죽]
한자: 斜(비낄 사), 竹(대 죽)
「1」과일을 괼 때에 무너지지 않도록 꽂는 대꼬챙이.
「2」구겨지거나 늘어지기 쉬운 물건을 빳빳하게 버티게 하기 위하여 틈이나 격지에 끼는 가는 대오리.
26. 사죽 (絲竹) [사죽]
한자: 絲(실 사), 竹(대 죽)
관악기와 현악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27. 산죽 (山竹) [산죽]
한자: 山(메 산), 竹(대 죽)
산에서 나는 대.
용례:
- 산죽 지대.
- 산죽을 헤치며 나아가다.
- 바위 사이에서 십여 명의 용수는 될 만한 석간수가 솟고 있는 곳을 발견하고 그 근처에 산죽과 억새를 베어 초막 두 개를 엮었다.≪이병주, 지리산≫
28. 삼죽 (三竹) [삼죽]
한자: 三(석 삼), 竹(대 죽)
「1」저(笛), 생황, 피리의 세 관악기를 이르는 말.
「2」대금, 중금, 소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29. 서죽 (筮竹) [서죽]
한자: 筮(점대 서), 竹(대 죽)
무속에서, 점치는 데 쓰는 댓개비.
용례:
젊은이는 두 눈을 지그시 내리깔고 서죽을 가르기 시작했다. 한동안 침묵 속에 괘를 뽑던 젊은이가 천천히 입을 열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30. 소죽 (疏竹) [소죽]
한자: 疏(소통할 소), 竹(대 죽)
대나무가 드문드문 나 있는 대밭.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竹 대 죽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