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송죽 (松竹) [송죽]
한자: 松(소나무 송), 竹(대 죽)
소나무와 대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그는 송죽같이 굳은 절개를 지녔다.
32. 수죽 (脩竹) [수죽]
한자: 脩(길[長] 수), 竹(대 죽)
밋밋하게 자란 가늘고 긴 대.
용례:
하늘을 찌를 듯이 뻗어 오른 수죽의 안쪽은 언제나 어둠에 덮여 그 깊이를 알 수 없다.
33. 실죽 (實竹) [실쭉]
한자: 實(열매 실), 竹(대 죽)
속이 비지 아니하고 차 있는 대나무.
34. 쌍골죽 (雙骨竹) [쌍골죽]
한자: 雙(두/쌍 쌍), 骨(뼈 골), 竹(대 죽)
양쪽 줄기에 홈이 깊이 팬 병든 대나무. 대금(大笒)을 만드는 재료로 쓴다.
용례:
쌍골죽으로는 좋은 대광주리를 만들 수 없다.
35. 양죽 (涼竹) [양죽]
한자: 涼(서늘할 량), 竹(대 죽)
얇게 깎은 대나무.
36. 여죽 (女竹) [여죽]
한자: 女(계집 녀), 竹(대 죽)
여자가 쓰는 담뱃대.
37. 연실죽 (蓮實竹) [연실죽]
한자: 蓮(연꽃 련), 實(열매 실), 竹(대 죽)
대통을 연밥 모양으로 만든 담뱃대.
38. 연죽 (煙竹) [연죽]
한자: 煙(연기 연), 竹(대 죽)
담배를 피우는 데 쓰는 기구. 담배통, 담배설대, 물부리로 이루어져 있다.
용례:
보통 연죽보다 썩 짧게 만든 자기의 연죽에 담배를 담으면서야 비로소 흥선은 성하의 서 있는 편으로 머리를 돌렸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39. 염죽 (染竹) [염:죽]
한자: 染(물들 염:), 竹(대 죽)
물을 들인 대나무.
40. 오죽 (吳竹) [오죽]
한자: 吳(성(姓) 오), 竹(대 죽)
담뱃대의 하나. 담배통이 투박하고 너부죽하게 생겼다.
41. 우죽 (羽竹) [우:죽]
한자: 羽(깃 우:), 竹(대 죽)
깃이 달린 화살대.
42. 원죽 (圓竹) [원죽]
한자: 圓(둥글 원), 竹(대 죽)
둥근 나무로 된 돌난대.
43. 은죽 (銀竹) [은죽]
한자: 銀(은 은), 竹(대 죽)
은빛 나는 대나무 줄기라는 뜻으로, 몹시 퍼붓는 소나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은죽이 쏟아지다.
- 은죽이 내리다.
- 그는 앞을 분간하기 어려운 은죽을 뚫고 저만치 달려가고 있었다.
44. 입죽 (立竹) [입쭉]
한자: 立(설 립), 竹(대 죽)
해금 줄을 얹는 손잡이. 주로 검은 대나무로 만든다.
45. 자문죽 (自紋竹) [자문죽]
한자: 自(스스로 자), 紋(무늬 문), 竹(대 죽)
아롱진 무늬가 있는 중국산 대나무. 흔히 담뱃대로 쓴다.(자점죽)
46. 장간죽 (長簡竹) [장간죽]
한자: 長(긴 장(:)), 簡(대쪽/간략할 간(:)), 竹(대 죽)
가는 대나무로 된 긴 담뱃대.
47. 장죽 (杖竹) [장:죽]
한자: 杖(지팡이 장(:)), 竹(대 죽)
지팡이로 쓰는 대나무.
48. 장죽 (長竹) [장죽]
한자: 長(긴 장(:)), 竹(대 죽)
긴 담뱃대.
용례:
- 장죽을 물다.
- 장죽을 뻑뻑 빨다.
- 사랑채로 나온 형주는 장죽에 담배를 재우고 있는 아버지의 등 뒤에 서며 물었다.≪한수산, 유민≫
- 최 마름이 장죽을 화로에 묻어 탄지에 불티를 담아 문 다음, 음성을 은근히 낮추어 말했다.≪이문구, 오자룡≫
49. 전죽 (全竹) [전죽]
한자: 全(온전 전), 竹(대 죽)
쪼개지 아니한, 통으로 된 대나무.
50. 전죽 (箭竹) [전:죽]
한자: 箭(살[矢] 전:), 竹(대 죽)
화살의 몸을 이루는 대.
51. 청죽 (靑竹) [청죽]
한자: 靑(푸를 청), 竹(대 죽)
「1」푸른 대나무.
「2」베어 낸 뒤에 마르지 아니하여 푸른빛을 띤 대.
「3」청죽의 빛깔과 같이 푸른빛을 띤 초록색.
52. 취죽 (翠竹) [취:죽]
한자: 翠(푸를/물총새 취:), 竹(대 죽)
푸른 대나무.
용례:
기러기 떼 날개들 그림자 지는 모래밭에, 댓잎같이 푸르게 남은 취죽의 새 발자국을 이르는 말인가.≪최명희, 혼불≫
53. 편죽 (片竹) [편죽]
한자: 片(조각 편(:)), 竹(대 죽)
조각으로 된 대나무.
54. 폭죽 (爆竹) [폭쭉]
한자: 爆(불터질 폭), 竹(대 죽)
가는 대통이나 종이로 만든 통에 화약을 재어 불을 지르고 화약을 공중에서 터트려서 소리가 나고 불꽃이 일어나게 하는 물건.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용례:
- 폭죽 터지는 소리가 요란하다.
- 펑, 펑 탄력 있는 파열음과 함께 폭죽은 계속 밤하늘에 찬란하게 그러나 허망하게 피었다 꺼졌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55. 풍기죽 (風旗竹) [풍기죽]
한자: 風(바람 풍), 旗(기 기), 竹(대 죽)
긴 헝겊을 매달아 풍기대에 꽂아 놓던 대나무. 헝겊이 펄럭이는 모양으로 바람의 방향을 알아보았다.
56. 피죽 (皮竹) [피죽]
한자: 皮(가죽 피), 竹(대 죽)
대나무의 겉껍질.
57. 합죽 (合竹) [합쭉]
한자: 合(합할 합), 竹(대 죽)
얇은 댓조각을 맞붙임.
58. 향삼죽 (鄕三竹) [향삼죽]
한자: 鄕(시골 향), 三(석 삼), 竹(대 죽)
대금(大笒), 중금(中笒), 소금(小笒)의 삼죽(三竹)을 향악기로서 이르는 말.
59. 황죽 (篁竹) [황죽]
한자: 篁(대숲 황), 竹(대 죽)
「1」대나무 숲. 또는 숲을 이룬 대.
「2」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미터 정도로 대나무 가운데 가장 굵으며,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이고 작은 가지 끝에 3~5개씩 달린다. 초여름에 긴
주기를 두고 원기둥 모양의 꽃이삭이 달린다. 죽순은 식용·약용하고 줄기는 세공재(細工材)로 쓴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의 중부 이남,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60. 횡죽 (橫竹) [횡죽]
한자: 橫(가로 횡), 竹(대 죽)
긴 담뱃대를 뻗쳐서 묾. 또는 그 담뱃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竹 대 죽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