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체 (各體) [각체]
한자: 各(각각 각), 體(몸 체)
서체, 글자체, 문체 따위의 여러 가지 체.
용례:
그는 서예 각체를 다 잘한다.
2. 간결체 (簡潔體) [간결체]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潔(깨끗할 결), 體(몸 체)
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내용을 명쾌하게 표현하는 문체.
용례:
간명하게 써야 할 장면이나 작품에서는 간결체로 썼고, 현란해야 효과적일 장면이나 작품에서는 화려체로 썼다.
3. 개체 (個體) [개:체]
한자: 個(낱 개(:)), 體(몸 체)
「1」전체나 집단에 상대하여 하나하나의 낱개를 이르는 말.
「2」하나의 독립된 생물체.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독립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3」단일하고 독립적인 통일적 존재. 철학 사상의 발전
과정에서 이 통일성은 물질적·양적 측면, 또는 정신적·질적 측면 따위의 여러 관점에서 고찰되었다.
용례:
- 「1」우리는 정반대로 법칙에서 자유를, 전체에서 개체를 그리고 격식에서 어떤 혼돈을 희구하려고 했던 것이 아닐까?≪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2」다세포 생물은 생식 세포가 존재하는데, 그 수정의 결과 새로운 개체가 발생한다.
4. 객체 (客體) [객체]
한자: 客(손 객), 體(몸 체)
객지에 있는 몸. 주로 편지글에서 글 쓰는 이가 안부를 물을 때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5. 객체 (客體) [객체]
한자: 客(손 객), 體(몸 체)
「1」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
「2」문장 내에서 동사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
「3」작용의 대상이 되는 쪽.
용례:
- 「1」묘지 침해죄는 침해의 객체에 따라 묘소와 시설물의 절취, 훼손과 시체에 대한 침해로 구분된다.
- 「2」피동문 ‘선생님이 술래에게 잡히셨다.’에서 ‘술래’가 주체이면 ‘선생님’은 객체이다.
- 「3」유럽에서 시작된 과학적 세계관은 인간을 사유하는 주체로 파악한 반면 자연 세계는 사유하는 주체의 객체나 대상으로 사물화했다.
6. 건강체 (健康體) [건:강체]
한자: 健(굳셀 건:), 康(편안 강), 體(몸 체)
병이 없고 튼튼한 몸.
용례:
아버지는 형제 중 체격이 가장 좋고 잔병 한 번 치른 일 없는 건강체였다고 한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7. 검체 (檢體) [검:체]
한자: 檢(검사할 검:), 體(몸 체)
시험, 검사, 분석 따위에 쓰는 물질이나 생물.
용례:
필요하면 소변, 혈액과 같은 환자 신체의 검체가 채취될 수 있다.
8. 격식체 (格式體) [격씩체]
한자: 格(격식 격), 式(법 식), 體(몸 체)
상대 높임법의 하나. 의례적으로 쓰며 표현은 직접적, 단정적, 객관적이다.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 따위가 있다.
9. 결정체 (結晶體) [결쩡체]
한자: 結(맺을 결), 晶(맑을 정), 體(몸 체)
「1」결정이 성장하여 일정한 형상을 이룬 물체.
「2」노력의 결과로 얻은 보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첨단 기술의 결정체.
- 「2」이 책은 그의 평생의 노력이 담겨 있는 결정체이다.
10. 결집체 (結集體) [결찝체]
한자: 結(맺을 결), 集(모을 집), 體(몸 체)
결집되어 있거나 결집하여 만든 총체.
용례:
- 민족이란 국민 개개인의 단순한 결집체가 아니다.
- 그 단체는 언론 운동의 최대 결집체이다.
11. 결합체 (結合體) [결합체]
한자: 結(맺을 결), 合(합할 합), 體(몸 체)
둘 이상의 개체가 결합하여 이룬 조직체.
용례:
- 무속에서는 인간을 육신과 영혼의 결합체로 본다.
- 사회는 여러 요소가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의 총체적인 결합체이다.
12. 고체 (古體) [고:체]
한자: 古(예 고:), 體(몸 체)
「1」글, 그림, 글씨 따위의 옛날의 모양이나 양식.
「2」평측이나 자수에 제한이 없어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의 한시. 근체시와 상대되며, 사언·오언·칠언·잡언 따위가 있다.
용례:
「1」고체로 쓴 글씨.
13. 고체 (固體) [고체]
한자: 固(굳을 고(:)), 體(몸 체)
일정한 모양과 부피가 있으며 쉽게 변형되지 않는 물질의 상태. 나무, 돌, 쇠, 얼음 따위의 상태이다.
14. 공공단체 (公共團體) [공공단체]
한자: 公(공평할 공), 共(한가지 공:), 團(둥글 단), 體(몸 체)
국가로부터 사무를 위임받아 국가의 감독 아래 공공의 행정을 맡아보는 기관.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존립 목적을 부여하고 그 목적 달성을 위한 공권력을 인정하는 것으로 지방 자치 단체, 공공 조합, 영조물 법인 따위가 있다.
15. 공기업체 (公企業體) [공기업체]
한자: 公(공평할 공), 企(꾀할 기), 業(업 업), 體(몸 체)
공공의 복지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자금을 대고 경영하는 기업체.
16. 공동체 (共同體) [공:동체]
한자: 共(한가지 공:), 同(한가지 동), 體(몸 체)
「1」생활이나 행동 또는 목적 따위를 같이하는 집단.
「2」인간에게 본래 갖추어져 있는 본질 의사에 의하여 결합된 유기적 통일체로서의 사회. 독일의 사회학자 퇴니에스가 제창한 사회 유형의 하나로
가족, 촌락 따위가 있다.
용례:
- 「1」운명 공동체.
- 「1」공동체를 활성화하다.
- 「1」마을에서 청년들이 공동체를 운영하며 마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1」동직 조합에도 조합원뿐만 아니라 그 처자들도 가담, 산 자와 함께 죽은 자도 한 공동체 속에 속해 있었던 것이다.≪이호철, 문≫
17. 공익단체 (公益團體) [공익딴체]
한자: 公(공평할 공), 益(더할 익), 團(둥글 단), 體(몸 체)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용례:
교육의 민주화와 인간화를 위해 학원을 공익 단체로 되돌리는 일은 시급한 과제이다.
18. 광고매체 (廣告媒體) [광:고매체]
한자: 廣(넓을 광:), 告(고할 고:), 媒(중매 매), 體(몸 체)
광고 내용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매개체. 이에는 신문·잡지 따위의 인쇄 매체와 라디오·텔레비전 따위의 전파 매체, 간판 따위의 장소 매체가 있다.
19. 구성체 (構成體) [구성체]
한자: 構(얽을 구), 成(이룰 성), 體(몸 체)
부분이나 요소들이 모여 일정하게 짜 이룬 물체나 형체.
용례:
여러 민족의 구성체.
20. 구어체 (口語體) [구:어체]
한자: 口(입 구(:)), 語(말씀 어:), 體(몸 체)
글에서 쓰는 말투가 아닌, 일상적인 대화에서 주로 쓰는 말투.
용례:
개화기에 글을 말하는 대로 쓰자는 언문일치 운동이 일어나고부터 점차로 구어체 문장을 쓰게 되었다.
21. 구체 (具體) [구체]
한자: 具(갖출 구(:)), 體(몸 체)
「1」사물이 직접 경험하거나 지각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태와 성질을 갖춤.
「2」전체를 구비함.
「3」바둑에서, 7단을 달리 이르는 말. 기력(棋力)의 단계를 나타내는 말 가운데 하나로,
체용(體用)을 갖추었다는 뜻이다.
용례:
「1」찢긴 사지를 참혹하게 부리고 누워 있는 이 방바닥은, 어쩌면 이 세상에서 가장 확실하게 그의 등을 받쳐 주는 한 평 면적이며 구체일는지도 몰랐다.≪최명희, 혼불≫
22. 구체 (球體) [구체]
한자: 球(공 구), 體(몸 체)
공처럼 둥근 형체나 물체.
용례:
그는 거리에서 당구를 할 생각은 나지 않았다…매끈하고 차가운 구체가 부드러운 평면을 굴러가는 것을 좇으면서 공상에 잠기는 것이 좋았다.≪최인훈, 회색인≫
23. 구호단체 (救護團體) [구:호단체]
한자: 救(구원할 구:), 護(도울 호:), 團(둥글 단), 體(몸 체)
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기 위하여 조직한 사회단체.
용례:
의사들이 노숙자들의 건강을 위해 구호 단체를 결성하였다.
24. 국영기업체 (國營企業體) [구경기업체]
한자: 國(나라 국), 營(경영할 영), 企(꾀할 기), 業(업 업), 體(몸 체)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특별히 출자하여 만들고 운영하는 기업체.
용례:
국영 기업체의 재원은 국민의 세금이고 소유주는 국민이며, 대부분의 국영 기업체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5. 국체 (國體) [국체]
한자: 國(나라 국), 體(몸 체)
「1」주권이 누구에게 있느냐에 따라 나누는 나라의 형태. 군주국, 공화국 따위로 나눈다.
「2」나라의 체면.
용례:
- 「1」구속된 열일곱 명은 국체를 변혁하려던 대역죄를 지었으니 잡아 가둔 것이오.≪문순태, 타오르는 강≫
- 「2」영감이 깊이 생각해서 모든 간관들의 편벽된 공론을 막아 버리시오. 그리해서 나라가 망치 않고 국체가 보존되게 하고 강토를 회복해서….≪박종화, 임진왜란≫
26. 궁체 (宮體) [궁체]
한자: 宮(집 궁), 體(몸 체)
「1」조선 시대에, 궁녀들이 쓰던 한글 서체. 선이 맑고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점이 특징이다.
「2」중국 시체(詩體) 가운데 하나. 육조(六朝)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까지 유행하였다.
용례:
「1」자연 궁체라면 여필을 말하게 되고 여필은 주로 흘려 이어 쓰는 초서체였다.≪한무숙, 만남≫
27. 귀체 (貴體) [귀:체]
한자: 貴(귀할 귀:), 體(몸 체)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안부를 물을 때 그 사람의 몸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 귀체 평안하옵신지요.
- 그간 다망하신 가운데 귀체 강녕하신지요.
28. 글씨체 (글씨體) [글씨체]
한자: 體(몸 체)
「1」글씨를 써 놓은 모양.
「2」붓글씨에서 글씨를 쓰는 일정한 격식이나 양식. 한자에서 해서·행서·초서·예서·전서, 한글에서 궁체 따위를 이른다.
「3」자형의 양식. 명조, 송조, 청조,
고딕 따위의 글씨체를 이른다.
용례:
「1」글씨체가 예쁘다.
29. 글자체 (글字體) [글짜체]
한자: 字(글자 자), 體(몸 체)
글자의 모양.
용례:
- 글자체가 아름답고 세련되다.
- 글자체가 단정하다.
30. 금체 (金體) [금체]
한자: 金(쇠 금), 體(몸 체)
골상학(骨相學)에서, 사람의 상격(相格)을 오행(五行)으로 나눌 때 금(金)에 해당하는 상격.
용례:
상격을 보면 화체는 위가 좁고, 목체는 얼굴이 길고, 금체는 얼굴이 모나고, 토체는 얼굴이 둥글다.
31. 기업체 (企業體) [기업체]
한자: 企(꾀할 기), 業(업 업), 體(몸 체)
기업을 경영하는 조직체.
용례:
- 오랜 경기 침체로 문을 닫는 기업체가 늘고 있다.
- 그는 여러 기업체를 거느린 재벌 총수이다.
32. 기체 (氣體) [기체]
한자: 氣(기운 기), 體(몸 체)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에서 문안할 때 쓰는 말.
용례:
- 그동안 기체 안녕하신지 궁금합니다.
- 할아버님, 그간 기체 강녕하시옵니까?
33. 기체 (氣體) [기체]
한자: 氣(기운 기), 體(몸 체)
물질이 나타내는 상태의 하나. 공기, 수소, 산소 따위와 같이 분자의 간격이 멀고 응집력이 없어 각 분자가 자유로이 유동하므로, 일정한 모양과 부피를 갖지 않고 용기를 채우려는 성질이 있다. 액체나 고체에 비하여 밀도가 훨씬 작고, 압력의 증감으로 부피가 쉽게 변하며, 압축이나 열팽창이 쉽다.
34. 기체 (機體) [기체]
한자: 機(틀 기), 體(몸 체)
「1」기계의 바탕.
「2」비행기의 몸체.
용례:
- 「2」비행기가 이륙하려고 하자 기체가 심하게 떨렸다.
- 「2」비행 고도까지 다다른 듯 기체도 어느 틈에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35. 나체 (裸體) [나:체]
한자: 裸(벗을 라:), 體(몸 체)
아무것도 입지 않은 몸.
용례:
- 옷을 모두 벗고 나체가 되다.
- 나체로 모델을 서다.
- 나는 여자의 나체가 모두 드러나 있음을 보았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36. 낙체 (落體) [낙체]
한자: 落(떨어질 락), 體(몸 체)
중력으로 땅에 떨어지는 물체. 공기 저항이 없으면 모든 물체는 재질이나 질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속도로 떨어진다.
용례:
낙체의 운동 법칙.
37. 노체 (老體) [노:체]
한자: 老(늙을 로:), 體(몸 체)
「1」늙은 몸.
「2」늙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1」백부님은 노체에 피곤도 하시겠지만 자네는 청춘에 또 가장 한가한 신분이야.≪김동인, 대수양≫
38. 다결정체 (多結晶體) [다결쩡체]
한자: 多(많을 다), 結(맺을 결), 晶(맑을 정), 體(몸 체)
둘 이상의 결정이 무질서한 방향으로 모여서 이루어진 물체. 보통의 금속 재료나 세라믹 따위가 있다.
용례:
보석은 단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가 흔히 보는 금속들은 대부분 단결정의 작은 알갱이들로 이루어진 다결정체이다.
39. 다매체 (多媒體) [다매체]
한자: 多(많을 다), 媒(중매 매), 體(몸 체)
여러 가지의 전달 매개체.
용례:
- 현대는 다매체 시대로 다양한 의사소통과 전달이 가능하다.
- 컴퓨터는 다매체를 통합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
40. 다면체 (多面體) [다면체]
한자: 多(많을 다), 面(낯 면:), 體(몸 체)
평면 다각형으로 둘러싸인 입체 도형. 평면의 수효에 따라 사면체, 오면체 따위가 있다.
41. 단체 (團體) [단체]
한자: 團(둥글 단), 體(몸 체)
「1」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의 일정한 조직체.
「2」여러 사람이 모여서 이루어진 집단.
용례:
- 「1」이익 단체.
- 「1」친목 단체.
- 「1」단체를 탈퇴하다.
- 「1」단체에 가입하다.
- 「1」단체를 결성하다.
- 「1」단체를 만들다.
- 「1」세 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대회를 열었다.
- 「2」단체 사진.
- 「2」단체 생활.
- 「2」단체 여행.
- 「2」단체 행동.
- 「2」단체로 관람하다.
- 「2」단체 손님이 예약되어 있어서 다른 손님을 받기가 곤란하다.
- 「2」단체 훈련과 개인 훈련을 적절하게 하면 효과가 더 클 것이다.
42. 대중매체 (大衆媒體) [대:중매체]
한자: 大(큰 대(:)), 衆(무리 중:), 媒(중매 매), 體(몸 체)
신문, 잡지, 영화, 텔레비전 따위와 같이 많은 사람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매체.
43. 대체 (大體) [대:체]
한자: 大(큰 대(:)), 體(몸 체)
[Ⅰ]일이나 내용의 기본적인 큰 줄거리.
[Ⅱ]다른 말은 그만두고 요점만 말하자면.
용례:
- [Ⅰ]그 현상을 학문의 여러 부문의 도움을 얻어 많은 노력을 한 후 오늘날처럼 대체를 알 수 있게 되었다.
- [Ⅱ]대체 어찌 된 일이냐?
- [Ⅱ]너는 대체 누구냐?
- [Ⅱ]잃은 돈이 대체 얼마나 되느냐고 물었다.
44. 대행업체 (代行業體) [대:행업체]
한자: 代(대신할 대:), 行(다닐 행(:)), 業(업 업), 體(몸 체)
어떤 일을 대신 하는 업체.
용례:
힘든 이삿짐을 대신 꾸려 주는 이사 대행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45. 대화체 (對話體) [대:화체]
한자: 對(대할 대:), 話(말씀 화), 體(몸 체)
대화하는 형식으로 서술하는 문체.
용례:
- 대화체 문장.
- 대화체로 이루어진 가사.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體 몸 체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體 몸 체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體 몸 체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