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征 칠 정

1. 남정 (南征) [남정]

한자: 南(남녘 남), 征(칠 정)

무력으로 남쪽 지방을 침.

2. 동정 (東征) [동정]

한자: 東(동녘 동), 征(칠 정)

동방을 정벌함. 또는 동으로 원정함.

용례:

  • 백만 대군을 거느리고 동정에 나서다.
  • 동정 만리 길에 오르다.

3. 봉정 (蓬征) [봉정]

한자: 蓬(쑥 봉), 征(칠 정)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

4. 북정 (北征) [북쩡]

한자: 北(북녘 북), 征(칠 정)

무력으로 북쪽 지방을 치는 일.

용례:

군사를 이끌고 북정의 길에 오르다.

5. 서정 (西征) [서정]

한자: 西(서녘 서), 征(칠 정)

서쪽을 정벌함.

6. 역정 (力征) [역쩡]

한자: 力(힘 력), 征(칠 정)

힘을 다하여 적을 침.

7. 외정 (外征) [외:정]

한자: 外(바깥 외:), 征(칠 정)

외국으로 출정함.

8. 원정 (遠征) [원:정]

한자: 遠(멀 원:), 征(칠 정)

「1」먼 곳으로 싸우러 나감.
「2」먼 곳으로 운동 경기 따위를 하러 감.

「3」연구, 탐험, 조사 따위를 위하여 먼 곳으로 떠남.

용례:

  • 「1」십자군 원정.
  • 「1」몽고의 유럽 원정.
  • 「1」원정 길에 오르다.
  • 「1」원정을 떠났던 군대가 전멸했다는 비보가 날아들었다.
  • 「2」원정 경기.
  • 「2」원정 시합.
  • 「2」올해 안으로 축구 국가대표 팀의 일본 원정이 계획되어 있다.
  • 「3」한국 산악회의 에베레스트산 원정이 성공하였다.
  • 「3」뙤약볕이 내리쬐는 한여름에는 실개천이 합쳐져서 냇물이 된 동구 밖까지 원정을 나갈 때도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9. 장정 (長征) [장정]

한자: 長(긴 장(:)), 征(칠 정)

「1」먼 노정에 걸쳐 정벌함.
「2」1934년에서 1936년까지 중국 공산당군이 행한 전략적 대이동. 국민당군의 공격을 받아 마오쩌둥(毛澤東) 등이 거느린 공산당군이 장시성(江西省) 루이진(瑞金)에서 산시성(陝西省) 옌안(延安)까지 약 1만 2500km를 걸어서 이동하였다.

10. 전정 (專征) [전정]

한자: 專(오로지 전), 征(칠 정)

「1」임금으로부터 대권(大權)을 위임받아 정벌에 몰두함.
「2」임금의 명을 기다리지 않고 마음대로 정벌을 함.

11. 조정 (徂征) [조정]

한자: 徂(갈 조), 征(칠 정)

가서 정벌함.

12. 출정 (出征) [출쩡]

한자: 出(날[生] 출), 征(칠 정)

「1」군에 입대하여 싸움터에 나감.
「2」군사를 보내어 정벌함.

용례:

  • 「1」출정 장병.
  • 「1」이 좁은 고향 땅을 떠나 더 넓은 큰 세계로 훨훨 나다니고 싶은 청춘 특유의 방랑벽에 들떠 있었는데, 출정을 나가 남양 군도에 떨어지고서야 비로소 고향이 그리운 줄을 알았어.≪김원일, 불의 제전≫
  • 「2」출정 준비.
  • 「2」연합군은 이번 출정에 대승을 거두고 돌아왔다.

13. 친정 (親征) [친정]

한자: 親(친할 친), 征(칠 정)

임금이 몸소 나아가 정벌함.

용례:

옥체가 기후에 맞지 않을까 두렵사오니 다른 장수를 내보내시고 친정은 마시옵기를 바라나이다.≪홍효민, 신라 통일≫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