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淨 깨끗할 정

1. 간정 (乾淨) [간정]

한자: 乾(하늘/마를 건), 淨(깨끗할 정)

‘간정하다’
(「1」매우 깨끗하고 순수하다.
「2」일 처리를 잘하여 뒤끝이 깨끗하다.)의 어근.

2. 간정 (簡淨) [간정]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淨(깨끗할 정)

‘간정하다’
(간결하고 깨끗하다.)의 어근.

3. 개정 (介淨) [개:정]

한자: 介(낄 개:), 淨(깨끗할 정)

‘개정하다’
(산뜻하고 깨끗하다.)의 어근.

4. 건정 (乾淨) [건정]

한자: 乾(하늘/마를 건), 淨(깨끗할 정)

‘건정하다’
(「1」순수하고 깨끗하며 단아하다.
「2」일의 뒤끝이 깨끗하다.)의 어근.

5. 결정 (潔淨) [결쩡]

한자: 潔(깨끗할 결), 淨(깨끗할 정)

‘결정하다’
(더러움 없이 깨끗하다.)의 어근.

6. 고청정 (高淸淨) [고청정]

한자: 高(높을 고), 淸(맑을 청), 淨(깨끗할 정)

아주 맑고 깨끗함.

용례:

오염 물질을 획기적으로 줄인 고청정 연료가 개발되었다.

7. 대정 (大淨) [대:정]

한자: 大(큰 대(:)), 淨(깨끗할 정)

이슬람교에서, 예배에 앞서서 목욕하는 일. 죽은 사람을 접했거나, 교접·월경·분만 따위와 같은 특별한 더러움을 씻는 일을 말한다.

8. 명정 (明淨) [명정]

한자: 明(밝을 명), 淨(깨끗할 정)

‘명정하다’
(밝고 맑다.)의 어근.

9. 부정 (不淨) [부정]

한자: 不(아닐 불), 淨(깨끗할 정)

「1」깨끗하지 못함. 또는 더러운 것.
「2」사람이 죽는 따위의 불길한 일.
「3」무당굿의 열두 거리 가운데 첫째 거리. 신들을 청하기 전에 부정한 것을 깨끗이 하는 것을 이른다.

용례:

  • 「2」부정이 나다.
  • 「2」부정이 들다.

10. 세정 (洗淨) [세:정]

한자: 洗(씻을 세:), 淨(깨끗할 정)

「1」씻어서 깨끗이 함.
「2」몸과 마음을 깨끗이 함.

「3」대소변을 본 뒤에 손을 닦음.

용례:

「1」이 비누는 세정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피부 자극이 적다.

11. 식정 (拭淨) [식쩡]

한자: 拭(씻을 식), 淨(깨끗할 정)

말끔하게 씻어 깨끗이 함.

12. 엄정 (嚴淨) [엄정]

한자: 嚴(엄할 엄), 淨(깨끗할 정)

‘엄정하다’
(엄숙하고 깨끗하다.)의 어근.

13. 인부정 (人不淨) [인부정]

한자: 人(사람 인), 不(아닐 불), 淨(깨끗할 정)

꺼려야 할 사람을 피하거나 금하지 아니하여 생기는 부정.

14. 자정 (自淨) [자정]

한자: 自(스스로 자), 淨(깨끗할 정)

「1」오염된 물이나 땅 따위가 물리학적·화학적·생물학적 작용으로 저절로 깨끗해짐.
「2」비리 따위로 부패된 조직이 어떤 조치를 함으로써 스스로를 정화(淨化)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생태계의 자정 능력.
  • 「2」언론계의 자정 노력.

15. 장세정 (腸洗淨) [장:세정]

한자: 腸(창자 장), 洗(씻을 세:), 淨(깨끗할 정)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장 안의 유독 물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하는 일. 어린아이의 위장병, 특히 대장염 따위를 치료할 때에 이용되는 방법이다.

16. 정정 (淨淨) [정정]

한자: 淨(깨끗할 정), 淨(깨끗할 정)

‘정정하다’
(아주 맑고 깨끗하다.)의 어근.

17. 진부정 (진不淨) [진부정]

한자: 不(아닐 부), 淨(깨끗할 정)

사람이 죽어서 생긴다고 하는 부정.

18. 징정 (澄淨) [징정]

한자: 澄(맑을 징), 淨(깨끗할 정)

‘징정하다’
(물이 맑고 깨끗하다.)의 어근.

19. 척정 (滌淨) [척쩡]

한자: 滌(씻을 척), 淨(깨끗할 정)

씻어서 깨끗하게 함.

20. 청정 (淸淨) [청정]

한자: 淸(맑을 청), 淨(깨끗할 정)

「1」맑고 깨끗함.
「2」맑고 깨끗하게 함.
「3」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함.
「4」계행(戒行)이 매우 조촐함.

용례:

  • 「1」청정 해역.
  • 「2」청정 작업.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