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精 정할 정

1. 간정 (肝精) [간:정]

한자: 肝(간 간(:)), 精(정할 정)

포유류나 물고기의 간장에서 유효 성분만을 뽑아내어 만든 영양제.

2. 개자정 (芥子精) [개자정]

한자: 芥(겨자 개), 子(아들 자), 精(정할 정)

개자유와 알코올을 1 대 9의 비율로 섞은 약제. 피부의 자극제로 쓴다.

3. 계피정 (桂皮精) [계:피정]

한자: 桂(계수나무 계:), 皮(가죽 피), 精(정할 정)

계피유와 알코올을 혼합한 약물. 위약으로 쓰거나 약재의 불쾌한 맛이나 고약한 냄새를 없애는 데 쓴다.

4. 고정 (固精) [고정]

한자: 固(굳을 고(:)), 精(정할 정)

병자나 허약한 사람의 정력(精力)을 강하게 함.

5. 곡정 (穀精) [곡쩡]

한자: 穀(곡식 곡), 精(정할 정)

곡식의 자양분.

6. 기정 (氣精) [기정]

한자: 氣(기운 기), 精(정할 정)

기력(氣力)이나 정력(精力).

7. 누정 (漏精) [누:정]

한자: 漏(샐 루:), 精(정할 정)

성교를 하지 아니하고 무의식중에 정액이 몸 밖으로 나오는 일. 수면 중 꿈을 꾸면서 사정하는 것은 생리적 현상이나 그 이외의 것은 병적 증상이다. 흔히 몸이 허약할 때 일어난다.

8. 단정 (丹精) [단정]

한자: 丹(붉을 단), 精(정할 정)

붉은 정성이라는 뜻으로, 마음속으로부터 진심으로 우러나오는 뜨거운 정성을 이르는 말.

9. 도정 (搗精) [도정]

한자: 搗(찧을 도), 精(정할 정)

곡식을 찧거나 쓿음.

용례:

  • 곡물 도정.
  • 추수철을 맞아 정미소에서는 벼 도정 작업이 한창이다.

10. 매정 (媒精) [매정]

한자: 媒(중매 매), 精(정할 정)

정자를 난자에 결합시키는 일.

11. 면마정 (綿馬精) [면마정]

한자: 綿(솜 면), 馬(말 마:), 精(정할 정)

관중(貫衆)의 뿌리를 에테르에 녹인 녹색의 걸쭉한 액체. 쓴맛이 나며 촌충, 십이지장충 따위를 없애는 데 쓰인다.

12. 몽정 (夢精) [몽:정]

한자: 夢(꿈 몽), 精(정할 정)

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성적인 쾌감을 얻으면서 정액을 내보냄.

용례:

  • 몽정을 경험하다.
  • 종세는 어쩌다 새벽에 몽정을 하는 것 같은 쾌감이 아랫도리에서 번져 오는 것을 느꼈다.≪최인호, 지구인≫

13. 박하정 (薄荷精) [바카정]

한자: 薄(엷을 박), 荷(멜 하(:)), 精(정할 정)

박하유와 알코올을 1 대 9의 비율로 섞은 무색투명한 휘발성의 액체. 건위제, 구풍제 따위로 쓴다.

14. 부정 (不精) [부정]

한자: 不(아닐 불), 精(정할 정)

‘부정하다’
(조촐하거나 깨끗하지 못하고 거칠고 지저분하다.)의 어근.

15. 사정 (射精) [사정]

한자: 射(쏠 사(:)), 精(정할 정)

남성의 생식기에서 정액을 반사적으로 내쏘는 일. 생식기에 가해지는 자극에 의하여 사정 중추가 흥분하면 일어난다.

16. 삼정 (蔘精) [삼정]

한자: 蔘(삼 삼), 精(정할 정)

인삼의 진액.

17. 상정 (傷精) [상정]

한자: 傷(다칠 상), 精(정할 정)

정기가 쇠약하여지거나 정혈(精血)이 소모된 것. 지나친 성생활 뒤, 또는 오랜 병을 앓고 난 뒤에 생긴다.

18. 설정 (泄精) [설쩡]

한자: 泄(샐 설), 精(정할 정)

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성적인 쾌감을 얻으면서 정액을 내보냄.

19. 수정 (受精) [수정]

한자: 受(받을 수(:)), 精(정할 정)

암수의 생식 세포가 하나로 합쳐져 접합자가 됨. 또는 그런 현상. 동물은 정자와 난자가 합쳐져 수정란을 이루고, 종자식물에서는 암술의 씨방 안의 난핵과 수술의 정핵이 결합하여 수정란을 만든다.

20. 수정 (授精) [수정]

한자: 授(줄 수), 精(정할 정)

정자를 난자에 결합시키는 일.

21. 순주정 (純酒精) [순주정]

한자: 純(순수할 순), 酒(술 주(:)), 精(정할 정)

다른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아니한 순수한 주정.

22. 신정 (腎精) [신:정]

한자: 腎(콩팥 신:), 精(정할 정)

「1」남성의 정력이나 정액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2」신(腎)의 정기(精氣).

23. 안정 (眼精) [안:정]

한자: 眼(눈 안:), 精(정할 정)

궁중에서, ‘눈’을 이르던 말.

용례:

밖에서 나는 무슨 소리에, 왕은 흠칫하며 안정을 떴다.≪김동인, 대수양≫

24. 양정 (陽精) [양정]

한자: 陽(볕 양), 精(정할 정)

음양 가운데 양(陽)의 정기.

25. 여정 (勵精) [여:정]

한자: 勵(힘쓸 려:), 精(정할 정)

마음을 가다듬고 성의껏 힘씀.

26. 연정 (硏精) [연:정]

한자: 硏(갈 연:), 精(정할 정)

자세히 연구함.

27. 염정 (炎精) [염정]

한자: 炎(불꽃 염), 精(정할 정)

「1」‘태양’(太陽)을 달리 이르는 말.
「2」불을 맡아 다스리거나 불을 낸다고 하는 귀신.

28. 예정 (銳精) [예:정]

한자: 銳(날카로울 예:), 精(정할 정)

어떤 일을 잘하려고 단단히 차리는 마음.

29. 요정 (妖精) [요정]

한자: 妖(요사할 요), 精(정할 정)

「1」요사스러운 정령.
「2」서양 전설이나 동화에 많이 나오는, 사람의 모습을 하고 불가사의한 마력을 지닌 초자연적인 존재.

용례:

  • 「2」숲속의 요정.
  • 「2」공주는 요정의 예언대로 아름답게 자랐습니다.
  • 「2」그녀는 요정처럼 아름답고 매혹적이었다.

30. 요정 (尿精) [요정]

한자: 尿(오줌 뇨), 精(정할 정)

오줌에 정액이 섞여 나오는 증상.

31. 위수정 (僞受精) [위수정]

한자: 僞(거짓 위), 受(받을 수(:)), 精(정할 정)

어떤 동물의 난자에 다른 동물의 정자가 들어가서 정핵이 난핵과 결합하지 않고도 배아가 이루어지는 현상.

32. 유정 (遺精) [유정]

한자: 遺(남길 유), 精(정할 정)

성교를 하지 아니하고 무의식중에 정액이 몸 밖으로 나오는 일. 수면 중 꿈을 꾸면서 사정하는 것은 생리적 현상이나 그 이외의 것은 병적 증상이다. 흔히 몸이 허약할 때 일어난다.

33. 육정 (毓精) [육쩡]

한자: 毓(키울 육), 精(정할 정)

정기를 받음.

34. 음정 (陰精) [음정]

한자: 陰(그늘 음), 精(정할 정)

음양 중에서 음(陰)의 정기.

35. 인공수정 (人工受精) [인공수정]

한자: 人(사람 인), 工(장인 공), 受(받을 수(:)), 精(정할 정)

인위적으로 채취한 수컷의 정액을 암컷의 생식기 안에 주입하여 수정시키는 일. 가축, 어류 따위의 번식이나 품종 개량에 이용하며, 사람의 불임증에도 시행하고 있다.

36. 일정 (日精) [일쩡]

한자: 日(날 일), 精(정할 정)

해의 정기(精氣).

37. 장뇌정 (樟腦精) [장뇌정]

한자: 樟(녹나무 장), 腦(골/뇌수 뇌), 精(정할 정)

정제한 캠퍼를 알코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에 녹여 만든 액제. 강심제로 쓰거나, 마비·류머티즘·신경통·타박상 따위를 치료하기 위하여 도포제로 쓴다.

38. 적정 (積精) [적쩡]

한자: 積(쌓을 적), 精(정할 정)

정기(精氣)를 쌓음. 또는 쌓인 정기.

39. 종정 (宗精) [종정]

한자: 宗(마루 종), 精(정할 정)

콩팥에 저장되어 있는 정액.

40. 지정 (至精) [지정]

한자: 至(이를 지), 精(정할 정)

‘지정하다’
(「1」더할 나위 없이 깨끗하다.
「2」더할 나위 없이 정밀하다.)의 어근.

41. 진주정 (眞珠精) [진주정]

한자: 眞(참 진), 珠(구슬 주), 精(정할 정)

물고기의 비늘에서 채취한 반투명의 광택이 있는 물질. 도료(塗料)나 인공 진주를 만드는 데 쓴다.

42. 채정 (採精) [채:정]

한자: 採(캘 채:), 精(정할 정)

인공 수정 따위를 하기 위하여 정액을 채취하여 모음.

43. 체내수정 (體內受精) [체내수정]

한자: 體(몸 체), 內(안 내:), 受(받을 수(:)), 精(정할 정)

모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정. 주로 교미에 의하여 정자가 암컷의 체내에 들어가 그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진다.

44. 체외수정 (體外受精) [체외수정]

한자: 體(몸 체), 外(바깥 외:), 受(받을 수(:)), 精(정할 정)

모체 밖에서 이루어지는 수정. 물에 사는 동물에 흔히 있는데, 물속에 낳은 알에 정자가 붙어서 수정한다.

45. 탄정 (殫精) [탄:정]

한자: 殫(다할 탄), 精(정할 정)

모든 정력을 기울임.

46. 호정 (狐精) [호정]

한자: 狐(여우 호), 精(정할 정)

여우의 넋.

47. 홍삼정 (紅蔘精) [홍삼정]

한자: 紅(붉을 홍), 蔘(삼 삼), 精(정할 정)

홍삼을 원료로 하여 용매로써 추출하여 제조한 것.

48. 황정 (黃精) [황정]

한자: 黃(누를 황), 精(정할 정)

죽대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으며 여위는 데 보약으로 쓴다.

49. 회향정 (茴香精) [회향정]

한자: 茴(회향 회), 香(향기 향), 精(정할 정)

회향유를 알코올에 섞은 액체. 건위(健胃), 거담(祛痰), 흥분 따위를 치료하는 약재로 쓰인다.

50. 희주정 (稀酒精) [히주정]

한자: 稀(드물 희), 酒(술 주(:)), 精(정할 정)

물을 섞어 농도를 묽게 한 주정.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