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正 바를 정 - 1

1. 간정 (諫正) [간:정]

한자: 諫(간할 간:), 正(바를 정(:))

잘못을 간하여 바로잡음.

2. 강정 (剛正) [강정]

한자: 剛(굳셀 강), 正(바를 정(:))

‘강정하다’
(굳세고 바르다.)의 어근.

3. 개정 (改正) [개:정]

한자: 改(고칠 개(:)), 正(바를 정(:))

주로 문서의 내용 따위를 고쳐 바르게 함.

용례:

  • 회칙 개정.
  • 악법의 개정에 힘쓰다.

4. 검정 (檢正) [검:정]

한자: 檢(검사할 검:), 正(바를 정(:))

잘 조사하여 바르게 하는 일.

5. 경정 (更正) [경정]

한자: 更(고칠 경), 正(바를 정(:))

「1」바르게 고침.
「2」납세 의무자의 신고가 없거나 신고액이 너무 적을 때에 정부가 과세 표준과 과세액을 변경하는 일.

용례:

「1」판결에 대한 경정을 신청하다.

6. 경정 (梗正) [경정]

한자: 梗(줄기/막힐 경:), 正(바를 정(:))

‘경정하다’
(강하고 바르다.)의 어근.

7. 고정 (考正) [고정]

한자: 考(생각할 고(:)), 正(바를 정(:))

심사하여 바로잡음.

8. 공정 (公正) [공정]

한자: 公(공평할 공), 正(바를 정(:))

공평하고 올바름.

용례:

  • 공정 보도.
  • 법관은 법과 양심에 따라 자신의 판결에 최대한 공정을 기해야 한다.

9. 광정 (匡正) [광정]

한자: 匡(바룰 광), 正(바를 정(:))

잘못된 것이나 부정(不正) 따위를 바로잡아 고침.

10. 교정 (校正) [교:정]

한자: 校(학교 교:), 正(바를 정(:))

교정쇄와 원고를 대조하여 오자, 오식, 배열, 색 따위를 바르게 고침.

용례:

  • 교정을 보다.
  • 교정을 안 했는지 책에 오자가 많다.
  • 요즘 같은 그런 신문의 교정을 보고 앉았을 바에야 차라리 구걸을 해서 먹고사는 편이 나을 거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11. 교정 (敎正) [교:정]

한자: 敎(가르칠 교:), 正(바를 정(:))

가르쳐서 바르게 함.

12. 교정 (矯正) [교:정]

한자: 矯(바로잡을 교:), 正(바를 정(:))

「1」틀어지거나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2」교도소나 소년원 따위에서 재소자의 잘못된 품성이나 행동을 바로잡음.
「3」골절이나 탈구로 어긋난 뼈를 본디로 돌리는 일.

용례:

  • 「1」말더듬이 교정.
  • 「1」척추 교정.
  • 「2」갱생을 위한 교정 프로그램.

13. 구정 (舊正) [구:정]

한자: 舊(예 구:), 正(바를 정(:))

「1」‘음력설’을 신정(新正)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음력 정월.

용례:

「1」구정을 쇠다.

14. 귀정 (歸正) [귀:정]

한자: 歸(돌아갈 귀:), 正(바를 정(:))

그릇되었던 일이 바른길로 돌아옴.

용례:

  • 아무리 괴롭고 부끄러운 어색한 노릇이라도 이왕 작정한 일은 귀정을 내어야 한다.≪현진건, 무영탑≫
  • 신성이의 부친의 병세는 모든 일이 귀정이 나서 안심이 되어 그러한지 전보다 훨씬 나은 모양이다.≪염상섭, 모란꽃 필 때≫
  • 어떻게 했으면 남자의 고민을 덜어 줄까 하는 애틋한 생각과 함께, 자기가 남자의 처지라면 어떻게 귀정을 짓겠는가를 곰곰이 궁리도 해 보았다.≪염상섭, 취우≫

15. 규정 (糾正) [규정]

한자: 糾(얽힐 규), 正(바를 정(:))

잘못을 밝혀 바로잡음.

16. 규정 (規正) [규정]

한자: 規(법 규), 正(바를 정(:))

바로잡아서 고침.

17. 균정 (均正) [균정]

한자: 均(고를 균), 正(바를 정(:))

‘균정하다’
(균형이 잡혀 바르다.)의 어근.

18. 근정 (斤正) [근정]

한자: 斤(근[무게단위]/날[刃] 근), 正(바를 정(:))

도끼로 쳐 내어 잘못을 바로잡는다는 뜻으로, 시문(時文)의 수정을 청함을 겸손하게 일러 쓰는 말.

19. 근정 (謹正) [근:정]

한자: 謹(삼갈 근:), 正(바를 정(:))

‘근정하다’
(삼가며 침착하고 올바르다.)의 어근.

20. 금정 (金正) [금정]

한자: 金(쇠 금), 正(바를 정(:))

가을의 신(神).

21. 단정 (端正) [단정]

한자: 端(끝 단), 正(바를 정(:))

‘단정하다’
(옷차림새나 몸가짐 따위가 얌전하고 바르다.)의 어근.

22. 대승정 (大僧正) [대:승정]

한자: 大(큰 대(:)), 僧(중 승), 正(바를 정(:))

승려가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벼슬.

23. 대정 (大正) [대:정]

한자: 大(큰 대(:)), 正(바를 정(:))

서양 글자의 활자체의 하나. 정자로 된 큰 글자로, 흔히 인쇄물의 글귀 첫머리에 쓴다.

24. 명정 (明正) [명정]

한자: 明(밝을 명), 正(바를 정(:))

올바르게 밝힘.

25. 무수정 (無修正) [무수정]

한자: 無(없을 무), 修(닦을 수), 正(바를 정(:))

고쳐 바로잡은 곳이 없음.

용례:

  • 그의 논문이 무수정으로 통과했다.
  • 예산안이 국회에서 무수정으로 통과되었다.

26. 반정 (反正) [반:정]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正(바를 정(:))

「1」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감. 또는 그 상태로 돌아가게 함.
「2」난리를 진압하여 태평한 세상을 만듦.
「3」옳지 못한 임금을 폐위하고 새 임금을 세워 나라를 바로잡음. 또는 그런 일.

용례:

  • 「1」그러니 거기다 비석을 세울 반정은 꿈에도 생각하지 않은 그들이었습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 「3」인조의 반정.
  • 「3」반정이 일어나다.
  • 「3」반정을 일으키다.
  • 「3」반정으로 집권하다.
  • 「3」반정 음모를 꾸미다.

27. 방정 (方正) [방정]

한자: 方(모[棱] 방), 正(바를 정(:))

‘방정하다’
(「1」말이나 행동이 바르고 점잖다.
「2」모양이 네모지고 반듯하다.)의 어근.

28. 변정 (辨正) [변:정]

한자: 辨(분별할 변:), 正(바를 정(:))

옳고 그른 것을 따지어 바로잡음.

29. 보정 (補正) [보:정]

한자: 補(기울 보:), 正(바를 정(:))

「1」부족한 부분을 보태어 바르게 함.
「2」실험, 관측 또는 근삿값 계산 따위에서 결과에 포함된 외부적 원인에 의한 오차를 없애고 참값에 가까운 값을 구하는 것.
「3」소장(訴狀)의 형식적 요인 따위에 결함이 있을 경우에 이를 정정하고 보충하는 일.
「4」옷 가공에서, 시침바느질한 옷을 입혀 보고 모자란 것을 보태고 잘못을 바로잡음.

용례:

  • 「1」사진 보정 작업.
  • 「1」좀 더 부드러운 느낌이 나도록 전문 업체에 이미지 보정을 맡겼다.

30. 부정 (不正) [부정]

한자: 不(아닐 불), 正(바를 정(:))

올바르지 아니하거나 옳지 못함.

용례:

  • 부정 축재.
  • 입시 부정.
  • 부정을 방지하다.
  • 부정을 저지르다.
  • 남달리 정의감과 결벽성이 세기 때문에 사소한 부정이나 불의를 보고도 참지 못하는 그는….≪손창섭, 잉여 인간≫

31. 불공정 (不公正) [불공정]

한자: 不(아닐 불), 公(공평할 공), 正(바를 정(:))

공평하고 올바르지 아니함.

용례:

  • 불공정 거래 행위.
  • 의식의 단절은 정치적 불안이나 분배의 불공정보다 더욱 우리 사회를 위태롭게 할지 모른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32. 비정 (批正) [비:정]

한자: 批(비평할 비:), 正(바를 정(:))

비평하여 정정(訂正)함.

33. 사정 (司正) [사정]

한자: 司(맡을 사), 正(바를 정(:))

「1」그릇된 일을 다스려 바로잡음.
「2」조선 시대에, 오위(五衛)에 속한 정칠품 벼슬. 부사정의 위, 부사과(副司果)의 아래였다.

용례:

「1」사정 위원.

34. 사정 (邪正) [사정]

한자: 邪(간사할 사), 正(바를 정(:))

그릇됨과 올바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사정을 가리다.

35. 사정 (査正) [사정]

한자: 査(조사할 사), 正(바를 정(:))

조사하여 그릇된 것을 바로잡음.

36. 삭정 (削正) [삭쩡]

한자: 削(깎을 삭), 正(바를 정(:))

글이나 시구(詩句) 따위에서, 필요 없는 글자나 글귀를 지우고 바르게 고침.

37. 상정 (詳正) [상정]

한자: 詳(자세할 상), 正(바를 정(:))

‘상정하다’
(상세하고 정확하다.)의 어근.

38. 서정 (緖正) [서:정]

한자: 緖(실마리 서:), 正(바를 정(:))

근본을 올바르게 함.

39. 선정 (善正) [선:정]

한자: 善(착할 선:), 正(바를 정(:))

이치에 맞고 옳은 일.

40. 수정 (修正) [수정]

한자: 修(닦을 수), 正(바를 정(:))

바로잡아 고침.

용례:

  • 궤도의 수정.
  • 대폭적인 수정.
  • 향후 목표에 근본적인 수정을 가하다.
  • 전반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正 바를 정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