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政 정사(政事) 정 - 2

46. 시정 (柴政) [시정]

한자: 柴(섶[薪] 시:), 政(정사(政事) 정)

연료에 관련된 일이나 대책.

용례:

올겨울은 춥지 않아서 시정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47. 식민행정 (植民行政) [싱민행정]

한자: 植(심을 식), 民(백성 민),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식민지에서 행하는 본국 정부의 통치 행정.

48. 신정 (新政) [신정]

한자: 新(새 신), 政(정사(政事) 정)

새로운 정치.

용례:

새 정부의 신정을 기대하다.

49. 실정 (失政) [실쩡]

한자: 失(잃을 실), 政(정사(政事) 정)

정치를 잘못함. 또는 잘못된 정치.

용례:

  • 실정을 저지르다.
  • 실정을 거듭하다.
  • 백제란 나라는 의자왕의 방탕과 실정, 그리고 시운의 저주로 인하여 마땅히 패망해 갈 수밖에 없었다는….≪이청준, 춤추는 사제≫

50. 악정 (惡政) [악쩡]

한자: 惡(악할 악), 政(정사(政事) 정)

백성을 괴롭히고 나라를 잘못되게 하는 정치.

용례:

  • 백성이 악정에 시달리다.
  • 그 아비가 선정을 베풀었건 악정을 베풀었건, 고부하고는 생판 아무 상관도 없는 태인에서 사또질을 했는데….≪송기숙, 녹두 장군≫

51. 압정 (壓政) [압쩡]

한자: 壓(누를 압), 政(정사(政事) 정)

‘압제 정치’(권력이나 폭력 따위로 억눌러 국민의 자유를 속박하는 정치.)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압정에 시달리다.

52. 연정 (聯政) [연정]

한자: 聯(연이을 련), 政(정사(政事) 정)

‘연립 정부’(둘 이상의 정당이나 단체의 연합에 의하여 세워진 정부.)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연정을 구성하다.
  • 연정을 수립하다.
  • 연정을 이루다.

53. 영의정 (領議政) [영이정]

한자: 領(거느릴 령), 議(의논할 의(:)), 政(정사(政事) 정)

조선 시대 의정부의 으뜸 벼슬. 정일품의 품계로 서정(庶政)을 총괄하는 최고의 지위이다.

54. 왕정 (王政) [왕정]

한자: 王(임금 왕), 政(정사(政事) 정)

「1」임금이 다스리는 정치.
「2」군주가 나라의 모든 일을 관할하는 정치.

용례:

「2」왕정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실시하다.

55. 왜정 (倭政) [왜정]

한자: 倭(왜나라 왜), 政(정사(政事) 정)

일본이 침략하여 강점하고 다스리던 정치.

용례:

  • 왜정 치하.
  • 왜정의 사슬에서 벗어나다.
  • 36년간의 왜정은 우리의 역사를 굴욕 속으로 빠지게 하였다.
  • 왜정에 아부하여 조국을 팔아먹고 동포를 괴롭혔던 악질적 친일파, 민족 반역자를 처단하라는….≪최일남, 거룩한 응달≫

56. 외무행정 (外務行政) [외:무행정]

한자: 外(바깥 외:), 務(힘쓸 무:),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의 대외적 작용. 다른 여러 나라와 교섭하여 자기 나라의 국제적 지위를 주장하고 외국에 있는 자국민의 이익을 보호하며 다른 나라와 함께 세계 평화와 문화에 공헌하기 위한 작용이다.

57. 우의정 (右議政) [우:이정]

한자: 右(오를/오른(쪽) 우:), 議(의논할 의(:)), 政(정사(政事) 정)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한 정일품 벼슬.

58. 위생행정 (衛生行政) [위생행정]

한자: 衛(지킬 위), 生(날 생),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민의 건강을 보전하고 증진하기 위하여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에서 실시하는 행정. 보건 행정과 의약 행정으로 나눈다.

59. 위임행정 (委任行政) [위임행정]

한자: 委(맡길 위), 任(맡길 임(:)),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그 행정 사무를 소속 기관이 아닌 다른 공공 단체나 민간단체 또는 개인에게 맡기는 일.

60. 위정 (爲政) [위정]

한자: 爲(하/할 위(:)), 政(정사(政事) 정)

정치를 행함.

용례:

청조 말엽의 썩고 썩은 정치는 위정 당국자가 도둑이라고 지목받아 마땅한 것이었다.≪안수길, 북간도≫

61. 은정 (恩政) [은정]

한자: 恩(은혜 은), 政(정사(政事) 정)

은혜롭게 다스림.

용례:

  • 은정을 펼치다.
  • 온 백성이 전하께서 베푸신 은정에 감복하고 있습니다.

62. 인사행정 (人事行政) [인사행정]

한자: 人(사람 인), 事(일 사:),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인사 관리.

용례:

최고 사령관의 부관 실장이었으므로 인사 행정 등의 모든 권한을 쥐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였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63. 인정 (仁政) [인정]

한자: 仁(어질 인), 政(정사(政事) 정)

어진 정치.

용례:

  • 인정을 베풀다.
  • 인정을 펴다.

64. 일정 (日政) [일쩡]

한자: 日(날 일), 政(정사(政事) 정)

일본이 침략하여 강점하고 다스리던 정치.

용례:

일정 때에 왜놈들도 그 공사를 한다고 부산을 떨다가 측량만 손대곤 떠나 버린 공사가 아니었던가.≪한수산, 유민≫

65. 자치행정 (自治行政) [자치행정]

한자: 自(스스로 자), 治(다스릴 치),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1」지방 자치 단체나 공공 단체가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처리하는 행정.
「2」국민이나 주민이 그들 스스로의 손에 의하여 또는 그들이 선출한 기관에 의하여 처리하는 행정.

66. 재무행정 (財務行政) [재무행정]

한자: 財(재물 재), 務(힘쓸 무:),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그 밖의 행정 주체가 필요로 하는 재원의 조달·관리·사용에 관한 행정.

67. 재정 (財政) [재정]

한자: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1」돈에 관한 여러 가지 일.
「2」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행정 활동이나 공공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자금을 만들어 관리하고 이용하는 경제 활동.
「3」개인, 가계, 기업 따위의 경제 상태.

용례:

  • 「3」요즘 우리 회사는 재정 상태가 좋지 않다.
  • 「3」철저한 경영으로 그는 주주들의 투자를 보호하고 기업의 재정을 안정시키며 부를 쌓아 올리는 데 성공했다.≪조세희,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68. 적극재정 (積極財政) [적끅째정]

한자: 積(쌓을 적), 極(다할/극진할 극),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출을 늘리고 경제의 확대를 꾀하려는 정책.

69. 적자재정 (赤字財政) [적짜재정]

한자: 赤(붉을 적), 字(글자 자),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조세 같은 경영 수입이 지출보다 부족하여 그 예산이 적자 상태인 국가 재정. 전시(戰時) 재정이나 전후(戰後)의 부흥 재정 따위가 원인이 되는 수가 많다.

70. 전기행정 (電氣行政) [전:기행정]

한자: 電(번개 전:), 氣(기운 기),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전기에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는 국가의 행정. 전기에 관한 보호 통제, 발전소의 설치 허가, 전기 공작물의 설치·보존의 감독, 전기 사업의 허가 및 감독 따위의 일을 한다.

71. 절대왕정 (絕對王政) [절때왕정]

한자: 絕(끊을 절), 對(대할 대:), 王(임금 왕), 政(정사(政事) 정)

군주가 어떠한 법률이나 기관에도 구속받지 않는 절대적 권한을 가지는 정치 체제.

용례:

  • 절대 왕정 시대.
  • 절대 왕정 체제.
  • 절대 왕정을 수립하다.
  • 절대 왕정을 타도하다.
  • 절대 왕정이 무너지다.

72. 좌의정 (左議政) [좌:이정]

한자: 左(왼 좌:), 議(의논할 의(:)), 政(정사(政事) 정)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하여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정치 및 외교 등의 일을 맡아보던 벼슬. 품계는 정일품이며 삼정승(三政丞)의 하나로, 우의정의 위, 영의정의 아래이다.

73. 중앙행정 (中央行政) [중앙행정]

한자: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중앙 관청에서 시행하는 행정.

74. 지방재정 (地方財政) [지방재정]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지방 자치 단체가 존립과 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재력을 확보하고 재정, 수입, 지출을 관리하는 작용. 자치 사업 수행을 위한 경제적 기초로서, 일반 회계와 특별 회계로 나눈다.

75. 지방행정 (地方行政) [지방행정]

한자: 地(따 지), 方(모[棱] 방),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지방 자치 단체나 지방 행정 기관이 행하는 행정.

76. 직업행정 (職業行政) [지겁행정]

한자: 職(직분 직), 業(업 업),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직업 소개, 직업 지도, 직업 보도(輔導), 감독자의 훈련, 실업 구제 따위에 관한 행정. 국민의 직업 안정과 완전 고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77. 집정 (執政) [집쩡]

한자: 執(잡을 집), 政(정사(政事) 정)

「1」정권을 잡음.
「2」정권을 잡고 있는 사람.
「3」프랑스 혁명기 제일 공화정 시대의 최고 통치자.

용례:

「2」동학군의 수중에 전주성이 떨어졌다는 장계 전문이 당장 조정에 올라가자 왕 이하 집정들은 경악하고 말았다.≪유현종, 들불≫

78. 참정 (參政) [참정]

한자: 參(참여할 참), 政(정사(政事) 정)

「1」정치에 참여함.
「2」대한 제국 때에, 의정부에 속한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내부대신이 겸하였다.
「3」고려 시대에, 중서 문하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목종 때에 종래의 문하평리를 고친 것으로, 충렬왕 1년(1275)에 첨의평리로 고쳤던 것을 공민왕이 다시 이것으로 고쳤다가 첨의평리로 고쳤다.

용례:

「1」근대 사회로 넘어 오면서 시민 의식이 성장하였으며 그들의 참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79. 초정 (初政) [초정]

한자: 初(처음 초), 政(정사(政事) 정)

새로 등극한 임금이나 새로 도임한 관찰사, 수령이 집무를 시작하던 일.

용례:

  • 지금 초정 때에 오히려 전조의 폐법을 본받으니 옳겠습니까?≪번역 단종실록≫
  • 더군다나 전하께서 즉위하신 초정에 마땅히 먼저 힘써야 할 바는 오로지 절약·근검하는 한 가지 일뿐이며….≪번역 성종실록≫

80. 탁상행정 (卓上行政) [탁쌍행정]

한자: 卓(높을 탁), 上(윗 상:),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탁상 위에서만 하는 행정이라는 뜻으로, 현실적이지 못한 행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1. 패정 (悖政) [패:정]

한자: 悖(거스를 패:), 政(정사(政事) 정)

도리를 벗어난 포악한 정치.

용례:

  • 패정에 항거하다.
  • 농민들은 패정을 견디다 못해 각처에서 봉기하였다.
  • 백성들을 괴롭히는 문제를 여덟 가지로 열거하여 이런 패정을 개혁해야 한다고 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82. 팽창재정 (膨脹財政) [팽창재정]

한자: 膨(불을 팽), 脹(부을 창:),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출을 늘리고 경제의 확대를 꾀하려는 정책.

83. 폐정 (弊政) [폐:정]

한자: 弊(폐단/해질 폐:), 政(정사(政事) 정)

폐단이 많은 정치.

용례:

관곡을 풀어 가난한 백성들부터 돌보고 곧바로 집강소를 설치하여 일사천리로 폐정을 개혁해 나갔다.≪송기숙, 녹두 장군≫

84. 폭정 (暴政) [폭쩡]

한자: 暴(사나울 폭), 政(정사(政事) 정)

포악한 정치.

용례:

  • 폭정 아래서 신음하고 있는 백성들.
  • 폭정에 시달리다.
  • 티우 아래선 소수의 폭정과 소수에 의한 공공연한 착취가 묵인되고 있는 실정이 아니었습니까?≪박영한, 인간의 새벽≫

85. 학정 (虐政) [학쩡]

한자: 虐(모질 학), 政(정사(政事) 정)

포학하고 가혹한 정치.

용례:

  • 학정에 시달리다.
  • 백성들이 학정에 항거해 난을 일으켰다.

86. 항공행정 (航空行政) [항:공행정]

한자: 航(배 항:), 空(빌 공),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항공기 및 항공 시설에 관한 보호, 단속, 장려, 지도 따위를 맡아보는 행정 사무.

87. 행정 (行政) [행정]

한자: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1」정치나 사무를 행함.
「2」보급, 위생, 수송 따위의 전술과 전략을 제외한 모든 군사 사항을 관리하거나 운용하는 일.
「3」국가 통치 작용 가운데 입법 작용과 사법 작용을 제외한 국가 작용. 법 아래에서 법의 규제를 받으면서 국가 목적 또는 공익을 실현하기 위하여 행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국가 작용이다.

용례:

  • 「1」행정 경험.
  • 「1」행정을 맡다.

88. 헌정 (憲政) [헌:정]

한자: 憲(법 헌:), 政(정사(政事) 정)

‘입헌 정치’(헌법에 따라 행하는 정치.)를 줄여 이르는 말.

89. 혁정 (革政) [혁쩡]

한자: 革(가죽 혁), 政(정사(政事) 정)

「1」정치를 개혁함.
「2」중국 고대의 역법 사상에서, 세성(歲星)이 묘유(卯酉)에 해당되어 정치 변혁이 많다고 하여 꺼리던 해.
「3」‘혁명 정부’(혁명을 일으킨 세력이 구성한 정부.)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1」혁정의 의지.
  • 「1」혁정을 하고자 하는 젊은 정치인들.

90. 황정 (荒政) [황정]

한자: 荒(거칠 황), 政(정사(政事) 정)

「1」흉년에 백성을 구하는 정책.
「2」임금이 정사를 게을리하는 것.

용례:

「1」예로부터 흉년이 들면 나라에서는 황정을 베풀어야 하는데도 아예 강 건너 불구경하듯 모른 척해 버렸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政 정사(政事) 정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