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종 (強從) [강:종]
한자: 強(강할 강(:)), 從(좇을 종(:))
「1」마지못하여 따름.
「2」억지로 복종을 시킴.
2. 겸종 (傔從) [겸종]
한자: 傔(시중들 겸), 從(좇을 종(:))
양반집에서 잡일을 맡아보거나 시중을 들던 사람. 수청방(守廳房)에 있었다.
3. 고종 (姑從) [고종]
한자: 姑(시어미 고), 從(좇을 종(:))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
4. 곡종 (曲從) [곡쫑]
한자: 曲(굽을 곡), 從(좇을 종(:))
임시변통으로 자기의 의사를 굽히어 좇음.
5. 과종 (過從) [과:종]
한자: 過(지날 과:), 從(좇을 종(:))
서로 사이좋게 지냄.
6. 구종 (苟從) [구종]
한자: 苟(진실로/구차할 구), 從(좇을 종(:))
분별없이 맹목적으로 좇아 따름.
7. 구종 (驅從) [구종]
한자: 驅(몰 구), 從(좇을 종(:))
「1」말을 타고 갈 때에 고삐를 잡고 앞에서 끌거나 뒤에서 따르는 하인.
「2」벼슬아치를 모시고 따라다니던 하인.
용례:
「2」이 대감은 구종을 전후좌우로 거느리고 지나갔다.
8. 굴종 (屈從) [굴쫑]
한자: 屈(굽힐 굴), 從(좇을 종(:))
제 뜻을 굽혀 남에게 복종함.
용례:
- 억압과 굴종으로 얼룩진 역사.
- 무력에 의한 굴종을 거부하다.
- 이대로 가서는 민족의 동질성은커녕 존립조차 위태로워지는 예속과 굴종의 세월이 기다릴 뿐이라는 것도 알고 있지.≪이문열, 변경≫
9. 귀종 (歸從) [귀:종]
한자: 歸(돌아갈 귀:), 從(좇을 종(:))
시중을 들기 위하여 붙어 다님.
10. 극종 (克從) [극쫑]
한자: 克(이길 극), 從(좇을 종(:))
「1」이겨서 복종을 시킴.
「2」잘 복종함.
11. 근종 (跟從) [근종]
한자: 跟(발꿈치 근), 從(좇을 종(:))
윗사람을 모시고 뒤를 따라감.
12. 긍종 (肯從) [긍:종]
한자: 肯(즐길 긍:), 從(좇을 종(:))
기꺼이 따름.
13. 기종 (騎從) [기종]
한자: 騎(말탈 기), 從(좇을 종(:))
말을 타고 따라감. 또는 그런 사람.
14. 낙종 (樂從) [낙쫑]
한자: 樂(즐길 락), 從(좇을 종(:))
기쁜 마음으로 복종함.
15. 낙종 (諾從) [낙쫑]
한자: 諾(허락할 낙), 從(좇을 종(:))
마음속으로 받아들여 진심으로 따라 좇음.
16. 내외종 (內外從) [내:외종]
한자: 內(안 내:), 外(바깥 외:), 從(좇을 종(:))
내종사촌과 외종사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17. 내종 (內從) [내:종]
한자: 內(안 내:), 從(좇을 종(:))
‘고종’(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을 외종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예전에는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18. 도종 (導從) [도:종]
한자: 導(인도할 도:), 從(좇을 종(:))
행렬에서, 앞과 뒤에서 수행하는 사람. 도는 앞에 서는 사람을, 종은 뒤에 따라가는 사람을 이른다.
19. 말구종 (말驅從) [말구종]
한자: 驅(몰 구), 從(좇을 종(:))
말을 타고 갈 때에 고삐를 잡고 앞에서 끌거나 뒤에서 따르는 하인.(마종)
용례:
돌석이는 갓 쓴 하인으로 길양식 자루를 걸머지고 말 뒤를 따르고 오주는 말구종으로 벙거지 쓰고 흑의 입고 선전 나리의 활과 전등을 엇메고 견마를 잡았었다.≪홍명희, 임꺽정≫
20. 맹종 (盲從) [맹종]
한자: 盲(소경/눈멀 맹), 從(좇을 종(:))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남이 시키는 대로 덮어놓고 따름.
용례:
순응과 복종, 그것은 인간 사회의 가장 선한 미덕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이 굴종이나 맹종일 때에는 차라리 악덕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전광용, 태백산맥≫
21. 면종 (勉從) [면:종]
한자: 勉(힘쓸 면:), 從(좇을 종(:))
「1」마지못하여 복종함.
「2」무슨 일을 힘써 행함.
22. 면종 (面從) [면:종]
한자: 面(낯 면:), 從(좇을 종(:))
보는 앞에서만 순종함.
23. 무종 (務從) [무:종]
한자: 務(힘쓸 무:), 從(좇을 종(:))
될 수 있는 대로.
24. 묵종 (默從) [묵쫑]
한자: 默(잠잠할 묵), 從(좇을 종(:))
말없이 남의 명령이나 요구 또는 의사에 그대로 따라서 좇음.
25. 배종 (陪從) [배:종]
한자: 陪(모실 배:), 從(좇을 종(:))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가는 일.
용례:
마마의 환궁 행차에 쇤네 같은 천출이 배종을 한다 하면 마마의 체모에 욕이 될 것입니다.≪김주영, 객주≫
26. 별배종 (別陪從) [별배종]
한자: 別(다를/나눌 별), 陪(모실 배:), 從(좇을 종(:))
한직에 있는 문관으로서, 임금이 나들이할 때 임금의 행차를 받들던 사람. 또는 그 벼슬.
27. 보종 (步從) [보:종]
한자: 步(걸음 보:), 從(좇을 종(:))
「1」왕의 명을 받은 높은 벼슬아치가 올 때에, 노문(路文)을 받은 역(驛)에서 보내어 따르게 하던 역졸.
「2」왕이 거둥할 때에 백관이 걸어서 뒤를 따르던 일.
용례:
「1」사명을 받고 가는 행차에 보종에게도 말을 지급하기로 한다면 거기에 드는 말의 수효가 매우 많을 것이니….≪번역 광해군일기≫
28. 복종 (服從) [복쫑]
한자: 服(옷 복), 從(좇을 종(:))
남의 명령이나 의사를 그대로 따라서 좇음.
용례:
그의 부모는 아들에게 무조건적인 복종을 요구하였다.
29. 복종 (僕從) [복쫑]
한자: 僕(종 복), 從(좇을 종(:))
종으로 부리는 남자.
30. 부종 (不從) [부종]
한자: 不(아닐 불), 從(좇을 종(:))
좇지 아니하거나 따르지 아니함.
31. 부종 (附從) [부:종]
한자: 附(붙을 부(:)), 從(좇을 종(:))
「1」가까이에 붙어서 좇음.
「2」매이어 복종함.
32. 불복종 (不服從) [불복쫑]
한자: 不(아닐 불), 服(옷 복), 從(좇을 종(:))
명령이나 결정 따위에 대하여 그대로 따라서 좇지 아니함.
용례:
- 객관적으로 수긍할 만한 이유 없이 지시된 보고서 제출의 기한을 넘기면 당명 불복종으로 치고 징계를 하든지, 이에 상응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공산당의 관행이다.≪이병주, 지리산≫
- 빨리 진통제 갖고 와. 명령이다. 만약에 불복종이면 난 너를 내일 아침에 군법 회의에 회부하겠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33. 불순종 (不順從) [불쑨종]
한자: 不(아닐 불), 順(순할 순:), 從(좇을 종(:))
운명이나 남의 말 따위에 순순히 따르지 아니함.
용례:
여필종부의 시대에서는 남편에 대한 아내의 불순종이 사회적인 죄악으로 간주되었다.
34. 사종 (四從) [사:종]
한자: 四(넉 사:), 從(좇을 종(:))
십촌뻘 되는 형제자매.
용례:
두 사종 간 자매의 신세가 하도 기구하고 처량하여 눈물이 앞을 가린다.≪최명희, 혼불≫
35. 삼종 (三從) [삼종]
한자: 三(석 삼), 從(좇을 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6. 삼종 (三從) [삼종]
한자: 三(석 삼), 從(좇을 종(:))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이다.
37. 상종 (相從) [상종]
한자: 相(서로 상), 從(좇을 종(:))
서로 따르며 친하게 지냄.
용례:
- 상종 못 할 사람.
- 그 후 소련이와 나 사이에는 남모르는 상종이 빈번하여졌다.≪이태준, 그림자≫
38. 소종 (所從) [소:종]
한자: 所(바 소:), 從(좇을 종(:))
지내 온 근본 내력.
39. 속종 (屬從) [속쫑]
한자: 屬(붙일 속), 從(좇을 종(:))
어떤 것에 붙어서 좇음. 또는 그런 물건.
40. 수종 (首從) [수종]
한자: 首(머리 수), 從(좇을 종(:))
「1」일을 할 때 앞서서 하는 사람과 그 뒤를 따라 하는 사람.
「2」범죄 행위를 실행한 주범자와 종범자(從犯者).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從 좇을 종: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