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수종 (隨從) [수종]
한자: 隨(따를 수), 從(좇을 종(:))
남을 따라다니며 곁에서 심부름 따위의 시중을 듦. 또는 그렇게 시중을 드는 사람.
용례:
- 수종을 들다.
- 수종으로 부리다.
42. 순종 (順從) [순:종]
한자: 順(순할 순:), 從(좇을 종(:))
운명이나 남의 말 따위에 순순히 따름.
용례:
- 순종이 미덕이던 시대는 지났다.
- 아버지가 근심 있어 뵈면 명랑하게 설치던 유치한 반항도 자연스러운 순종으로 변해 갔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43. 승종 (承從) [승종]
한자: 承(이을 승), 從(좇을 종(:))
명령대로 따름.
44. 신종 (臣從) [신종]
한자: 臣(신하 신), 從(좇을 종(:))
신하로서 따라 좇음. 또는 그런 사람.
45. 신종 (信從) [신:종]
한자: 信(믿을 신:), 從(좇을 종(:))
믿고 따라 좇음.
46. 아종 (阿從) [아종]
한자: 阿(언덕 아), 從(좇을 종(:))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림. 또는 그런 말이나 짓.
47. 역종 (力從) [역쫑]
한자: 力(힘 력), 從(좇을 종(:))
힘에 억눌려 따름.
48. 영종 (影從) [영:종]
한자: 影(그림자 영:), 從(좇을 종(:))
그림자처럼 따라다님.
49. 예종 (隷從) [예:종]
한자: 隷(종 례:), 從(좇을 종(:))
노예와 같이 예속하여 복종함.
용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의 예종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의 예종이에요.≪유재용, 성역≫
50. 외종 (外從) [외:종]
한자: 外(바깥 외:), 從(좇을 종(:))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 예전에는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용례:
“뭐, 말씀 낮춰 하시지요. 바로 제 외종이에요.” “아, 자네 외종……. 아니 그럼 유 선달 자젠가.”≪이기영, 봄≫
51. 원종 (願從) [원:종]
한자: 願(원할 원:), 從(좇을 종(:))
따라가기를 원함.
52. 위종 (爲從) [위종]
한자: 爲(하/할 위(:)), 從(좇을 종(:))
다른 사람의 범죄 행위에 줏대 없이 가담한 사람.
53. 위종 (衛從) [위종]
한자: 衛(지킬 위), 從(좇을 종(:))
「1」호위하려고 곁에 따라다니던 일.
「2」대한 제국 때에, 황태손강서원에 속한 판임 벼슬.
54. 윤종 (允從) [윤:종]
한자: 允(맏[伯] 윤:), 從(좇을 종(:))
남의 말을 좇아 따름.
55. 응종 (應從) [응:종]
한자: 應(응할 응:), 從(좇을 종(:))
명령이나 요구 따위에 응하여 그대로 따름.
56. 이종 (姨從) [이종]
한자: 姨(이모 이), 從(좇을 종(:))
이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
57. 인종 (忍從) [인종]
한자: 忍(참을 인), 從(좇을 종(:))
묵묵히 참고 따름.
용례:
오랜 고생이 계속됨에도 불구하고 아내는 인내와 인종의 미덕을 보여 주었다.
58. 자종 (自從) [자종]
한자: 自(스스로 자), 從(좇을 종(:))
스스로 따르거나 복종함.
59. 재종 (再從) [재:종]
한자: 再(두 재:), 從(좇을 종(:))
육촌이 되는 관계.
용례:
결국 당숙하고 재종들은 불길에 휩싸인 집채 속에서 끝내 빠져나오지 못하고 말았다.≪윤흥길, 무지개는 언제 뜨는가≫
60. 적종 (適從) [적쫑]
한자: 適(맞을 적), 從(좇을 종(:))
의지하여 따라감.
61. 전종 (專從) [전종]
한자: 專(오로지 전), 從(좇을 종(:))
오로지 한 가지 일에만 종사함.
62. 주종 (主從) [주종]
한자: 主(임금/주인 주), 從(좇을 종(:))
「1」주인과 부하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주장이 되는 사물과 그에 딸린 사물.
용례:
- 「1」주종 의식.
- 「1」주종의 관계를 맺다.
- 「1」그들은 삼십 년 가까이나 비록 관계는 주종의 사이였어도 서로를 아껴 가며 친형제처럼 다정하게 살아왔다.≪홍성원, 육이오≫
63. 찬종 (贊從) [찬:종]
한자: 贊(도울 찬:), 從(좇을 종(:))
어떤 행동, 견해, 제안 따위가 옳거나 좋다고 판단하여 그것을 따름.
64. 척종 (戚從) [척쫑]
한자: 戚(친척 척), 從(좇을 종(:))
주로 편지글에서, 성(姓)이 다른 일가 가운데 손아랫사람에게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65. 청종 (聽從) [청종]
한자: 聽(들을 청), 從(좇을 종(:))
이르는 대로 잘 듣고 좇음.
66. 추종 (追從) [추종]
한자: 追(쫓을/따를 추), 從(좇을 종(:))
「1」남의 뒤를 따라서 좇음.
「2」어떤 사람이나 조직, 학설이나 주장 따위를 철저히 믿고 따름.
용례:
- 「1」그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 「2」추종 세력.
- 「2」주어진 법률에 유유낙낙 추종만 하고 있는 형편에선 변호사가 할 일이란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죠.≪이병주, 행복어 사전≫
67. 추종 (騶從) [추종]
한자: 騶(마부 추), 從(좇을 종(:))
윗사람을 따라다니는 종.
용례:
눈이 부실 듯한 백은 왕관에 흰 꿩 털을 꽂은 미소년이 홍포를 입고…추종과 의장을 거느린 뒤에….≪박종화, 다정불심≫
68. 축종 (逐從) [축쫑]
한자: 逐(쫓을 축), 從(좇을 종(:))
남의 뒤를 따라서 좇음.
69. 표종 (表從) [표종]
한자: 表(겉 표), 從(좇을 종(:))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 예전에는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70. 하종 (下從) [하:종]
한자: 下(아래 하:), 從(좇을 종(:))
아내가 죽은 남편의 뒤를 좇아 자결함.
용례:
그대로 머리를 기둥에 부딪쳐 세상을 떠나 버리니, 정 씨는 남편이 죽은 데 하종을 한 셈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71. 허종 (許從) [허종]
한자: 許(허락할 허), 從(좇을 종(:))
귀양 가는 죄수의 식구가 따라가도록 허락하던 일.
72. 협종 (脅從) [협쫑]
한자: 脅(위협할 협), 從(좇을 종(:))
남의 위협에 못 이겨 복종함.
73. 호종 (扈從) [호:종]
한자: 扈(따를 호:), 從(좇을 종(:))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 또는 그런 사람.
용례:
호종을 거느리다.
74. 호종 (護從) [호:종]
한자: 護(도울 호:), 從(좇을 종(:))
보호하며 따라감. 또는 그런 사람.
75. 후종 (後從) [후:종]
한자: 後(뒤 후:), 從(좇을 종(:))
뒤에서 따라감.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從 좇을 종: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