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寸 마디 촌:

1. 경촌 (徑寸) [경촌]

한자: 徑(지름길/길 경), 寸(마디 촌:)

한 치의 지름.

2. 계촌 (計寸) [계:촌]

한자: 計(셀 계:), 寸(마디 촌:)

일가의 촌수를 따짐. 또는 그렇게 하여 친족 관계를 찾음.

용례:

부모 돌아가신 뒤에 얼굴도 서로 모르던 계촌 양자를 해서 봉사를 시키면 무슨 의리와 무슨 정리가 있으리오.≪최찬식, 금강문≫

3. 고종사촌 (姑從四寸) [고종사:촌]

한자: 姑(시어미 고), 從(좇을 종(:)), 四(넉 사:), 寸(마디 촌:)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

용례:

아내가 고모부를 용납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그놈의 고종사촌 때문이었다.≪윤흥길, 무제≫

4. 구촌 (九寸) [구촌]

한자: 九(아홉 구), 寸(마디 촌:)

부모의 팔촌과의 촌수. 또는 팔촌의 자녀와의 촌수.

용례:

  • 구촌 아저씨.
  • 구촌 조카.

5. 근촌 (近寸) [근:촌]

한자: 近(가까울 근:), 寸(마디 촌:)

가까운 촌수.

6. 까마귀사촌 (까마귀四寸) [까마귀사:촌]

한자: 四(넉 사:), 寸(마디 촌:)

몸에 때가 끼어 시꺼먼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용례:

통 씻지를 못했는지 그의 모습은 영락없는 까마귀사촌이었다.

7. 내종사촌 (內從四寸) [내:종사:촌]

한자: 內(안 내:), 從(좇을 종(:)), 四(넉 사:), 寸(마디 촌:)

‘고종사촌’을 외종사촌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8. 동시촌 (同時寸) [동시촌]

한자: 同(한가지 동), 時(때 시), 寸(마디 촌:)

몸의 일정한 부위를 기준으로 등분한 부분의 길이로 침혈의 위치를 규정하는 단위.

9. 막냇삼촌 (막냇三寸) [망내쌈촌]

한자: 三(석 삼), 寸(마디 촌:)

맨 끝의 삼촌.

10. 먼촌 (먼寸) [먼:촌]

한자: 寸(마디 촌:)

촌수가 먼 일가. 또는 먼 친척.

용례:

  • 먼촌의 인척 관계.
  • 한필이 친구 중에 우리 혜인이 먼촌 오빠뻘이 되는 아이가 있거든요.≪백도기, 청동의 뱀≫

11. 방촌 (方寸) [방촌]

한자: 方(모[棱] 방), 寸(마디 촌:)

「1」한 치 사방의 넓이.
「2」사람의 마음은 가슴속의 한 치 사방의 넓이에 깃들어 있다는 뜻으로, ‘마음’을 달리 이르는 말.

12. 분촌 (分寸) [분촌]

한자: 分(나눌 분(:)), 寸(마디 촌:)

일 분 일 촌이라는 뜻으로, 아주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이번 일은 분촌도 양보할 수 없다.

13. 사촌 (四寸) [사:촌]

한자: 四(넉 사:), 寸(마디 촌:)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끼리의 촌수.

용례:

  • 사촌 누나.
  • 사촌 동생.
  • 사촌 형수.
  • 사촌 오빠.
  • 사촌 형.

14. 삼촌 (三寸) [삼촌]

한자: 三(석 삼), 寸(마디 촌:)

「1」부모의 형제자매와의 촌수.
「2」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특히 결혼하지 않은 아버지의 남자 동생을 이르거나 부를 때 쓴다.

용례:

「2」고모는 할머니 못지않게 삼촌의 귀환을 철석같이 믿고 있었다.≪윤흥길, 장마≫

15. 서삼촌 (庶三寸) [서:삼촌]

한자: 庶(여러 서:), 三(석 삼), 寸(마디 촌:)

할아버지의 서자(庶子)를 숙부로서 이르는 말.

16. 수촌 (手寸) [수촌]

한자: 手(손 수(:)), 寸(마디 촌:)

조선 시대에 사용하던 노비의 수결(手決). 왼손 가운뎃손가락의 첫째와 둘째 마디 사이의 길이를 재어 그림으로 그려 놓았으며 도장 대신 사용하였다.

17. 시사촌 (媤四寸) [시사촌]

한자: 媤(시집 시), 四(넉 사:), 寸(마디 촌:)

남편의 사촌 형제.

18. 시삼촌 (媤三寸) [시삼촌]

한자: 媤(시집 시), 三(석 삼), 寸(마디 촌:)

남편의 삼촌.

19. 시외삼촌 (媤外三寸) [시외삼촌]

한자: 媤(시집 시), 外(바깥 외:), 三(석 삼), 寸(마디 촌:)

남편의 외삼촌.

20. 심촌 (心寸) [심촌]

한자: 心(마음 심), 寸(마디 촌:)

속으로 품은 작은 뜻.

21. 십촌 (十寸) [십촌]

한자: 十(열 십), 寸(마디 촌:)

부모의 팔촌의 자녀끼리의 촌수.

22. 얼삼촌 (孼三寸) [얼삼촌]

한자: 孼(서자 얼), 三(석 삼), 寸(마디 촌:)

할아버지의 첩에서 난 삼촌.

23. 오촌 (五寸) [오:촌]

한자: 五(다섯 오:), 寸(마디 촌:)

부모의 사촌과의 촌수. 또는 사촌의 자녀와의 촌수.

용례:

할머니 생신 때 오신 그 친척이 나에게는 오촌 아저씨가 된다고 어머니께서 말씀하셨다.

24. 외사촌 (外四寸) [외:사촌]

한자: 外(바깥 외:), 四(넉 사:), 寸(마디 촌:)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

용례:

  • 외사촌 누이.
  • 외사촌 동생.
  • 어린 시절 여름 방학이면 항상 외가에 가서 외사촌과 함께 지냈다.

25. 외삼촌 (外三寸) [외:삼촌]

한자: 外(바깥 외:), 三(석 삼), 寸(마디 촌:)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용례:

외가에 가니 외할머니는 물론 외삼촌과 이모가 반갑게 맞아 주셨다.

26. 외종사촌 (外從四寸) [외:종사:촌]

한자: 外(바깥 외:), 從(좇을 종(:)), 四(넉 사:), 寸(마디 촌:)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 예전에는 고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27. 원촌 (原寸) [원촌]

한자: 原(언덕 원), 寸(마디 촌:)

실제 치수.

28. 원촌 (遠寸) [원:촌]

한자: 遠(멀 원:), 寸(마디 촌:)

먼 촌수.

29. 육촌 (六寸) [육촌]

한자: 六(여섯 륙), 寸(마디 촌:)

사촌의 자녀끼리의 촌수.

용례:

  • 육촌 누이.
  • 육촌 오빠.
  • 가깝대야 육촌, 칠촌이지. 가까운 일가도 없이 불쌍한 아이외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30. 이성사촌 (異姓四寸) [이:성사:촌]

한자: 異(다를 이:), 姓(성 성:), 四(넉 사:), 寸(마디 촌:)

성이 다른 사촌 형제. 고종사촌, 이종사촌, 외종사촌을 이른다.

용례:

“이 찬성 부인이 우리 아버지하고 이성사촌이오.” “그러면 이 찬성이 이성 오촌 고모부가 되니까 그 자제들하고 육촌 척이시구려.”≪홍명희, 임꺽정≫

31. 이웃사촌 (이웃四寸) [이욷싸:촌]

한자: 四(넉 사:), 寸(마디 촌:)

서로 이웃에 살면서 정이 들어 사촌 형제나 다를 바 없이 가까운 이웃.

용례:

  • 어려울 때는 먼 친척보다 이웃사촌이 낫다.
  • 이웃사촌으로 오순도순하게 살던 사람들이 눈에다 불을 켜고 물고 뜯고 싸우는 처참한 광경이 벌어졌다.≪송기숙, 암태도≫

32. 이종사촌 (姨從四寸) [이종사:촌]

한자: 姨(이모 이), 從(좇을 종(:)), 四(넉 사:), 寸(마디 촌:)

이모의 자녀를 이르는 말.

용례:

  • 오랜만에 이모 댁에 갔더니 이모와 이종사촌이 나를 반긴다.
  • 미심쩍은 면이 있었으나 강쇠가 산으로 돌아온 뒤 첫 번째 한 일은 이종사촌 짝쇠를 남원으로 이사시킨 것이다.≪박경리, 토지≫

33. 작은삼촌 (작은三寸) [자근삼촌]

한자: 三(석 삼), 寸(마디 촌:)

둘 이상의 삼촌 가운데 맏이가 아닌 삼촌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용례:

큰삼촌이나 외숙모가 뭐라고 그래도 할머닌 우리 편이잖아. 거기서 지내다가 엄마나 서울 간 작은삼촌한테서 소식이 오면 그때 가서 차차 생각하자.≪황석영, 영등포 타령≫

34. 작은외삼촌 (작은外三寸) [자그뇌:삼촌]

한자: 外(바깥 외:), 三(석 삼), 寸(마디 촌:)

외삼촌들 가운데 맨 위가 아닌 외삼촌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용례:

  • 외갓집에 가면 작은외삼촌이 가장 먼저 우리를 반겨 주었다.
  • 나의 외가에는 어머니 위로 큰외삼촌과 두 분의 작은외삼촌이 계신다.

35. 좌촌 (左寸) [좌:촌]

한자: 左(왼 좌:), 寸(마디 촌:)

조선 시대에 사용하던 노비의 수결(手決). 왼손 가운뎃손가락의 첫째와 둘째 마디 사이의 길이를 재어 그림으로 그려 놓았으며 도장 대신 사용하였다.

36. 중지동신촌 (中指同身寸) [중지동신촌]

한자: 中(가운데 중), 指(가리킬 지), 同(한가지 동), 身(몸 신), 寸(마디 촌:)

혈(穴)의 위치를 정할 때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 가운뎃손가락 둘째 마디의 길이를 1촌으로 하여 기준으로 삼는다.

37. 처사촌 (妻四寸) [처사촌]

한자: 妻(아내 처), 四(넉 사:), 寸(마디 촌:)

아내의 친정 사촌.

38. 처삼촌 (妻三寸) [처삼촌]

한자: 妻(아내 처), 三(석 삼), 寸(마디 촌:)

아내의 친정 삼촌.

용례:

처가붙이래야 지금은 다만 처삼촌이 정거장 거리에서 장국밥 장사를 하고 있는 외에는 처고모가 구읍내에서 살 뿐이요….≪염상섭, 이합≫

39. 처오촌 (妻五寸) [처오촌]

한자: 妻(아내 처), 五(다섯 오:), 寸(마디 촌:)

아내의 친정 당숙.

40. 처외삼촌 (妻外三寸) [처외삼촌]

한자: 妻(아내 처), 外(바깥 외:), 三(석 삼), 寸(마디 촌:)

아내의 외삼촌.

41. 척촌 (尺寸) [척촌]

한자: 尺(자 척), 寸(마디 촌:)

한 자 한 치라는 뜻으로, 얼마 되지 않는 조그마한 것을 이르는 말.

42. 촌촌 (寸寸) [촌:촌]

한자: 寸(마디 촌:), 寸(마디 촌:)

한 치 한 치.

43. 친사촌 (親四寸) [친사촌]

한자: 親(친할 친), 四(넉 사:), 寸(마디 촌:)

친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

44. 친삼촌 (親三寸) [친삼촌]

한자: 親(친할 친), 三(석 삼), 寸(마디 촌:)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이르는 말.

용례:

어쨌건 친삼촌이면서 질녀의 모습이 전혀 생각나지 않는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한무숙, 만남≫

45. 칠촌 (七寸) [칠촌]

한자: 七(일곱 칠), 寸(마디 촌:)

「1」일곱 치.
「2」부모의 육촌과의 촌수. 또는 육촌의 자녀와의 촌수.

용례:

  • 「2」칠촌 아저씨.
  • 「2」칠촌 조카.
  • 「2」그는 나에게 칠촌이 된다.

46. 큰삼촌 (큰三寸) [큰삼촌]

한자: 三(석 삼), 寸(마디 촌:)

「1」둘 이상의 삼촌 가운데 맏이인 삼촌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2」삼촌들 가운데 자기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삼촌.

용례:

「1」말이 난 김에 태임이는 외가에 한번 다녀오고 싶다고 큰삼촌에게 소청했고 좋도록 하라는 허락이 떨어졌다.≪박완서, 미망≫

47. 큰외삼촌 (큰外三寸) [크뇌삼촌]

한자: 外(바깥 외:), 三(석 삼), 寸(마디 촌:)

외삼촌들 가운데 맨 위인 외삼촌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용례:

큰외삼촌은 일찍 돌아가신 외할아버지를 대신해 어린 동생들을 뒷바라지했다.

48. 팔촌 (八寸) [팔촌]

한자: 八(여덟 팔), 寸(마디 촌:)

부모의 육촌의 자녀끼리의 촌수.

용례:

  • 그는 나와 팔촌 간이다.
  • 우리는 이번 설에 미국에 살고 있다는 팔촌 형을 처음 만났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