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1

1. 가촌 (街村) [가촌]

한자: 街(거리 가(:)), 村(마을 촌:)

큰길가를 따라서 집들이 줄지어 길게 늘어서 있는 마을.

용례:

오아시스에 있는 촌락은 가촌 형식으로 발달하였다.

2. 강촌 (江村) [강촌]

한자: 江(강 강), 村(마을 촌:)

강가에 있는 마을.

용례:

강과 찻길 사이에는 축구장도 있고, 비닐하우스 단지도 있고, 강촌도 있다.≪박완서, 꿈꾸는 인큐베이터≫

3. 개척촌 (開拓村) [개척촌]

한자: 開(열 개), 拓(넓힐 척), 村(마을 촌:)

거친 땅을 일구어 새로 이루어진 마을.

용례:

고속 도로가 나면서 신흥 개척촌이 건설되었다.

4. 거랑촌 (거랑村) [거랑촌]

한자: 村(마을 촌:)

예전에, 몹시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나 구역.

5. 거촌 (居村) [거촌]

한자: 居(살 거), 村(마을 촌:)

머물러 사는 마을.

6. 고시촌 (考試村) [고:시촌]

한자: 考(생각할 고(:)), 試(시험 시(:)), 村(마을 촌:)

고시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밀집하여 생활하는 지역.

용례:

고시촌에 식당을 차린 어머니는 고향에 내려가지 못하는 고시생들이 안쓰러워 명절에도 문을 닫지 않으셨다.

7. 고촌 (孤村) [고촌]

한자: 孤(외로울 고), 村(마을 촌:)

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

용례:

간사한 도적이 날로 성하여 백주에 대도에서도 혹 절도가 발생하니, 고촌이나 벽항에서라면 누가 꺼려서 하지 않겠습니까?≪번역 세조실록≫

8. 광산촌 (鑛山村) [광:산촌]

한자: 鑛(쇳돌 광:), 山(메 산), 村(마을 촌:)

광산을 끼고 이루어진 마을. 주민의 대부분이 광산에서 일하는 사람이나 그 가족이다.

9. 괴촌 (塊村) [괴촌]

한자: 塊(흙덩이 괴), 村(마을 촌:)

집들이 불규칙하게 모여서 덩이 모양으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촌락. 자연적인 것과 계획적인 것이 있다.

10. 교촌 (郊村) [교촌]

한자: 郊(들[野] 교), 村(마을 촌:)

대도시 근처에서 근교 농업을 주로 하는 농촌.

11. 궁촌 (窮村) [궁촌]

한자: 窮(다할/궁할 궁), 村(마을 촌:)

「1」가난하여 살기 어려운 마을.
「2」외따로 떨어진 구석진 마을.

용례:

  • 「1」그는 굶기를 밥 먹듯이 하는 궁촌에서 자랐다.
  • 「2」궁촌 벽지.
  • 「2」궁촌에 사는 순진한 농부.
  • 「2」저 궁촌에 가난한 선비라도 흔히 분개한 마음을 품고 칼을 빼어 외적을 상대하니….≪대한매일신보≫

12. 귀촌 (歸村) [귀:촌]

한자: 歸(돌아갈 귀:), 村(마을 촌:)

촌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용례:

귀촌을 하기 위해 작년부터 영농 기술을 배우고 있다.

13. 근촌 (近村) [근:촌]

한자: 近(가까울 근:), 村(마을 촌:)

가까운 마을.

용례:

장날만 되면 근촌에서 몰려든 장사꾼들로 읍내가 북적거렸다.

14. 기지촌 (基地村) [기지촌]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村(마을 촌:)

외국군 기지 주변에 형성된 촌락.

용례:

  • 그 친구는 기지촌에서 음울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 이 소설은 기지촌에서 몸을 파는 여성들의 삶을 아주 사실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15. 나체촌 (裸體村) [나:체촌]

한자: 裸(벗을 라:), 體(몸 체), 村(마을 촌:)

알몸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누드촌)

16. 난민촌 (難民村) [난민촌]

한자: 難(어려울 난(:)), 民(백성 민), 村(마을 촌:)

내전이나 기아 등으로 인하여 생긴 난민들이 모여 사는 곳.

용례:

난민촌에 의약품과 음식을 제공하다.

17. 난촌 (難村) [난촌]

한자: 難(어려울 난(:)), 村(마을 촌:)

논밭이 황폐한 가난한 마을.

18. 남북촌 (南北村) [남북촌]

한자: 南(남녘 남), 北(북녘 북), 村(마을 촌:)

남촌과 북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19. 남촌 (南村) [남촌]

한자: 南(남녘 남), 村(마을 촌:)

「1」남쪽에 있는 마을.
「2」조선 시대에, 서울 안에서 남쪽으로 치우쳐 있는 마을들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용례:

「2」남촌 일대에서는 드물게 보는 솟을대문 집이 거기에 있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20. 내촌 (內村) [내:촌]

한자: 內(안 내:), 村(마을 촌:)

고을 안에 있는 마을.

21. 노촌 (奴村) [노촌]

한자: 奴(종 노), 村(마을 촌:)

예전에, 종들이 살던 마을.

22. 노촌 (路村) [노:촌]

한자: 路(길 로:), 村(마을 촌:)

도로를 따라 양쪽 또는 한쪽에 가옥이 모여 열상(列狀)의 형태를 나타내는 촌락. 자연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진 불규칙적인 것과, 계획적으로 도로를 내고 토지를 경작하여 이루어진 것이 있다.

23. 농어촌 (農漁村) [농어촌]

한자: 農(농사 농), 漁(고기잡을 어), 村(마을 촌:)

농촌과 어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농어촌의 근대화.
  • 농어촌을 개발하여 도시와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하다.

24. 농촌 (農村) [농촌]

한자: 農(농사 농), 村(마을 촌:)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 마을이나 지역.

용례:

  • 농촌 생활.
  • 농촌 사람.
  • 농사짓기 힘들다고 모두 도시로 떠나가고 농촌에는 나이 든 노인들밖에 일할 사람이 없다.
  • 난리통에 조선 백성들은 산지사방으로 흩어져 버려서 농촌에는 농사를 짓고 있는 사람이 극히 드물었다.≪박종화, 임진왜란≫

25. 대촌 (大村) [대:촌]

한자: 大(큰 대(:)), 村(마을 촌:)

큰 마을.

26. 대학촌 (大學村) [대:학촌]

한자: 大(큰 대(:)), 學(배울 학), 村(마을 촌:)

대학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마을.

27. 동촌 (同村) [동촌]

한자: 同(한가지 동), 村(마을 촌:)

같은 마을.

28. 동촌 (東村) [동촌]

한자: 東(동녘 동), 村(마을 촌:)

「1」동쪽 마을.
「2」예전에, 서울 안에서 동쪽에 있는 동네를 이르던 말.

용례:

「2」김씨는 동촌에 살았으므로 김씨파는 동인이라는 이름을 들었고….≪김동인, 운현궁의 봄≫

29. 먼촌 (먼村) [먼:촌]

한자: 村(마을 촌:)

멀리 외따로 떨어져 있는 시골.

30. 모범촌 (模範村) [모범촌]

한자: 模(본뜰 모), 範(법 범:), 村(마을 촌:)

다른 동리의 본보기가 될 만한 마을.

용례:

우리 동리도 풍기를 숙청해서 훌륭한 모범촌이 되도록 여러분이 서로 도와 가기를 바라 마지않습니다.≪이기영, 서화≫

31. 묘촌 (墓村) [묘:촌]

한자: 墓(무덤 묘:), 村(마을 촌:)

조상의 산소가 있는 마을.

용례:

그는 평생 동안 묘촌을 지키며 살아왔다.

32. 무의촌 (無醫村) [무이촌]

한자: 無(없을 무), 醫(의원 의), 村(마을 촌:)

의사 및 의료 시설이 없는 곳.

용례:

  • 의대생들은 무의촌에 가서 그곳 주민들을 무료로 진료해 주었다.
  • 의과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당국의 무의촌 없애기 시책에 따라 병역 대신 그곳으로 부임한 김 의사는 심한 외로움과 실의에 빠져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33. 문화촌 (文化村) [문화촌]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村(마을 촌:)

문화 주택이 많은 마을. 또는 문화 수준이 높은 마을.

34. 민속촌 (民俗村) [민속촌]

한자: 民(백성 민), 俗(풍속 속), 村(마을 촌:)

「1」고유한 민속을 간직하고 있는 마을.
「2」전통 민속을 보존하고 전시할 목적으로 민속자료가 될 만한 것을 모아 인위적으로 만든 마을.

용례:

「2」민속촌에서 우리 조상들이 살던 집과 사용하던 집기를 구경했다.

35. 민촌 (民村) [민촌]

한자: 民(백성 민), 村(마을 촌:)

예전에, 양반이 아닌 상민이 살던 마을.

용례:

양반들이 사는 반촌에서는 남사당패들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상민들이 사는 이른바 민촌에서만 받아들였으므로 농민들을 선동하는 데는 남사당패들이 안성맞춤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村 마을 촌: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