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知 알 지 - 1

1. 가지 (可知) [가:지]

한자: 可(옳을 가:), 知(알 지)

알 만함. 또는 알 수 있음.

용례:

부자 놈이 웃돈까지 놓아서 없는 놈에게 딸을 복장 안길 제야 가지 오죽하겠소.≪염상섭, 삼대≫

2. 각지 (覺知) [각찌]

한자: 覺(깨달을 각), 知(알 지)

깨달아 앎.

용례:

일반 세상에서 벗어나 각지를 얻은 경지가 바로 부처의 경지이다.

3. 감지 (感知) [감:지]

한자: 感(느낄 감:), 知(알 지)

느끼어 앎.

용례:

  • 감지 능력.
  • 음성 감지가 가능한 컴퓨터.

4. 검지 (檢知) [검:지]

한자: 檢(검사할 검:), 知(알 지)

검사하여 알아냄.

용례:

센서는 검지 대상의 양을 선택적으로 포착한다.

5. 고지 (告知) [고:지]

한자: 告(고할 고:), 知(알 지)

「1」게시나 글을 통하여 알림.
「2」소송법에서, 법원이 결정 사항이나 명령을 당사자에게 알리는 일.

6. 공지 (公知) [공지]

한자: 公(공평할 공), 知(알 지)

세상에 널리 알림.

용례:

공지 사항을 알리다.

7. 공지 (共知) [공:지]

한자: 共(한가지 공:), 知(알 지)

여러 사람이 다 앎.

8. 관지 (關知) [관지]

한자: 關(관계할 관), 知(알 지)

어떤 일에 관여하여 앎.

9. 구지 (舊知) [구:지]

한자: 舊(예 구:), 知(알 지)

오래전부터 잘 아는 사이.

10. 규지 (窺知) [규지]

한자: 窺(엿볼 규), 知(알 지)

엿보아 앎.

11. 기지 (旣知) [기지]

한자: 旣(이미 기), 知(알 지)

이미 앎.

용례:

부자가 꼭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기지의 사실이다.

12. 납세고지 (納稅告知) [납쎄고:지]

한자: 納(들일 납), 稅(세금 세:), 告(고할 고:), 知(알 지)

납세 의무자가 세금을 내도록 세무서에서 납세 금액, 납부 기일, 납부 장소 따위를 지정하여 알리는 일.

13. 납입고지 (納入告知) [나빕꼬:지]

한자: 納(들일 납), 入(들 입), 告(고할 고:), 知(알 지)

세금이나 세입에 관하여 납입할 사람에게 납부하여야 할 금액이나 기일, 장소 따위를 알리는 일.

14. 독지 (獨知) [독찌]

한자: 獨(홀로 독), 知(알 지)

남은 모르고 혼자만 깨달아 앎.

15. 돈지 (頓知) [돈:지]

한자: 頓(조아릴 돈:), 知(알 지)

날랜 지혜.

16. 멍첨지 (멍僉知) [멍첨지]

한자: 僉(다/여러 첨), 知(알 지)

멍가 성을 가진 첨지라는 뜻으로, ‘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둘이 다 옛날 동학군, 의병으로 따라다니며 멍첨지 맹자 왈로 병담 늘어놓던 가락이 있어 이야기들이 제법 그럴싸했다.≪송기숙, 암태도≫

17. 멱부지 (멱不知) [멱뿌지]

한자: 不(아닐 부), 知(알 지)

「1」장기를 둘 때 멱도 모를 정도로 수가 약함. 또는 그런 사람.
「2」사리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8. 명부지 (名不知) [명부지]

한자: 名(이름 명), 不(아닐 불), 知(알 지)

성만 알고 이름을 모른다는 뜻으로, 그런 정도의 알음알이로 지냄을 이르는 말.

19. 명지 (明知) [명지]

한자: 明(밝을 명), 知(알 지)

분명하게 앎.

20. 무지 (無知) [무지]

한자: 無(없을 무), 知(알 지)

「1」아는 것이 없음.
「2」미련하고 우악스러움.

용례:

  • 「1」무지를 깨우치다.
  • 「1」무지를 자각하다.
  • 「1」그것은 실로 가난과 무지가 낳은 비극이었다.
  • 「1」형은 나의 무지와 어리석음을 비웃었을 것이다.≪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21. 문지 (聞知) [문:지]

한자: 聞(들을 문(:)), 知(알 지)

들어서 앎.

22. 미지 (未知) [미:지]

한자: 未(아닐 미(:)), 知(알 지)

아직 알지 못함.

용례:

  • 미지의 세계.
  • 미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은 곧 사라졌고, 나는 어느새 평화로운 농촌 풍경에 젖어 들었다.≪안정효, 하얀 전쟁≫
  • 나는 이 고마운 편지에 뭉쳤던 불안이 그만 사라지고 미지의 친구를 한시 급히 만나고 싶은 마음이 불현듯 일어났다.≪최정희, 지맥≫

23. 부지 (不知) [부지]

한자: 不(아닐 불), 知(알 지)

알지 못함.

24. 불가지 (不可知) [불가지]

한자: 不(아닐 불), 可(옳을 가:), 知(알 지)

알 수가 없음.

용례:

  • 죽음이라는 불가지의 문제.
  • 그가 인도에서 보낸 나날은 그 어느 때보다도 짙은 불가지의 안개에 가리워져 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25. 붕지 (朋知) [붕지]

한자: 朋(벗 붕), 知(알 지)

비슷한 또래로서 서로 친하게 사귀는 사람.

26. 사지 (事知) [사:지]

한자: 事(일 사:), 知(알 지)

‘사지하다’
(일에 매우 익숙하다.)의 어근.

27. 상지 (相知) [상지]

한자: 相(서로 상), 知(알 지)

서로 앎. 또는 서로 아는 사이.

28. 선지 (先知) [선지]

한자: 先(먼저 선), 知(알 지)

「1」앞일을 미리 앎.
「2」남보다 일찍 깨달아 앎.
「3」남보다 먼저 깨달아 아는 사람.
「4」예수 이전에 나타나 예수의 강림과 하나님의 뜻을 예언하던 사람. 대선지자와 소선지자가 있었다.

29. 소지 (小知) [소:지]

한자: 小(작을 소:), 知(알 지)

작은 지혜.

30. 속지 (俗知) [속찌]

한자: 俗(풍속 속), 知(알 지)

세상일에 관한 지혜.

31. 수지 (須知) [수지]

한자: 須(모름지기 수), 知(알 지)

자신이 소속된 일에 대하여 모름지기 알아야 함.

32. 숙지 (熟知) [숙찌]

한자: 熟(익을 숙), 知(알 지)

익숙하게 또는 충분히 앎.

용례:

그녀는 마치 숙지의 손을 맞는 것처럼 우리를 반갑게 맞이했다.

33. 습지 (習知) [습찌]

한자: 習(익힐 습), 知(알 지)

배워서 앎.

34. 신지 (新知) [신지]

한자: 新(새 신), 知(알 지)

「1」새로 앎.
「2」새로 알게 된 사람.

용례:

「2」이 선생은 이곳으로 이사 와서 만나게 된 신지야.

35. 심지 (深知) [심:지]

한자: 深(깊을 심), 知(알 지)

깊은 지혜.

36. 양지 (良知) [양지]

한자: 良(어질 량), 知(알 지)

「1」사람이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지능.
「2」양명학에서, 마음의 본성(本性)을 이르는 말.

37. 양지 (量知) [양지]

한자: 量(헤아릴 량), 知(알 지)

추측하여 앎.

38. 양지 (諒知) [양지]

한자: 諒(살펴알/믿을 량), 知(알 지)

살피어 앎.

39. 여지 (與知) [여:지]

한자: 與(더불/줄 여:), 知(알 지)

「1」관여하여 앎.
「2」그 일에 참여함.

40. 염지 (稔▽知) [염지]

한자: 稔(익을 념(염)), 知(알 지)

자세히 잘 앎.

41. 예지 (豫知) [예:지]

한자: 豫(미리 예:), 知(알 지)

「1」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앎.
「2」미래의 일을 지각하는 초감각적 지각. 또는 그런 능력.

42. 요지 (了知) [요:지]

한자: 了(마칠 료:), 知(알 지)

깨달아 앎.

43. 욕지 (辱知) [욕찌]

한자: 辱(욕될 욕), 知(알 지)

자기를 인정하거나 추천하는 것이 그 사람에게는 욕이 된다는 뜻으로, 말하는 이가 남에게 인정을 받거나 추천을 받을 때 상대를 높이고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44. 우지 (遇知) [우지]

한자: 遇(만날 우:), 知(알 지)

남이 자신의 인격이나 재능을 알고 잘 대우함.

45. 이지 (已知) [이:지]

한자: 已(이미 이:), 知(알 지)

이미 앎.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知 알 지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