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知 알 지 - 2

46. 인지 (認知) [인지]

한자: 認(알[知] 인), 知(알 지)

「1」어떤 사실을 인정하여 앎.
「2」혼인 외에 출생한 자녀에 대하여 친아버지나 친어머니가 자기 자식임을 확인하는 일.
「3」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안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용어로 쓴다.

47. 일가친지 (一家親知) [일가친지]

한자: 一(한 일), 家(집 가), 親(친할 친), 知(알 지)

친척이 되거나 서로 잘 알고 지내는 사람들.

용례:

자주 만나지 못하는 일가친지들을 찾아 그간의 안부를 묻기도 하고 음식을 서로 나눠 먹기도 하면서….≪이청준, 춤추는 사제≫

48. 자지 (自知) [자지]

한자: 自(스스로 자), 知(알 지)

자기의 능력을 스스로 앎.

49. 재지 (裁知) [재지]

한자: 裁(옷마를 재), 知(알 지)

신중하게 판단하여서 행동함.

50. 적지 (的知) [적찌]

한자: 的(과녁 적), 知(알 지)

제대로 확실하게 앎.

51. 전지 (全知) [전지]

한자: 全(온전 전), 知(알 지)

「1」사물과 현상의 모든 것을 다 앎.
「2」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하느님의 적극적인 품성.

용례:

「2」전지의 그분께서 아벨이 눈앞에서 맞아 죽는 걸 그대로 보아 넘긴 것은 카인의 살인을 용서한 것 이상의 뜻이 있습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52. 전지 (前知) [전지]

한자: 前(앞 전), 知(알 지)

일이 일어나기 전에 앎.

53. 정지 (偵知) [정지]

한자: 偵(염탐할 정), 知(알 지)

사정이나 형편을 더듬어 앎.

54. 정지 (情知) [정지]

한자: 情(뜻 정), 知(알 지)

명확하게 앎.

55. 조지 (早知) [조:지]

한자: 早(이를 조:), 知(알 지)

어려서부터 지혜가 있음. 또는 그 지혜.

56. 주지 (主知) [주지]

한자: 主(임금/주인 주), 知(알 지)

감성이나 의지보다 이성, 지성, 합리성 따위를 중히 여기는 일.

57. 주지 (周知) [주지]

한자: 周(두루 주), 知(알 지)

여러 사람이 두루 앎.

용례:

주지의 사실.

58. 중지 (衆知) [중:지]

한자: 衆(무리 중:), 知(알 지)

많은 사람이 앎.

용례:

중지의 사실.

59. 즉지 (卽知) [즉찌]

한자: 卽(곧 즉), 知(알 지)

날랜 지혜.

60. 지지 (至知) [지지]

한자: 至(이를 지), 知(알 지)

더없이 뛰어난 지혜. 또는 그런 지혜가 있는 사람.

61. 직관지 (直觀知) [직꽌지]

한자: 直(곧을 직), 觀(볼 관), 知(알 지)

직관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능력. 감성적 직관에 의한 지가 아니라 전체를 직접 포착하는 예지적 직관에 의한 지를 이른다.

62. 진지 (眞知) [진지]

한자: 眞(참 진), 知(알 지)

참된 지식.

63. 차지 (次知) [차지]

한자: 次(버금 차), 知(알 지)

「1」각 궁방(宮房)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2」벼슬아치의 집일을 맡아보던 사람.
「3」상전을 대신하여 형벌을 받던 하인. 또는 남을 대신하여 대가를 받고 형벌을 받던 사람.

용례:

  • 「1」한동안 서온돌 차지 시녀들이 부산히 드나들었다.≪박종화, 다정불심≫
  • 「2」노름판 친구 중에 윤 정승 댁 차지 노릇 하는 사람 하나가 박 생원 생존했을 때 가끔 쌀말 나무 바리를 보내 주고….≪홍명희, 임꺽정≫

64. 찰지 (察知) [찰찌]

한자: 察(살필 찰), 知(알 지)

두루 살펴 앎.

용례:

기표는 이미 그 민첩하고 놀라운 찰지로 이번 사단의 내막을 꿰뚫어본 것이 분명한데….≪최명희, 혼불≫

65. 채동지 (蔡同知) [채:동지]

한자: 蔡(성(姓) 채:), 同(한가지 동), 知(알 지)

말과 행동이 허무맹랑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용례:

그런 채동지 같은 사람을 믿었다가는 큰코다친다.

66. 천지 (淺知) [천:지]

한자: 淺(얕을 천:), 知(알 지)

얕은 지혜. 또는 보잘것없는 지혜.

67. 철부지 (철不知) [철부지]

한자: 不(아닐 부), 知(알 지)

「1」철없는 어린아이.
「2」철없어 보이는 어리석은 사람.

용례:

  • 「1」철부지 소년.
  • 「1」어려운 형편에 장난감을 사 달라고 졸라 대는 내 아우는 철부지였다.
  • 「1」어른은 언제까지나 어린이를 소견 없는 철부지로만 생각하지만 어린이도 사람이라 생각도 지각도 있으니….≪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 「2」그는 집안을 일으켜 세우기에는 너무 무력하고 어린애 같은 철부지였다.

68. 첨지 (僉知) [첨지]

한자: 僉(다/여러 첨), 知(알 지)

「1」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태종 때 인진사를 고친 것이다.
「2」나이 많은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 「2」첨지는 소만 사면 마치 자식처럼 복이니 돌이니 하는 이름을 붙이어 부르는 것이다.≪이무영, 농민≫
  • 「2」모르긴 하지만 김 첨지 그 영감은 풀려나와도 오복이 그놈은 징역을 살아도 단단히 살 테니 그리 아시오.≪김원일, 불의 제전≫

69. 첩지 (諜知) [첩찌]

한자: 諜(염탐할 첩), 知(알 지)

적의 형편을 염탐하여 알아냄.

70. 총지 (聰知) [총지]

한자: 聰(귀밝을 총), 知(알 지)

슬기롭고 지혜로움.

71. 추지 (推知) [추지]

한자: 推(밀 추), 知(알 지)

미루어 생각하여 앎.

72. 췌지 (揣知) [췌:지]

한자: 揣(헤아릴 췌), 知(알 지)

헤아려 앎.

73. 치지 (致知) [치:지]

한자: 致(이를 치:), 知(알 지)

사물의 도리를 깨닫는 경지에 이름.

74. 친지 (親知) [친지]

한자: 親(친할 친), 知(알 지)

서로 잘 알고 가깝게 지내는 사람.

용례:

  • 그의 친지 가운데 외국인 선교사들과 교섭이 잦은 기독교인이 있었다.≪손창섭, 잉여 인간≫
  • 유치장에 있는 박태영을 비밀실로 데리고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종로서에 배명근의 친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이병주, 지리산≫

75. 탐지 (探知) [탐지]

한자: 探(찾을 탐), 知(알 지)

숨겨지거나 드러나지 않은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자세히 살펴 알아냄.

용례:

  • 비밀 탐지.
  • 적정 탐지.
  • 지뢰 탐지.

76. 통지 (洞知) [통:지]

한자: 洞(밝을 통:), 知(알 지)

속까지 잘 앎.

77. 통지 (通知) [통지]

한자: 通(통할 통), 知(알 지)

기별을 보내어 알게 함.

용례:

  • 통지가 오다.
  • 통지가 가다.
  • 통지를 보내다.
  • 신고산이를 데려가라는 형무소의 통지를 받고 누이도 몰라보는 신고산이를 데리고 나왔던 것이다.≪이정환, 샛강≫

78. 투지 (透知) [투지]

한자: 透(사무칠 투), 知(알 지)

익숙하게 또는 충분히 앎.

79. 판지 (判知) [판지]

한자: 判(판단할 판), 知(알 지)

판단하여 앎.

80. 필지 (必知) [필찌]

한자: 必(반드시 필), 知(알 지)

반드시 알아야 함.

용례:

필지 사항.

81. 험지 (驗知) [험:지]

한자: 驗(시험 험:), 知(알 지)

시험하여 앎. 또는 경험으로 앎.

82. 확지 (確知) [확찌]

한자: 確(굳을 확), 知(알 지)

확실하고 정확하게 앎. 또는 그런 지식.

83. 효지 (曉知) [효:지]

한자: 曉(새벽 효:), 知(알 지)

몹시 예민한 지혜.

84. 후지 (後知) [후:지]

한자: 後(뒤 후:), 知(알 지)

「1」남보다 뒤에 깨닫는 사람.
「2」뒤에 인정을 받은 사람.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知 알 지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