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태 (科怠) [과태]
한자: 科(과목 과), 怠(게으를 태)
벌을 받아 마땅한 태만.
2. 과태 (過怠) [과:태]
한자: 過(지날 과:), 怠(게으를 태)
열심히 하려는 마음이 없고 게으름.
3. 교태 (驕怠) [교태]
한자: 驕(교만할 교), 怠(게으를 태)
‘교태하다’
(건방지고 게으르다.)의 어근.
4. 권태 (倦怠) [권:태]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어떤 일이나 상태에 시들해져서 생기는 게으름이나 싫증.
용례:
- 단조로운 생활에서 오는 권태.
- 권태를 느끼다.
- 한낮의 피로와 권태로 맥이 풀린다.
5. 근태 (勤怠) [근:태]
한자: 勤(부지런할 근(:)), 怠(게으를 태)
「1」부지런함과 게으름.
「2」출근과 결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1」고교 3년간의 학업 성적과 근태 상황을 기록하였다.
6. 나태 (懶怠) [나:태]
한자: 懶(게으를 라(나):), 怠(게으를 태)
행동, 성격 따위가 느리고 게으름.
용례:
- 나태에 빠지다.
- 나태를 부리다.
- 그는 타성과 나태에 젖어 있는 구조 직원은 무자비할 정도로 과감히 축출해 버렸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7. 예태 (豫怠) [예:태]
한자: 豫(미리 예:), 怠(게으를 태)
안락함을 즐기며 게으름을 피움.
8. 완태 (頑怠) [완태]
한자: 頑(완고할 완), 怠(게으를 태)
‘완태하다’
(성질이 완악하고 행동이 게으르다.)의 어근.
9. 완태 (緩怠) [완:태]
한자: 緩(느릴 완:), 怠(게으를 태)
마음이 풀어져 게으름을 피움.
10. 지태 (遲怠) [지태]
한자: 遲(더딜/늦을 지), 怠(게으를 태)
‘지태하다’
(느리고 태만하다.)의 어근.
11. 침태 (浸怠) [침:태]
한자: 浸(잠길 침:), 怠(게으를 태)
점점 게을러짐.
12. 타태 (惰怠) [타:태]
한자: 惰(게으를 타:), 怠(게으를 태)
‘타태하다’
(열심히 하려는 마음이 없고 게으르다.)의 어근.
13. 해태 (懈怠) [해:태]
한자: 懈(게으를 해:), 怠(게으를 태)
「1」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2」어떤 법률 행위를 할 기일을 이유 없이 넘겨 책임을 다하지 아니하는 일.
「3」칠죄종(七罪宗)의 하나. 선행에 게으른 것을
이른다.
14. 혼태 (昏怠) [혼태]
한자: 昏(어두울 혼), 怠(게으를 태)
어리석고 게으름.
15. 황태 (荒怠) [황태]
한자: 荒(거칠 황), 怠(게으를 태)
말이나 행동이 거칠고 일을 게을리함.
16. 휴태 (休怠) [휴태]
한자: 休(쉴 휴), 怠(게으를 태)
쉬면서 게으름을 피움.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