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1

1. 가태 (假態) [가:태]

한자: 假(거짓 가:), 態(모습 태:)

거짓으로 꾸민 태도나 상태.

용례:

음흉하게 가태를 부리다.

2. 각양각태 (各樣各態) [가걍각태]

한자: 各(각각 각), 樣(모양 양), 各(각각 각), 態(모습 태:)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모양과 상태.

용례:

이 그림들은 전쟁 속에 나타나는 각양각태의 인간상을 표현하고 있다.

3. 갈등상태 (葛藤狀態) [갈뜽상태]

한자: 葛(칡 갈), 藤(등나무 등), 狀(형상 상), 態(모습 태:)

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용례:

  • 갈등상태에 놓이다.
  • 갈등상태에 있다.

4. 강박상태 (強迫狀態) [강:박쌍태]

한자: 強(강할 강(:)), 迫(핍박할 박), 狀(형상 상), 態(모습 태:)

두렵거나 불쾌한 생각 따위가 마음속에 박혀 있어 아무리 해도 떨쳐 버릴 수 없는 상태.

용례:

  • 강박 상태에서 벗어나다.
  • 그는 누군가 자신을 해칠 것이라는 강박 상태에 빠져 있었다.

5. 경제형태 (經濟形態) [경제형태]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形(모양 형), 態(모습 태:)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을 하나의 사회 유기체로 보고, 그 경제 조직이나 경제 제도의 양식을 이르는 말.

용례:

우리나라의 수렵민은 사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농업과 수렵을 겸한 경제 형태가 일반적이다.

6. 고생태 (古生態) [고:생태]

한자: 古(예 고:), 生(날 생), 態(모습 태:)

지질 시대의 자연환경이 생물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생물의 생활 상태.

7. 고태 (古態) [고:태]

한자: 古(예 고:), 態(모습 태:)

예스럽고 아담하여 수수한 상태. 또는 그런 모습.

8. 고태 (固態) [고태]

한자: 固(굳을 고(:)), 態(모습 태:)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조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이 동일하고 유동성이 없는 물질의 상태.

9. 고태 (故態) [고:태]

한자: 故(연고 고(:)), 態(모습 태:)

옛 모습. 또는 옛 자태.

10. 공시태 (共時態) [공:시태]

한자: 共(한가지 공:), 時(때 시), 態(모습 태:)

변화가 정지 상태에 있는 어떤 한 시기의 언어 상태.

11. 과변태 (過變態) [과:변태]

한자: 過(지날 과:), 變(변할 변:), 態(모습 태:)

일부 곤충의 완전 변태 가운데 초기 유충(幼蟲)과 후기 유충의 기본 체제가 변화하는 현상. 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이 유충·번데기·성충의 세 단계에서 유충기가 서로 다른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현상이다.

12. 광태 (狂態) [광태]

한자: 狂(미칠 광), 態(모습 태:)

미치광이 같은 태도나 모양.

용례:

  • 광태를 보이다.
  • 요즘의 그의 주벽은 도를 지나쳐 광태에 가깝다.≪홍성원, 육이오≫
  • 세상을 원망하고 심사가 좋지 않을 때 누가 조금이라도 거스르기만 하면 나무를 뿌리째 뽑아서 휘두르며 광태를 부리곤 했었다.≪박경리, 토지≫

13. 교태 (交態) [교태]

한자: 交(사귈 교), 態(모습 태:)

교제하는 태도.

14. 교태 (嬌態) [교태]

한자: 嬌(아리따울 교), 態(모습 태:)

「1」아리따운 자태.
「2」아양을 부리는 태도.

용례:

  • 「1」논개는 자기도 모르는 결에 제 교태가 이만큼이나 아름다웠던가 하고 만족한 웃음을 던져 본다.≪박종화, 임진왜란≫
  • 「2」교태를 부리다.
  • 「2」교태를 짓다.
  • 「2」기생들도 그 앞에서는 갖은 교태로 아양을 떤다.≪이기영, 신개지≫
  • 「2」임이네의 끄트머리 말에는 교태가 있었다.≪박경리, 토지≫

15. 교태 (驕態) [교태]

한자: 驕(교만할 교), 態(모습 태:)

교만한 태도.

16. 구상태 (球狀態) [구상태]

한자: 球(공 구), 狀(형상 상), 態(모습 태:)

「1」뜨거운 금속판 위에 떨어진 물방울이 증발되지 않고 잠깐 동안 공 모양으로 움직이는 상태.
「2」타원의 장축이나 단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때 생기는 입체.

17. 구태 (舊態) [구:태]

한자: 舊(예 구:), 態(모습 태:)

뒤떨어진 예전 그대로의 모습.

용례:

  • 구태를 답습하다.
  • 구태를 벗다.
  • 구태에서 벗어나다.
  • 구태를 버리고 일신하다.
  • 대책은 뒷전이고 서로 비난만 하는 구태가 되풀이되고 있다.

18. 궁태 (窮態) [궁태]

한자: 窮(다할/궁할 궁), 態(모습 태:)

어렵고 궁한 상태.

용례:

궁태가 드러나다.

19. 귀태 (貴態) [귀:태]

한자: 貴(귀할 귀:), 態(모습 태:)

「1」고귀한 태도나 모습.
「2」귀여운 태도.

용례:

  • 「1」귀태가 나다.
  • 「1」그녀의 얼굴에는 귀태가 흐른다.

20. 기태 (奇態) [기태]

한자: 奇(기특할 기), 態(모습 태:)

기이하고 괴상한 모양.

21. 기태 (氣態) [기태]

한자: 氣(기운 기), 態(모습 태:)

기체의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균일한 성질을 가지는 상태.

22. 노태 (老態) [노:태]

한자: 老(늙을 로:), 態(모습 태:)

「1」늙은 모습. 또는 늙은 티.
「2」언행이 의젓하여 노숙해 보이는 태도.

용례:

「1」노태가 나다.

23. 누태 (陋態) [누:태]

한자: 陋(더러울 루:), 態(모습 태:)

더럽고 지저분한 태도나 짓.

24. 능동태 (能動態) [능동태]

한자: 能(능할 능), 動(움직일 동:), 態(모습 태:)

주어가 어떤 동작이나 작용을 스스로 하였을 때,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25. 담태 (淡態) [담:태]

한자: 淡(맑을 담), 態(모습 태:)

맑고 수수한 태도나 모양.

26. 동태 (同態) [동태]

한자: 同(한가지 동), 態(모습 태:)

같은 상태.

27. 동태 (動態) [동:태]

한자: 動(움직일 동:), 態(모습 태:)

움직이거나 변하는 모습.

용례:

  • 동태가 수상하다.
  • 적의 동태를 살피다.
  • 민심의 동태를 파악하다.
  • 상대편의 동태를 감시하다.
  • 왜적들은 화살이 뜸하면 또다시 이편의 동태를 엿보느라고 몇 명씩 강가로 기어 나왔다.≪박종화, 임진왜란≫

28. 뒤태 (뒤態) [뒤:태]

한자: 態(모습 태:)

뒤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

용례:

  • 뒤태가 아리따운 처녀.
  • 뒤태가 곱다.
  • 그 앞을 지나쳐 큰아버지 가까이로 올라가고 있는 전립 쓴 사내의 뒤태를 바라보고 서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29. 만태 (萬態) [만:태]

한자: 萬(일만 만:), 態(모습 태:)

가지각색의 자태.

30. 몸태 (몸態) [몸태]

한자: 態(모습 태:)

몸의 맵시나 모양새.

용례:

  • 몸태가 나다.
  • 무희들의 몸태와 얼굴을 자세히 살펴보다.
  • 얼굴도 똑똑하고 몸태도 미인의 격을 가졌으나 거기 비하면 행색이 매우 떨어진다.≪한설야, 황혼≫

31. 묘태 (妙態) [묘:태]

한자: 妙(묘할 묘:), 態(모습 태:)

아름다운 모양이나 태도.

용례:

그녀는 묘태를 뽐내며 걸어갔다.

32. 무변태 (無變態) [무변태]

한자: 無(없을 무), 變(변할 변:), 態(모습 태:)

알에서 깨어 다 자란 벌레가 될 때까지 그 모양이 변하지 않는 일.

33. 무역형태 (貿易形態) [무:여켱태]

한자: 貿(무역할 무:), 易(바꿀 역), 形(모양 형), 態(모습 태:)

무역 상품이 움직이는 방향, 무역 거래 당사자들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구별되는 무역 거래의 형식.

용례:

  • 남북 접촉은 제삼국을 통한 무역 형태로 하고 있다.
  • 각국의 무역 형태가 선진화되면서 무신용장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34. 무태 (舞態) [무:태]

한자: 舞(춤출 무:), 態(모습 태:)

춤추는 맵시.

35. 미태 (美態) [미:태]

한자: 美(아름다울 미(:)), 態(모습 태:)

아름다운 자태.

용례:

사십 대가 되었는데도 그녀의 미태는 여전하였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態 모습 태: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