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취 (去就) [거:취]
한자: 去(갈 거:), 就(나아갈 취:)
「1」사람이 어디로 가거나 다니거나 하는 움직임.
「2」어떤 사건이나 문제에 대하여 밝히는 태도.
용례:
- 「1」요즈음은 그의 거취를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 「1」아들들의 수소문에 의해서 오봉 선생의 거취가 겨우 알려졌다.≪김정한, 수라도≫
- 「2」거취를 표명하다.
- 「2」그 선수는 자신이 은퇴를 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아직 거취를 분명히 밝히지 않았다.
2. 결거취 (決去就) [결거취]
한자: 決(결단할 결), 去(갈 거:), 就(나아갈 취:)
자기가 할 바를 결정함.
3. 굴취 (屈就) [굴취]
한자: 屈(굽힐 굴), 就(나아갈 취:)
지조와 절개를 굽혀서 다른 사람을 따름.
4. 나취 (拿就) [나:취]
한자: 拿(잡을[拏同] 나:), 就(나아갈 취:)
죄인을 붙잡아 감.
5. 동거취 (同去就) [동거취]
한자: 同(한가지 동), 去(갈 거:), 就(나아갈 취:)
거취를 함께 함.
6. 불취 (不就) [불취]
한자: 不(아닐 불), 就(나아갈 취:)
세상일에 나서지 아니함.
7. 성취 (成就) [성취]
한자: 成(이룰 성), 就(나아갈 취:)
목적한 바를 이룸.
용례:
- 소원 성취.
- 성취 의욕.
- 세상에서야 뭐라고 비웃든 개의치 말고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의 성취를 위하여 일사불란하게 추구해 나가면….≪김성동, 만다라≫
8. 숙취 (夙就) [숙취]
한자: 夙(이를 숙), 就(나아갈 취:)
일찍 성취함.
9. 일취 (日就) [일취]
한자: 日(날 일), 就(나아갈 취:)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함.(일장월취)
10. 장취 (將就) [장취]
한자: 將(장수 장(:)), 就(나아갈 취:)
앞으로 진보하여 나아감.
11. 진취 (進就) [진:취]
한자: 進(나아갈 진:), 就(나아갈 취:)
일을 차차 이루어 감.
용례:
그의 학문의 진취는 놀라웠다. 그 총명한 자질과 아울러 다음 대과에 급제할 것은 틀림이 없었다.≪한무숙, 만남≫
12. 천취 (遷就) [천:취]
한자: 遷(옮길 천:), 就(나아갈 취:)
일이나 날짜 따위를 미루고 지체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