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주 (慶州) [경:주]
한자: 慶(경사 경:), 州(고을 주)
경상북도의 동남부에 있는 시. 신라 천 년의 고도(古都)로 명승고적이 많아 관광 명소이다. 제삼차 산업과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특산물로 유기, 죽세공품 따위가 있다. 불국사, 석굴암, 분황사와 그 밖에도 많은 명승지가 있다. 1995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경주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1,324.08㎢.
2. 공주 (公州) [공주]
한자: 公(공평할 공), 州(고을 주)
충청남도의 동부 중앙에 있는 시. 농업과 양잠·낙농·양돈 따위가 성하다. 명승고적으로 백제의 유적지 및 계룡산 국립 공원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공주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864.29㎢.
3. 광주 (光州) [광주]
한자: 光(빛 광), 州(고을 주)
우리나라 남서부에 있는 시. 1986년 11월에 직할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 1월에 광역시로 바뀌었다. 호남 지역의 최대 도시로, 경제·행정·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면적은 약 501㎢.
4. 광주 (廣州) [광:주]
한자: 廣(넓을 광:), 州(고을 주)
경기도의 중앙에 있는 시. 벼농사, 채소 재배, 가축 사육 따위가 활발하다. 명승지로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 숭렬전(崇烈殿), 현절사(顯節祠) 따위가 있다. 2001년 3월 광주군이 승격되어 이루어진 시이다. 면적은 431.02㎢.
5. 나주 (羅州) [나주]
한자: 羅(벌릴 라), 州(고을 주)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 전남평야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특산물로는 죽세공품·목세공품·배·복숭아 따위가 유명하며, 명승지로는 덕룡산(德龍山)·정렬사(旌烈祠) 등이 있다. 면적은 604.07㎢.
6. 남양주 (南楊州) [나먕주]
한자: 南(남녘 남), 楊(버들 양), 州(고을 주)
경기도의 중앙부에 있는 시. 논농사와 원예 농업·낙농업이 발달한 농촌 지역과 제조업 공장이 들어선 도시 지역이 공존한다. 명승고적으로 수락산, 팔당, 광릉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하여 신설된 도농 복합 형태의 시이다. 면적은 458.1㎢.
7. 상주 (尙州) [상주]
한자: 尙(오히려 상(:)), 州(고을 주)
경상북도의 서북부에 있는 시. 쌀·누에고치·곶감 따위가 생산되며, 무연탄·흑연 따위가 채광된다. 명승지로 속리산, 남장사(南長寺), 화달리(化達里) 삼층 석탑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상주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1,254.85㎢.
8. 성주 (星州) [성주]
한자: 星(별 성), 州(고을 주)
경상북도에 있는 읍. 부근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성주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36.33㎢.
9. 신의주 (新義州) [시니주]
한자: 新(새 신), 義(옳을 의:), 州(고을 주)
평안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 만주를 경유하는 압록강 철교가 이어진 국제적 교통 요지이며, 평양 다음가는 공업 도시로 방적 공업이 발달하였다. 평안북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10.6㎢.
10. 양주 (楊州) [양주]
한자: 楊(버들 양), 州(고을 주)
경기도 동북쪽에 있는 시. 밤의 산지로 유명하다. 명승지로 회암사, 도락산(道樂山), 일영 유원지, 송추 유원지, 보광사(普光寺) 따위가 있다. 2003년 10월 양주군이 승격되어 이루어진 시이다. 면적은 310㎢.
11. 여주 (驪州) [여주]
한자: 驪(검은말 려(여)), 州(고을 주)
경기도 한강 중류 분지의 중심에 있는 시. 쌀, 채소, 엽연초 따위의 농업과 도자기 제조 공업이 발달하였다. 명승지로 영릉(英陵), 신륵사 따위가 있다. 면적은 608.33㎢.
12. 연해주 (沿海州) [연해주]
한자: 沿(물따라갈/따를 연(:)), 海(바다 해:), 州(고을 주)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제재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13. 영주 (榮州) [영주]
한자: 榮(영화 영), 州(고을 주)
경상북도에 있는 시. 중앙선, 경북선 따위가 이어지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영동 지역의 광산물과 수산물의 중계지이며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부석사, 소수 서원, 희방사 따위의 명승고적이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영풍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668.87㎢.
14. 원주 (原州) [원주]
한자: 原(언덕 원), 州(고을 주)
강원도 서남쪽에 있는 시. 교통 요충지이고 농축산물의 집산지이다. 목축업, 임업, 제사(製絲), 정미, 양조 공업이 발달하였다. 명승지로 치악산, 봉명루, 빙허루, 숭화정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원주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867.22㎢.
15. 전주 (全州) [전주]
한자: 全(온전 전), 州(고을 주)
「1」모든 주(州).
「2」그 주의 전체.
16. 전주 (全州) [전주]
한자: 全(온전 전), 州(고을 주)
전라북도 중앙부에 있는 시. 제지업이 발달하였으며, 특히 창호지·장판지·태극선의 생산으로 유명하다. 명승지로 경기전, 조경단(肇慶壇) 따위가 있으며 전주비빔밥으로 유명하다.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206.22㎢.
17. 정주 (井州) [정주]
한자: 井(우물 정(:)), 州(고을 주)
전라북도에 있던 시.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정읍군과 합쳐져 정읍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18. 정주 (定州) [정:주]
한자: 定(정할 정:), 州(고을 주)
평안북도에 있는 읍. 교통 요충지이며, 토탄(土炭)과 금이 난다. 정주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16.26㎢.
19. 제주 (濟州) [제:주]
한자: 濟(건널 제:), 州(고을 주)
제주특별자치도 북부에 있는 시.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치·경제·문화·교육의 중심지이며 부산, 목포, 여수와 연결되는 항구와 공항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감귤의 산출로 유명하며 명승지로 만장굴, 명월 성지, 삼성혈, 관덕정, 용연 따위가 있다. 2006년 7월, 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 자유 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해 북제주군과 통합하여 자치시에서 행정시인 제주시가 되었다. 면적은 978.4㎢.
20. 제주 (濟州) [제:주]
한자: 濟(건널 제:), 州(고을 주)
우리나라 가장 남쪽에 있는, 섬으로 이루어진 도. 삼국 시대에 탐라국이었으며 고려 시대에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 자유 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하여 특별자치도로 승격하였다. 도청 소재지는 제주이다. 면적은 약 1,850㎢.
21. 진주 (晉州) [진:주]
한자: 晉(성(姓)/나아갈[晋] 진:), 州(고을 주)
경상남도 서남부에 있는 시. 관광·교육 도시이며, 농산물 집산지이기도 하다. 명승지로 촉석루, 진양 성지(晉陽城址), 의랑암(義娘巖), 서장대(西將臺)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진양군과 통합되어 도농(都農)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712.86㎢.
22. 창주 (滄州) [창주]
한자: 滄(큰바다 창), 州(고을 주)
「1」푸른 물가라는 뜻으로, 신선이나 은자(隱者)가 사는 곳을 이르는 말.
「2」사람 사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산수 좋은 땅.
23. 청주 (淸州) [청주]
한자: 淸(맑을 청), 州(고을 주)
충청북도의 서부에 있는 시. 교육 도시로 충북 대학교를 비롯한 5개 대학이 있다. 과일·채소 따위의 재배와 한우·젖소 따위의 사육이 활발하며, 섬유·전자·식품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명승지로 석교, 상당산성, 명암제, 용두사, 앵마장 따위가 있다. 충청북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940.3㎢.
24. 충주 (忠州) [충주]
한자: 忠(충성 충), 州(고을 주)
충청북도 북부 가운데에 있는 시. 우리나라에서 더운 곳으로 유명하며, 사과·황색종 담배 따위의 재배지이다. 명승지로 탄금대, 충렬사, 남산(南山) 성지(城址)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중원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984.03㎢.
25. 파주 (坡州) [파주]
한자: 坡(언덕 파), 州(고을 주)
경기도 서북쪽에 있는 시. 농업·축산업 따위가 활발하며, 명승지로 입석 불상, 지석묘군, 공릉(恭陵), 임진각 따위가 있다. 면적은 672.78㎢.
26. 해주 (海州) [해:주]
한자: 海(바다 해:), 州(고을 주)
황해도 서남쪽에 있는 시.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이며, 수산물·공산물이 주로 난다. 명승지로 부용당, 신광사, 탁열정(濯熱亭), 수양산성지 따위가 있다. 황해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206.9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