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柱 기둥 주 - 1

1. 가로등주 (街路燈柱) [가로등주]

한자: 街(거리 가(:)), 路(길 로:), 燈(등 등), 柱(기둥 주)

가로등을 설치해 놓는 기둥.

용례:

전신주와 가로등주 등에 불법 광고물들이 부착되어 있다.

2. 가주 (架柱) [가주]

한자: 架(시렁 가:), 柱(기둥 주)

기둥을 건너질러 놓음. 또는 그 기둥.

3. 각도주 (角度柱) [각또주]

한자: 角(뿔 각), 度(법도 도(:)), 柱(기둥 주)

송배전 선로나 통신 선로에서, 가설한 전선의 방향이 달라지는 곳에 세우는 전봇대.(곡선주)

4. 간주 (間柱) [간:주]

한자: 間(사이 간(:)), 柱(기둥 주)

기둥과 기둥 사이가 너무 멀어서 칸막이벽을 치거나 벽 바탕재를 건너 댈 수 없을 때 기둥 사이에 세우는 가는 기둥.

5. 겉사주 (겉四柱) [걷싸주]

한자: 四(넉 사:), 柱(기둥 주)

혼담이 오고 갈 때 임시로 적어 보내는 신랑의 사주.

6. 결승주 (決勝柱) [결씅주]

한자: 決(결단할 결), 勝(이길 승), 柱(기둥 주)

달리기에서, 결승선 양쪽에 세운 기둥.

7. 계선주 (繫船柱) [계:선주]

한자: 繫(맬 계:), 船(배 선), 柱(기둥 주)

배를 매어 두기 위하여 계선안(繫船岸), 부두, 잔교(棧橋) 따위에 세워 놓은 기둥.(계주)

8. 고주 (高柱) [고주]

한자: 高(높을 고), 柱(기둥 주)

안둘렛간을 감싸고 있는 기둥.

9. 곡선주 (曲線柱) [곡썬주]

한자: 曲(굽을 곡), 線(줄 선), 柱(기둥 주)

송배전 선로나 통신 선로에서, 가설한 전선의 방향이 달라지는 곳에 세우는 전봇대.

10. 공주 (控柱) [공:주]

한자: 控(당길 공:), 柱(기둥 주)

어떠한 물건이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괴는 기둥.

11. 광주 (鑛柱) [광:주]

한자: 鑛(쇳돌 광:), 柱(기둥 주)

광산에서 갱도(坑道)나 채굴장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연적인 기둥 구실을 하도록 채굴하지 않고 남겨 둔 광석의 부분.(실간주)

12. 금주 (琴柱) [금주]

한자: 琴(거문고 금), 柱(기둥 주)

거문고, 가야금 따위 현악기의 현(絃)을 괴는 작은 받침.

13. 급수주 (給水柱) [급쑤주]

한자: 給(줄 급), 水(물 수), 柱(기둥 주)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파이프 기둥으로 만든 시설. 물탱크에서 기관차 따위에 직접 급수할 수 없을 때에 사용하는데, 승강장이나 기타 편리한 곳에 설치한다.

14. 기념주 (紀念柱) [기념주]

한자: 紀(벼리 기), 念(생각 념:), 柱(기둥 주)

「1」어떤 뜻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 등을 오래도록 잊지 아니하고 마음에 간직하기 위하여 세운 기둥 모양의 구조물.
「2」예전에, 유럽에서 황제, 국왕 또는 건국 공로자들의 업적이나 공훈을 기념하기 위하여 그 연고지에 세운 커다란 기둥.

15. 기주 (氣柱) [기주]

한자: 氣(기운 기), 柱(기둥 주)

연직(鉛直)으로 서 있는 관 따위의 속에 있는 기둥 꼴의 공기.

16. 남상주 (男像柱) [남상주]

한자: 男(사내 남), 像(모양 상), 柱(기둥 주)

고전 건축에서 남신의 모습을 한 기둥. 고대 그리스에서는 거인 아틀라스의 형상을 본떠서 만들었다.

17. 내변주 (內邊柱) [내:변주]

한자: 內(안 내:), 邊(가[側] 변), 柱(기둥 주)

벽이나 기둥을 겹으로 두른 건물의 안쪽 둘레에 돌려 세운 기둥.(내진주)

18. 노주 (露柱) [노주]

한자: 露(이슬 로(:)), 柱(기둥 주)

겉으로 드러나 있는 기둥.

19. 누주 (樓柱) [누주]

한자: 樓(다락 루), 柱(기둥 주)

지름 50cm, 길이 5미터 이상의 큰 나무로 만든 뗏목.

20. 단주 (丹柱) [단주]

한자: 丹(붉을 단), 柱(기둥 주)

붉은 칠을 한 기둥.

21. 당사주 (唐四柱) [당싸주]

한자: 唐(당나라/당황할 당(:)), 四(넉 사:), 柱(기둥 주)

「1」당사주책을 이용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
「2」중국에서 들여온, 사주점을 칠 때에 보는 책. 그림으로 점괘(占卦)를 보게 되어 있다.

용례:

「1」신 내려서 점치는 점쟁이는 아니었지만, 그 구분을 굳이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렇게 당사주를 보아 달라고 찾아오곤 하였다.≪최명희, 혼불≫

22. 대주 (大柱) [대:주]

한자: 大(큰 대(:)), 柱(기둥 주)

방아의 굴대를 떠받치고 있는 네 기둥.

23. 동자주 (童子柱) [동:자주]

한자: 童(아이 동(:)), 子(아들 자), 柱(기둥 주)

「1」들보 위에 세우는 짧은 기둥. 상량(上樑), 오량(五樑), 칠량(七樑) 따위를 받치고 있다.
「2」돌난간의 중간에 세우는 짧은 돌기둥.
「3」접시받침을 받치고 있는 짧은 기둥.

24. 동주 (銅柱) [동주]

한자: 銅(구리 동), 柱(기둥 주)

구리로 만든 기둥.

25. 망주 (望柱) [망:주]

한자: 望(바랄 망:), 柱(기둥 주)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화표주)

용례:

묘갈이랄지, 망주 문석 같은 것은 세워져 있지 않았으나, 봉분 앞에 상석은 잘 마련되어 있었다.≪하근찬, 야호≫

26. 문설주 (門설柱) [문설쭈]

한자: 門(문 문), 柱(기둥 주)

문짝을 끼워 달기 위하여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용례:

  • 문설주에 몸을 기대다.
  • 문지방까지 기어가자 문설주를 잡고 몸을 일으키려 안간힘을 썼다.≪김원일, 노을≫
  • 키가 껑충한 새 며느리는 하얗게 질린 얼굴로 부엌 문설주 옆에 서서….≪이호철, 문≫

27. 문주 (門柱) [문주]

한자: 門(문 문), 柱(기둥 주)

문짝을 끼워 달기 위하여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용례:

문주엔 아버지의 문패가 품위 있게 붙어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28. 반원주 (半圓柱) [바:눤주]

한자: 半(반(半) 반:), 圓(둥글 원), 柱(기둥 주)

벽면에 원기둥을 반쯤 파묻은 것 같은 모양의 기둥.

29. 반주 (半柱) [반:주]

한자: 半(반(半) 반:), 柱(기둥 주)

본기둥의 반쪽 크기의 기둥.

30. 방주 (方柱) [방주]

한자: 方(모[棱] 방), 柱(기둥 주)

네모진 기둥.

31. 범주 (帆柱) [범:주]

한자: 帆(돛 범:), 柱(기둥 주)

배의 돛대.

32. 벽주 (壁柱) [벽쭈]

한자: 壁(벽 벽), 柱(기둥 주)

흙벽을 칠 때 중방과 중방 사이에 벽체 힘살이 되게 세우는 부재(部材).

33. 변주 (邊柱) [변주]

한자: 邊(가[側] 변), 柱(기둥 주)

건물의 가장자리에 세운 기둥.

34. 본주 (本柱) [본주]

한자: 本(근본 본), 柱(기둥 주)

구조물의 뼈대가 되는 기둥.

35. 빙주 (氷柱) [빙주]

한자: 氷(얼음 빙), 柱(기둥 주)

「1」낙숫물 따위가 밑으로 흐르다가 길게 얼어붙은 얼음.
「2」여름에 실내를 시원하게 하기 위하여 사람이 만들어 세워 놓은 얼음 기둥.

36. 사주 (四柱) [사:주]

한자: 四(넉 사:), 柱(기둥 주)

「1」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의 네 간지(干支). 또는 이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
「2」혼인이 정해진 뒤 신랑집에서 신붓집으로 신랑의 사주를 적어서 보내는 종이.

용례:

  • 「1」사주를 보다.
  • 「1」사주를 풀다.
  • 「1」사주를 잘 타고나다.
  • 「1」점쟁이에게 사주 적은 종이를 내밀었다.
  • 「1」황제의 기나긴 얘기가 끝나자 젊은이는 다시 한동안 말없이 황제의 얼굴을 살피다가 사주의 간지 여덟 자를 물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2」사주를 보내다.
  • 「2」부네는 청홍의 비단실로 묶은 사주를 받고 시집을 갔다.≪송영, 석공 조합 대표≫

37. 사주 (沙柱) [사주]

한자: 沙(모래 사), 柱(기둥 주)

사막에서 모래가 회오리바람에 말려 올라가 기둥처럼 되는 현상.

38. 산대주 (山臺柱) [산대주]

한자: 山(메 산), 臺(대 대), 柱(기둥 주)

길가나 빈터에 대를 쌓아 만든 임시 무대의 기둥.

39. 상주 (上柱) [상:주]

한자: 上(윗 상:), 柱(기둥 주)

안방과 마루 사이에 있는 가장 중요한 기둥.

40. 석주 (石柱) [석쭈]

한자: 石(돌 석), 柱(기둥 주)

돌을 다듬어서 만든 기둥.

41. 설주 (설柱) [설쭈]

한자: 柱(기둥 주)

「1」문짝을 끼워 달기 위하여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2」얼레에서 실이 감겨 있는 막대.

용례:

  • 「1」그 우악스럽고…마구 칠한 기둥과 설주를 볼 때마다 구역질이 난다.≪최인훈, 회색인≫
  • 「2」석류나무와 벚나무를 구하여, 설주가 네 개인 얼레를 정성 들여 만들었다.

42. 속사주 (속四柱) [속:싸주]

한자: 四(넉 사:), 柱(기둥 주)

혼담이 결정된 뒤에 정식으로 사주단자에 적어 보내는 신랑의 사주.

용례:

  • 그들 부모님은 속사주를 받아 본 일도 없고 궁합을 맞추어 보러 가는 일도 없다.
  • 내가 아무리 주책없는 놈이기로 속사주 받고 택일까지 한 이 혼인을 사그라트리려고 이렇게 다닐 리는 없겠지요…….≪염상섭, 백구≫

43. 수은주 (水銀柱) [수은주]

한자: 水(물 수), 銀(은 은), 柱(기둥 주)

수은 온도계나 수은 기압계의 유리관에 수은으로 채워진 부분. 그 속에 가득 들어 있는 수은이 기둥 모양을 이루며, 그 높이로 온도나 기압을 나타낸다.

용례:

  • 겨울에는 수은주가 영하 이십 도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 낮에는 덥다가 밤에 수은주가 뚝 떨어지면서 감기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44. 수장주 (修粧柱) [수장주]

한자: 修(닦을 수), 粧(단장할 장), 柱(기둥 주)

목조 건물에서 장식을 위하여 주춧돌 밖에 임시로 세운 기둥.

45. 수주 (水柱) [수주]

한자: 水(물 수), 柱(기둥 주)

솟구쳐 뻗치거나 내리쏟아지는 굵은 물줄기.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柱 기둥 주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