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좌 (家座) [가좌]
한자: 家(집 가), 座(자리 좌:)
집터의 위치와 경계를 이르는 말.
용례:
이웃 고을에서는 가좌와 인구를 성책하기 위해 ‘부비’라 하여 매호에 한 냥 한 돈씩 거두었다.
2. 강좌 (講座) [강:좌]
한자: 講(욀 강:), 座(자리 좌:)
「1」강의나 강연 또는 설교를 하는 자리.
「2」일정한 주제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편성한 강습회, 출판물, 방송 프로그램 따위를 이르는 말.
「3」대학에서 교수가 맡아
강의하는 학과목.
「4」절에서 고승을 모시고 불경을 강독하고 해설을 듣는 자리.
용례:
- 「2」청소년을 위한 무료 강좌.
- 「2」강좌를 개설하다.
- 「2」강좌가 열리다.
- 「2」문화 센터에서 일반인을 위한 철학 강좌가 진행될 예정이다.
- 「2」그는 이번 여름에 수영 강좌를 신청하였다.
- 「3」최 교수는 이번 학기에 세 강좌를 맡게 된다.
3. 계좌 (計座) [계:좌]
한자: 計(셀 계:), 座(자리 좌:)
「1」부기에서, 계정마다 금액의 증감을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계산하는 자리.
「2」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명이나 법인명의 계좌.
용례:
- 「2」사업용 계좌.
- 「2」입출금 계좌.
- 「2」계좌에서 돈을 찾다.
- 「2」부모님께서 매달 내 계좌로 생활비를 보내 주신다.
- 「2」이 은행에 내 명의로 신규 계좌를 개설하였다.
4. 공개강좌 (公開講座) [공개강:좌]
한자: 公(공평할 공), 開(열 개), 講(욀 강:), 座(자리 좌:)
일반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개방한 강좌.
용례:
- 컴퓨터 무료 공개강좌.
- 공개강좌가 열리다.
- 공개강좌를 마련하다.
- 공개강좌를 개최하다.
- 전통문화 연구회는 ‘한옥의 건축미’라는 주제로 공개강좌를 갖는다.
5. 공좌 (公座) [공좌]
한자: 公(공평할 공), 座(자리 좌:)
공적인 업무를 맡아보는 직위.
용례:
문득 무지한 밑에 있는 녹사들과 더불어 마음대로 조관과 진맹경을 공좌에서 잡아서 머리를 잡아끌고 발을 질질 끌면서 구타하여 내쫓았습니다.≪번역 태종실록≫
6. 구좌 (口座) [구:좌]
한자: 口(입 구(:)), 座(자리 좌:)
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명이나 법인명의 계좌.
7. 권좌 (權座) [권좌]
한자: 權(권세 권), 座(자리 좌:)
권력, 특히 통치권을 가지고 있는 자리.
용례:
- 권좌에 오르다.
- 권좌에서 물러나다.
- 시베리아 벌판에 우뚝 선 자기 그림자, 한 인간의 모습을 처음 만난 듯싶었고 군주의 권좌의 부당성을 깨달았다.≪박경리, 토지≫
8. 깡통계좌 (깡筒計座) [깡통계:좌]
한자: 筒(통(筒) 통), 計(셀 계:), 座(자리 좌:)
담보 유지 비율이 100% 미만인 계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주가가 내리면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계좌가 급증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9. 단좌 (單座) [단좌]
한자: 單(홑 단), 座(자리 좌:)
한 사람만 앉게 좌석이 하나만 있는 것.
용례:
단좌 전투기.
10. 당좌 (當座) [당좌]
한자: 當(마땅 당), 座(자리 좌:)
예금자가 수표를 발행하면 은행이 어느 때나 예금액으로 그 수표에 대한 지급을 하도록 되어 있는 예금.
11. 만좌 (滿座) [만:좌]
한자: 滿(찰 만(:)), 座(자리 좌:)
「1」여러 사람이 가득하게 늘어앉은 자리.
「2」모든 좌석에 가득 앉은 사람들.
용례:
- 「1」만좌의 사람들은 모두들 허리들이 부러져라 하고 웃어 댄다.≪박종화, 임진왜란≫
- 「2」윤수의 그 목청이 또한 만좌의 인기를 휩쓸었다.≪염상섭, 그 그룹과 기녀≫
12. 변좌 (便座) [변좌]
한자: 便(똥오줌 변), 座(자리 좌:)
양변기에서 엉덩이를 대고 걸터앉는 부분.
용례:
변좌에 앉자 비데가 작동하는 소리가 났다.
13. 보좌 (寶座) [보:좌]
한자: 寶(보배 보:), 座(자리 좌:)
「1」임금이 앉는 자리. 또는 임금의 지위.
「2」하나님이 앉는 의자.
「3」부처가 앉는 자리.
용례:
「1」보좌에 오르다.
14. 복련좌 (覆蓮座) [봉년좌]
한자: 覆(다시 복), 蓮(연꽃 련), 座(자리 좌:)
연꽃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의 무늬를 새긴, 불상을 올려놓는 대.
용례:
꿈속에서 본 금불상은 복련좌의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채 통견의 자락을 펄럭이며 하늘로 올라갔는데….≪문순태, 피아골≫
15. 상좌 (上座) [상:좌]
한자: 上(윗 상:), 座(자리 좌:)
「1」윗사람이 앉는 자리.
「2」대중을 거느리고 사무를 맡아보는 절의 주지(住持)나 법랍(法臘)이 많고 덕이 높은 강사(講師), 선사(禪師), 원로(元老) 들이 앉는 자리.
용례:
「1」그 많은 손님 중에서도 정 국장이 제일 상좌였다. 그래서 우길이도 그를 따라서 상좌에 앉아 있었다.≪한설야, 탑≫
16. 성좌 (星座) [성좌]
한자: 星(별 성), 座(자리 좌:)
별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밝은 별을 중심으로 천구(天球)를 몇 부분으로 나눈 것. 동물, 물건, 신화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십팔수로 나누었으나 오늘날에는 88개의 별자리로 통일되어 있다. 큰곰자리, 오리온자리 따위가 있다.
용례:
외치는 소리를 듣자 하염없는 안도를 느끼며 그제야 밝은 마음으로 밤하늘을 수놓은 찬란한 성좌를 올려다볼 수 있었다.≪선우휘, 사도행전≫
17. 성좌 (聖座) [성:좌]
한자: 聖(성인 성:), 座(자리 좌:)
「1」신성한 자리. 주로 성인(聖人)이나 임금이 앉는 자리를 이른다.
「2」‘교황청’(교황을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의 가톨릭교회와 교도를 다스리는 교회 행정의 중앙 기관.)을 달리 이르는 말.
18. 수좌 (首座) [수좌]
한자: 首(머리 수), 座(자리 좌:)
「1」등급이나 직위 따위에서 맨 윗자리.
「2」선원(禪院)에서 참선하는 승려. 또는 염불당의 염불승.
「3」고려 시대에 둔, 교종의 법계 가운데 하나. 승통의 아래, 삼중대사의 위이다.
용례:
- 「2」선방 수좌.
- 「2」그저 가람 수호나 하고 공부하는 수좌들 외호나 하면서 복이나 짓는 거지….≪김성동, 만다라≫
19. 어좌 (御座) [어:좌]
한자: 御(거느릴 어:), 座(자리 좌:)
「1」임금이 자리에 나와 앉음. 또는 그 자리.
「2」임금의 자리.
용례:
「1」왕은 어좌에 착석하였다.
20. 영좌 (領座) [영좌]
한자: 領(거느릴 령), 座(자리 좌:)
한 마을이나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
용례:
두레꾼들이 영좌를 뽑아 그 영좌를 받들면 그 영좌가 두레꾼들을 다스립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21. 영좌 (靈座) [영좌]
한자: 靈(신령 령), 座(자리 좌:)
영위(靈位)를 모시어 놓은 자리.
용례:
- 그 애는 발꿈치를 들고 영좌 앞으로 걸어가 향 그릇 옆에 놓인 유품들 중에서 수첩을 집어 들었다.≪황석영, 한 씨 연대기≫
- 여인은 아비의 기일이 찾아오면 음식을 장만하기보다 정갈한 술 한 되를 따로 마련하고, 고인의 영좌 앞에 밤새도록 소리하는 것으로 제례를 대신했는데….≪이청준, 서편제≫
22. 옥좌 (玉座) [옥쫘]
한자: 玉(구슬 옥), 座(자리 좌:)
임금이 앉는 자리. 또는 임금의 지위.
용례:
- 왕이 옥좌에 오르다.
- 백성의 신망을 잃은 왕은 결국 옥좌에서 쫓겨났다.
- 시중 금지는 문득 반열에서 나와 옥좌 앞에 부복하였다.≪현진건, 무영탑≫
23. 왕좌 (王座) [왕좌]
한자: 王(임금 왕), 座(자리 좌:)
「1」임금이 앉는 자리. 또는 임금의 지위.
「2」으뜸가는 자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왕좌에 앉다.
- 「1」왕좌를 넘보다.
- 「1」토함산은 예대로의 토함산이었으나 그것이 왕좌에서 물러난 왕족처럼 하루하루 위엄을 잃어 가는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여러 가지 생각에 잠겼다.≪최인훈, 회색인≫
- 「2」미들급의 왕좌.
- 「2」그는 열다섯의 나이에 바둑계의 왕좌에 올랐다.
- 「2」장차에 조선 출판계의 왕좌 될 꿈은 꾸면서 사무소가 이게 무어람?≪채만식, 민족의 죄인≫
24. 이좌 (二座) [이:좌]
한자: 二(두 이:), 座(자리 좌:)
예전에, 어떤 일을 맡아보는 데서 둘째 자리. 또는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을 이르던 말. 부책임자를 이른다.
용례:
그들 중 이좌 보는 유 서방이 말뚝처럼 서 있는 사람들을 우격다짐으로 휘몰아서 일을 분별하는데….≪홍명희, 임꺽정≫
25. 일좌 (一座) [일쫘]
한자: 一(한 일), 座(자리 좌:)
「1」한 좌석. 또는 같은 자리.
「2」온 좌석.
「3」예전에, 동네 소임의 첫자리. 또는 그 자리에 있던 사람.
용례:
「3」노 첨지의 큰아들은 그해 동네 일좌라 동네 사람이 집 안에 있던 사람은 모두 모여들었다.≪홍명희, 임꺽정≫
26. 조인광좌 (稠人廣座) [조인광:좌]
한자: 稠(빽빽할 조), 人(사람 인), 廣(넓을 광:), 座(자리 좌:)
여러 사람이 빽빽하게 많이 모인 자리.
용례:
복통이 터져서 속은 끓었다. 속에 있는 말이나 시원스럽게 하고 싶으나 부친 앞에서, 더구나 조인광좌 중에서 그럴 수도 없다.≪염상섭, 삼대≫
27. 조좌 (稠座) [조좌]
한자: 稠(빽빽할 조), 座(자리 좌:)
여러 사람이 빽빽하게 많이 모인 자리.
용례:
조좌 중에서 남의 집 부인이 그렇게 무안하게 하는 것이 장부의 행사가 아니라….≪대한매일신보≫
28. 족좌 (足座) [족쫘]
한자: 足(발 족), 座(자리 좌:)
「1」예전에, 주검의 발을 괴는 데 쓰던 받침.
「2」백제 때에, 나무로 만든 발받침 장신구. 1971년에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백제 무령왕릉에서 많은 부장품과 함께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국보로,
국보 정식 명칭은 ‘무령왕 발받침’이다.
29. 총좌 (銃座) [총좌]
한자: 銃(총 총), 座(자리 좌:)
사격할 때에, 총을 얹어 놓는 대.
용례:
갖다 놓을 대포, 갖다 놓을 기관총도 없으면서 포대와 총좌를 만들어 뭣하느냐고 병정들은 투덜댔지만….≪이병주, 관부 연락선≫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