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種 씨 종 - 2

41. 업종 (業種) [업쫑]

한자: 業(업 업), 種(씨 종(:))

「1」선악의 업(業). 반드시 고락의 과보(果報)를 내는 업을 열매를 맺는 씨앗에 비유한 말이다.
「2」선악의 업(業)을 오랫동안 지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선악의 씨앗.

42. 열종 (劣種) [열쫑]

한자: 劣(못할 렬), 種(씨 종(:))

기준에 못 미쳐 질이 낮은 품종.

용례:

벼의 열종인 앵미.

43. 예방접종 (豫防接種) [예:방접쫑]

한자: 豫(미리 예:), 防(막을 방), 接(이을 접), 種(씨 종(:))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백신을 투여하여 면역성을 인공적으로 생기도록 하는 일. 종두·비시지 접종 따위가 있다.

44. 오종 (五種) [오:종]

한자: 五(다섯 오:), 種(씨 종(:))

「1」다섯 종류.
「2」다섯 가지 중요한 곡식. 쌀, 보리, 콩, 조, 기장을 이른다.
「3」온갖 곡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3」오종과 잘된 벼들은 이때가 마침 이삭이 나올 무렵이라 침수가 안 된 것도 바람에 엎어져서 버릴 지경이다.≪이기영, 고향≫

45. 올파종 (올播種) [올:파종]

한자: 播(뿌릴 파(:)), 種(씨 종(:))

일반적인 파종 시기보다 이르게 씨를 뿌리는 일.

용례:

올해는 절기가 빠르니까 올파종을 해야겠다.

46. 왜종 (倭種) [왜종]

한자: 倭(왜나라 왜), 種(씨 종(:))

「1」일본에서 나는 동식물의 품종.
「2」일본 민족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2」나는 정말은 섬 속에서 불에 타 죽었든지 굶어 죽었든지 왜종에게 맞아 죽었든지….≪안회남, 불≫

47. 외래종 (外來種) [외:래종]

한자: 外(바깥 외:), 來(올 래(:)), 種(씨 종(:))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씨나 품종.

용례:

외래종의 침입으로 자생종이 절반 가까이 사라졌다.

48. 용종 (龍種) [용종]

한자: 龍(용 룡), 種(씨 종(:))

고려 시대에, ‘왕족’(임금의 일가.)을 이르던 말.

용례:

어미는 미천한 계집 반야올시다마는 배 안에 든 아기만은 삼한을 통일하옵신 고려 태조의 용종이올시다.≪박종화, 다정불심≫

49. 우량종 (優良種) [우량종]

한자: 優(넉넉할 우), 良(어질 량), 種(씨 종(:))

품질이 우수한 씨앗. 또는 그런 종류.

용례:

  • 우량종 개발.
  • 우량종 식물.
  • 우량종 실험.
  • 우량종 재배.
  • 우량종 젖소.

50. 을종 (乙種) [을쫑]

한자: 乙(새 을), 種(씨 종(:))

「1」갑, 을, 병 따위로 차례를 매길 때에 그 둘째 종류.
「2」예전에, 병역 판정 검사에서 정하던 신체 등급의 하나.

용례:

  • 「1」을종 면허.
  • 「1」을종 합격.
  • 「1」을종의 급에 속하다.
  • 「1」을종이 갑종으로 올라가다.
  • 「1」을종 자격증을 얻다.

51. 이종 (異種) [이:종]

한자: 異(다를 이:), 種(씨 종(:))

「1」다른 종류.
「2」변한 종자.

용례:

「1」호박에 이종의 수박을 접붙이는 농법이 있다.

52. 이종 (移種) [이종]

한자: 移(옮길 이), 種(씨 종(:))

모종을 옮겨 심음.

용례:

자농 밭은 삯을 주어서 김을 매고 텃밭만 오촌 모 자기가 감자와 파 이종을 하기로 하였다.≪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53. 인종 (人種) [인종]

한자: 人(사람 인), 種(씨 종(:))

「1」사람의 씨.
「2」인류를 지역과 신체적 특성에 따라 구분한 종류. 백인종, 황인종, 흑인종이 대표적이다.

용례:

  • 「2」아메리칸 인디언은 몽골 계통의 인종으로 알려져 있다.
  • 「2」미국에는 다양한 인종이 섞여 산다.

54. 일종 (一種) [일쫑]

한자: 一(한 일), 種(씨 종(:))

「1」한 종류. 또는 한 가지.
「2」어떤 것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고 ‘어떤, 어떤 종류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용례:

  • 「1」포유류의 일종.
  • 「1」안개는 대기 현상의 일종이다.
  • 「1」아크릴은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각종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많이 쓰인다.
  • 「1」조금도 감정을 과장하거나 거드름의 일종으로 이러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저는 지금 나를 비판해 준 사람들에 대해서 고맙게 여기고 있습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2」그는 무어라 말할 수는 없지만 일종의 확신에 가득 차 있었다.
  • 「2」단순한 충격이라기보다 그것은 일종의 감동이었다.≪윤흥길, 완장≫
  • 「2」말은 순하게 하였지만 속으로는 고연히 또 아내에게 일종 증오심이 났다. ≪한설야, 이녕≫

55. 자생종 (自生種) [자생종]

한자: 自(스스로 자), 生(날 생), 種(씨 종(:))

어떤 지역에 옛날부터 저절로 퍼져서 살고 있는 고유한 종(種).

용례:

그 산에는 자생종만 50여 종이나 된다.

56. 잠종 (蠶種) [잠종]

한자: 蠶(누에 잠), 種(씨 종(:))

「1」씨를 받을 누에의 알.
「2」누에의 품종.

용례:

「1」잠종 검사.

57. 잡종 (雜種) [잡쫑]

한자: 雜(섞일 잡), 種(씨 종(:))

「1」이것저것 잡다한 종류.
「2」어느 하나에 소속하지 못하고 잡다한 것이 뒤섞인 것.
「3」인간성이 못된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4」이종의 교배에 의하여 생긴, 유전적으로 여러 종의 유전자가 섞인 생물.

용례:

  • 「2」자기들은 순종인데, 다른 전문학교와 합치면 잡종이 된다는 그런 기분일 겁니다.≪이병주, 지리산≫
  • 「3」그는 상종도 못 할 잡종이다.

58. 재래종 (在來種) [재:래종]

한자: 在(있을 재:), 來(올 래(:)), 種(씨 종(:))

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농작물이나 가축의 종자. 다른 지역의 종자와 교배되는 일이 없이, 어떤 지역에서만 여러 해 동안 기르거나 재배되어 그곳의 풍토에 알맞게 적응된 종자를 이른다.

용례:

  • 재래종 토끼.
  • 재래종 씨앗.
  • 재래종의 장점을 살려 새로운 품종을 개발했다.

59. 절종 (絕種) [절쫑]

한자: 絕(끊을 절), 種(씨 종(:))

생물의 씨가 아주 없어짐.

용례:

  • 이 새는 환경 오염으로 절종의 위기에 있다.
  • 장군은 한편으로 난리에 절종이 된 삼씨를 구해다가 산간벽지에 뿌려서 이것으로 길쌈을 짜서 옷을 입게 하니….≪박종화, 임진왜란≫
  • 사슴으로 말하면 국초에는 흔하였는지 모르나 당시는 거의 절종이 되어서 소산도 아닌데 진상 종목에 들어 있었다.≪홍명희, 임꺽정≫

60. 접종 (接種) [접쫑]

한자: 接(이을 접), 種(씨 종(:))

병의 예방, 치료, 진단, 실험 따위를 위하여 병원균이나 항독소, 항체 따위를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주입함. 또는 그렇게 하는 일.

61. 종종 (種種) [종:종]

한자: 種(씨 종(:)), 種(씨 종(:))

[Ⅰ]모양이나 성질이 다른 여러 가지.
[Ⅱ]시간적·공간적 간격이 얼마쯤씩 있게.

용례:

  • [Ⅱ]종종 일어나는 일.
  • [Ⅱ]지나다 종종 들르다.
  • [Ⅱ]돌아가신 어머니가 종종 생각이 난다.
  • [Ⅱ]정말 서운하군요. 앞으로도 종종 놀러 오세요.≪이동하, 도시의 늪≫
  • [Ⅱ]시국이 어수선한 동안에도 예고 없이 찾아와서 하루나 이틀쯤 묵어간 적이 종종 있으므로 고모의 갑작스러운 출현이 그날따라 부자연스럽게 보일 특별한 이유라곤 없었다.≪윤흥길, 장마≫

62. 직종 (職種) [직쫑]

한자: 職(직분 직), 種(씨 종(:))

직업이나 직무의 종류.

용례:

  • 전문 직종.
  •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
  • 직종이 다르다.
  • 그들 가운데에는 비교적 전쟁의 타격을 덜 받는 직종에 종사하는 이가 더러 있어 쌀말이며 옷가지를 나누어 주었던 것이다.≪이문열, 영웅시대≫

63. 차종 (車種) [차종]

한자: 車(수레 차), 種(씨 종(:))

철도 차량, 자동차 따위의 종류.

용례:

  • 차종 개발.
  • 중형차로 차종을 바꾸다.
  • 매장에는 다양한 차종이 전시되어 있었다.
  • 각 자동차 회사에서는 차종에 따라 2∼5% 가격을 내렸다.
  • 우리 회사가 올해 출시한 차는 동급 차종 가운데 가장 경제적이면서 기능도 월등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64. 채종 (採種) [채:종]

한자: 採(캘 채:), 種(씨 종(:))

좋은 씨앗을 골라서 받음.

용례:

  • 가을의 채종으로부터 봄의 파종 사이에는 벼 종자를 각별히 돌보았다.
  • 채종도 힘든데 싹 내긴 또 얼마나 어렵겠냐.≪박완서, 미망≫

65. 채종 (菜種) [채:종]

한자: 菜(나물 채:), 種(씨 종(:))

채소의 씨앗.

용례:

  • 종묘상에서 채종을 구하다.
  • 새로운 채종을 개발하여 시험적으로 재배하고 있다.

66. 최우량종 (最優良種) [최:우량종]

한자: 最(가장 최:), 優(넉넉할 우), 良(어질 량), 種(씨 종(:))

질이 가장 우수하고 좋은 품종.

용례:

최우량종 볍씨.

67. 축종 (畜種) [축쫑]

한자: 畜(짐승 축), 種(씨 종(:))

가축의 종자. 또는 가축의 종류.

용례:

축종을 개량하다.

68. 취종 (取種) [취:종]

한자: 取(가질 취:), 種(씨 종(:))

생물의 씨를 받음.

용례:

백모란과 황모란 두 가지 꽃은 빛깔이 좋고 기상이 탐스럽다 해서 일부러 향각 아래 취종을 해 심었던 것이다.≪박종화, 다정불심≫

69. 침종 (浸種) [침:종]

한자: 浸(잠길 침:), 種(씨 종(:))

싹이 트기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씨를 뿌리기 전에 물에 담가 불리는 일.

용례:

한식이 지나고 곡우가 성큼 가까워지자 농가에서는 침종을 서둘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70. 토산종 (土産種) [토산종]

한자: 土(흙 토), 産(낳을 산:), 種(씨 종(:))

그 지방에서 특유하게 나는 품종.

용례:

토산종 보호.

71. 토인종 (土人種) [토인종]

한자: 土(흙 토), 人(사람 인), 種(씨 종(:))

문명이 미치지 아니하는 곳에 토착하여 사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초저녁 어스름까지 덧칠을 해 놓아서 웃을 때 옴싹 드러나는 허연 이빨하며 영락없는 토인종이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72. 토종 (土種) [토종]

한자: 土(흙 토), 種(씨 종(:))

「1」본디부터 그곳에서 나는 종자.
「2」대대로 그 땅에서 나서 오래도록 살아 내려오는 사람.

용례:

  • 「1」토종 농산물.
  • 「2」말 좋아하는 사람들은 언제 조선 토종들이 커피 마시면서 살았냐고들 하면서 다방들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을 개탄하고….≪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73. 특산종 (特産種) [특싼종]

한자: 特(특별할 특), 産(낳을 산:), 種(씨 종(:))

어떤 지역에서 특별히 나는 품종.

용례:

이 산에는 10여 종의 한국 특산종이 자라고 있다.

74. 특종 (特種) [특쫑]

한자: 特(특별할 특), 種(씨 종(:))

「1」특별한 종류.
「2」어떤 특정한 신문사나 잡지사에서만 얻은 중요한 기사.

용례:

  • 「1」매실이 그 독특한 산미와 특종의 성분을 가지고….≪김진섭, 인생 예찬≫
  • 「2」특종을 잡다.
  • 「2」남북 회담이 석간의 특종으로 다루어졌다.

75. 파종 (播種) [파종]

한자: 播(뿌릴 파(:)), 種(씨 종(:))

곡식이나 채소 따위를 키우기 위하여 논밭에 씨를 뿌림.

용례:

그 너른 밭을 단 한 고랑도 남기지 않고 모두 파종을 해 거둬들인다는 건 그리 쉽지 않은 일이란다.≪전상국,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76. 품종 (品種) [품:종]

한자: 品(물건 품:), 種(씨 종(:))

「1」물품의 종류.
「2」농작물, 가축 따위를 분류하는 최종 단계의 이름. 외부적으로 형질 또는 특성이 같고, 유전 형질의 조성이 같은 개체의 집단이다.
「3」생물 분류학상, 종(種)의 하위 단위. 아종, 변종 또는 식물에서 유전적 개량을 통하여 생긴 새로운 개체군을 이른다.

용례:

「1」우리 가게에서 취급하는 물건의 품종이 많이 늘어났다.

77. 혹종 (或種) [혹쫑]

한자: 或(혹 혹), 種(씨 종(:))

‘어떤 종류의’, ‘일종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용례:

그가 경멸하여 마지아니하는 것은 그보다 사회적 지위가 못한 것임에 틀립없는 자들이 혹종의 원조나 기대를 가지고 그를 만나 보고자 할 적이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78. 황인종 (黃人種) [황인종]

한자: 黃(누를 황), 人(사람 인), 種(씨 종(:))

피부색에 따라 구분한 인종의 하나. 신체적 특징으로는 황갈색의 피부, 검은색의 눈, 검은색의 직상모(直狀毛), 평평한 얼굴과 낮은 코 따위를 들 수 있다.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등 동양인이 대개 이에 속한다.

79. 흑인종 (黑人種) [흐긴종]

한자: 黑(검을 흑), 人(사람 인), 種(씨 종(:))

피부가 흑색 또는 갈색을 띤 인종을 이르는 말. 피부색에 따라 구분한 3대 인종군 중의 하나로서, 머리가 검고 보통 곱슬곱슬하고 코가 넓고 평평하며 입술이 두껍고 턱의 중앙이 돌출하여 있는 신체적 특징을 보인다. 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멜라네시아·미국 남부·서인도 제도 등지에 분포한다.

80. 희귀종 (稀貴種) [히귀종]

한자: 稀(드물 희), 貴(귀할 귀:), 種(씨 종(:))

드물어서 매우 진귀한 물건이나 품종.

용례:

멸종 위기에 놓인 희귀종을 보호하자는 운동이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種 씨 종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