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뇌전증 (腦電症) [뇌전쯩]
한자: 腦(골/뇌수 뇌), 電(번개 전:), 症(증세 증(:))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병. 유전적인 경우도 있으나 외상(外傷), 뇌종양 따위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42. 다뇨증 (多尿症) [다뇨쯩]
한자: 多(많을 다), 尿(오줌 뇨), 症(증세 증(:))
오줌의 분비와 배설이 병적으로 많은 증상. 액체를 너무 많이 섭취하여 오는 일시적인 식이성(食餌性) 다뇨증 외에, 콩팥 기능 부족, 당뇨병, 요붕증(尿崩症) 따위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43. 다한증 (多汗症) [다한쯩]
한자: 多(많을 다), 汗(땀 한(:)), 症(증세 증(:))
‘땀 과다증’(땀이 지나치게 많이 나는 증상. 당뇨병·임신·갱년기 장애 따위로 인하여 온몸에 땀이 많이 나는 전신성과, 일시적인 흥분·긴장·공포 따위로 손·발·겨드랑이·이마·콧등 따위에 땀이 나는 국한성이 있다.)의 전 용어.
44. 답답증 (답답症) [답땁쯩]
한자: 症(증세 증(:))
가슴속이 갑갑하거나 안타깝거나 하여 죄어드는 듯한 느낌.
용례:
- 답답증이 생기다.
- 답답증이 풀리다.
- 답답증이 나다.
45. 도착증 (倒錯症) [도:착쯩]
한자: 倒(넘어질 도:), 錯(어긋날 착), 症(증세 증(:))
성적(性的)인 대상이나 행위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것을 좋아하는 이상 성욕. 사디즘, 마조히즘, 노출증, 소아 성애(小兒性愛), 수간(獸姦) 따위가 이에 속한다.
46. 동맥경화증 (動脈硬化症) [동:맥경화쯩]
한자: 動(움직일 동:), 脈(줄기 맥), 硬(굳을 경), 化(될 화(:)), 症(증세 증(:))
동맥의 벽이 두꺼워지고 굳어져서 탄력을 잃는 질환. 일종의 노화 현상으로 고혈압, 비만, 당뇨병 따위가 주요 원인이며 혈류 장애, 혈전 형성, 뇌중풍, 심근 경색 따위의 주원인이 된다.
47. 두증 (痘症) [두쯩]
한자: 痘(역질 두), 症(증세 증(:))
천연두의 증세.
용례:
두증이 발반하다.
48. 말더듬증 (말더듬症) [말:더듬쯩]
한자: 症(증세 증(:))
말을 유창하게 하지 못하고 떠듬떠듬하는 증상.
49. 매친증 (매친症) [매친쯩]
한자: 症(증세 증(:))
정신에 이상이 생겨 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조금 다르게 나타나는 증세.
용례:
그년이 어느 때는 꼭 산매 들린 것 같으니까 매친증이 났던 거야.≪홍명희, 임꺽정≫
50. 무기력증 (無氣力症) [무기력쯩]
한자: 無(없을 무), 氣(기운 기), 力(힘 력), 症(증세 증(:))
기운이나 힘이 없어지는 증상.
용례:
- 무기력증이 생기다.
- 최근엔 심한 무기력증에 빠져 원고지 한 매도 제대로 채우지 못했다.
- 안 좋은 일들을 잇따라 겪으면서 우울증과 무기력증이 심해졌다.
- 그것은 내 무기력증에 대한 하나의 변명일 뿐, 실은 이빨이라도 부득부득 갈아붙이고 싶은데….≪박완서, 도시의 흉년≫
51. 무력증 (無力症) [무력쯩]
한자: 無(없을 무), 力(힘 력), 症(증세 증(:))
나이가 들거나 병에 걸리거나 하여 온몸에 기운이 없고 힘을 쓰지 못하게 되는 증상.
용례:
- 무력증에 빠지다.
- 원장 자신이 과거에 심한 무력증에 걸려 가지고 고통을 겪어 본 분이어서 아주 열심이세요.≪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52. 무산소증 (無酸素症) [무산소쯩]
한자: 無(없을 무), 酸(실[味覺] 산), 素(본디/흴[白] 소(:)), 症(증세 증(:))
몸속에 필요한 산소가 모자라는 증상. 혈압이 떨어지거나 의식 불명, 경련 따위가 일어난다.
53. 무섬증 (무섬症) [무섬쯩]
한자: 症(증세 증(:))
무서움을 느끼는 증상.
용례:
- 무섬증이 나다.
- 무섬증이 생기다.
- 무섬증을 느끼다.
- 밤이 깊어지자, 혼자 있다는 생각에 갑자기 무섬증이 들기 시작했다.
- 염을 하기는커녕 무섬증 때문에 용이는 시체 곁에 있을 수 없었다.≪박경리, 토지≫
54. 무정자증 (無精子症) [무정자쯩]
한자: 無(없을 무), 精(정할 정), 子(아들 자), 症(증세 증(:))
정액 속에 정자가 전혀 없는 병적 상태. 불임이 되는 원인의 하나이다.
55. 미운증 (미운症) [미운쯩]
한자: 症(증세 증(:))
병적으로 미워하는 버릇.
용례:
- 미운증이 나다.
- 미운증이 생기다.
- 문수는 상호에게 이때까지 느껴 보지 못하던 미운증을 걷잡을 수 없었다.≪염상섭, 초연≫
56. 미친증 (미친症) [미친쯩]
한자: 症(증세 증(:))
정신에 이상이 생겨 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조금 다르게 나타나는 증세.
용례:
쇠도리깨 도둑놈이 미친증이 났는지 아는 사람 모르는 사람 할 것 없이 만나는 족족 죽인다네.≪홍명희, 임꺽정≫
57. 발작증 (發作症) [발짝쯩]
한자: 發(필 발), 作(지을 작), 症(증세 증(:))
어떤 병의 증세나 동작 따위가 갑자기 세차게 일어나는 증상.
용례:
죽지나 않았는가? 하는 두려운 마음으로 찾아 나섰던 것이 인제는 갑숙이의 종적은 일거에 묘연한 만큼, 발작증을 일으켜서 공연히 돌아다니는 것이었다.≪이기영, 고향≫
58. 벌떡증 (벌떡症) [벌떡쯩]
한자: 症(증세 증(:))
화가 벌떡벌떡 일어나는 증세.
용례:
임오군란 때 그 수모를 생각하면 자다가도 벌떡증이 나서 밤잠을 설치는 내 심정을 모르느냐?≪송기숙, 녹두 장군≫
59. 변비증 (便祕症) [변비쯩]
한자: 便(똥오줌 변), 祕(숨길 비:), 症(증세 증(:))
대변이 대장 속에 오래 맺혀 있고, 잘 누어지지 아니하는 병.
용례:
변비증이 생겨서 화장실에 들어가면 보통 20~30분은 걸린다.
60. 별증 (別症) [별쯩]
한자: 別(다를/나눌 별), 症(증세 증(:))
어떤 병에 딸려 일어나는 다른 증세.
용례:
별증이 나다.
61. 병발증 (竝發症) [병:발쯩]
한자: 竝(나란히 병:), 發(필 발), 症(증세 증(:))
다른 병에 더불어서 일어나는 병증.
용례:
이런 식이라면 병을 나을 수 있기는커녕 되레 다른 병발증이나 하나 더 얻어 걸리게 되지 않나 걱정이 될 지경이란 말이야.≪이청준, 조율사≫
62. 병증 (病症) [병:쯩]
한자: 病(병 병:), 症(증세 증(:))
병의 증상.
용례:
세상에 원 이런 병도 있었나 싶을 만큼 어이가 없는 병증이었다.≪이청준, 빈 방≫
63. 본증 (本症) [본쯩]
한자: 本(근본 본), 症(증세 증(:))
본디부터 가지고 있어 완치되지 않고 때때로 도지는 병.
용례:
해마다 본증이 발작하듯이 그날을 당하여서는 정신을 잃는다.
64. 부증 (浮症) [부증]
한자: 浮(뜰 부), 症(증세 증(:))
몸이 붓는 증상. 심장병이나 콩팥병 또는 몸의 어느 한 부분의 혈액 순환 장애로 생긴다.
용례:
붕대도 풀어지고 상처와 부증이 가신 명철의 얼굴은 단정했다.≪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65. 부황증 (浮黃症) [부황쯩]
한자: 浮(뜰 부), 黃(누를 황), 症(증세 증(:))
오래 굶주려서 살가죽이 들떠서 붓고 누렇게 되는 증세.
용례:
곡기를 끊은 사람들 얼굴은 부황증에 누렇게 부풀어 목숨은 경각에 이르고 있는 형편이었다.≪박경리, 토지≫
66. 분열증 (分裂症) [부녈쯩]
한자: 分(나눌 분(:)), 裂(찢어질 렬), 症(증세 증(:))
‘조현병’(망상, 환각, 사고와 행동의 혼란 따위의 증상을 보이는 정신적 질환. 주로 청년기에 발생하며,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긴장형, 파과형(破瓜型), 망상형(妄想型) 따위로 나눈다.)의 전 용어.
용례:
- 분열증에 걸리다.
- 분열증에 사로잡히다.
- 분열증을 앓다.
67. 불감증 (不感症) [불감쯩]
한자: 不(아닐 불), 感(느낄 감:), 症(증세 증(:))
「1」감각이 둔하거나 익숙해져서 별다른 느낌을 갖지 못하는 일.
「2」성교할 때에 쾌감을 느끼지 못하는 증상. 성병 따위의 병이 원인이 되기도 하고 악취·죄악감·임신 공포 따위가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더 많다.
용례:
「1」이번 사고는 도덕적 불감증에 걸린 우리 사회의 분위기를 말해 주는 것이었다.
68. 불능증 (不能症) [불릉쯩]
한자: 不(아닐 불), 能(능할 능), 症(증세 증(:))
정신적·육체적·선천적·후천적인 원인으로 성교를 하지 못하는 상태.
69. 불면증 (不眠症) [불면쯩]
한자: 不(아닐 불), 眠(잘 면), 症(증세 증(:))
밤에 잠을 자지 못하는 증상. 신경증, 우울증, 조현병 따위의 경우에 나타나며 그 외에도 몸의 상태가 나쁘거나 흥분하였을 때에 생긴다.
용례:
- 불면증 환자.
- 불면증에 걸리다.
- 불면증으로 고생하다.
70. 불안증 (不安症) [부란쯩]
한자: 不(아닐 불), 安(편안 안), 症(증세 증(:))
타당한 이유 없이 저절로 근심스럽고 초조해지고 무섭기까지 한 병적 증상. 일부 신경증, 우울증, 조현병 따위에서 나타난다.
용례:
에이엠(AM)이나 카세트테이프로 음악을 들려주면 단박 에프엠(FM)이 아니라는 걸 알고 심한 불안증이나 발광 상태에 빠진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71. 불임증 (不妊症) [부림쯩]
한자: 不(아닐 불), 妊(아이밸 임:), 症(증세 증(:))
임신을 못 하는 병적 증상. 결혼하여 정상적인 부부 생활을 하나 삼 년이 지나도록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이른다. 한 번도 임신되지 않는 원발성 불임증과 임신하였던 여성이 다시 임신하지 못하는 속발성 불임증이 있다.
72. 비문증 (飛蚊症) [비문쯩]
한자: 飛(날 비), 蚊(모기 문), 症(증세 증(:))
안구의 유리체가 혼탁하거나 안저 출혈(眼底出血) 따위로 인하여 눈앞에 물체가 날아다니는 듯이 보이는 증상. 밝은 하늘이나 흰 면을 보았을 때, 시야에 희미하게 모기와 같은 것이 보이며, 시선을 움직이면 이동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73. 빈혈증 (貧血症) [빈혈쯩]
한자: 貧(가난할 빈), 血(피 혈), 症(증세 증(:))
혈액 속의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이 정상값 이하로 감소한 상태. 철분이나 비타민의 결핍·조혈 기관의 질환·실혈(失血)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일어나며, 안색이 나빠지고 두통·귀울림·현기증·두근거림·권태 따위의 증상을 보인다.
용례:
- 빈혈증을 일으키다.
- 빈혈증이 일어나다.
- 빈혈증을 앓다.
74. 산매증 (山魅症) [산매쯩]
한자: 山(메 산), 魅(매혹할 매), 症(증세 증(:))
요사스러운 산 귀신이 들린 증세.
용례:
어젯밤에 해거를 부린 분이 산매증이 좀 있어서 이따금 그런 실수를 해요.≪홍명희, 임꺽정≫
75. 산후별증 (産後別症) [산:후별쯩]
한자: 産(낳을 산:), 後(뒤 후:), 別(다를/나눌 별), 症(증세 증(:))
아이를 낳은 뒤에 조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생기는 여러 가지 병.
용례:
그해에 아내는 산후별증이 생긴 데다가 잘 먹지도 못하기 때문에 그만 간난이와 함께 죽어 버렸다.≪이기영, 봄≫
76. 산후증 (産後症) [산:후쯩]
한자: 産(낳을 산:), 後(뒤 후:), 症(증세 증(:))
아이를 낳은 뒤에 조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생기는 여러 가지 병.
77. 상동증 (常同症) [상동쯩]
한자: 常(떳떳할 상), 同(한가지 동), 症(증세 증(:))
무의미한 말이나 운동, 행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증상. 긴장형 조현병에서 나타난다.
78. 색전증 (塞栓症) [색쩐쯩]
한자: 塞(막힐 색), 栓(마개 전), 症(증세 증(:))
혈관 및 림프관 속으로 운반되어 온 떠다니는 물질이 혈관 안으로 들어가 혈관의 협착이나 폐색을 일으키는 증상.
79. 성조숙증 (性早熟症) [성:조숙쯩]
한자: 性(성품 성:), 早(이를 조:), 熟(익을 숙), 症(증세 증(:))
사춘기 발현의 한계인 9세가 되기 전에 성적(性的) 발달이 일어나는 증상.
80. 소심증 (小心症) [소:심쯩]
한자: 小(작을 소:), 心(마음 심), 症(증세 증(:))
「1」지나치게 소심하게 대하는 병증.
「2」‘작은심장증’(심장이 정상보다 작은 상태. 태아 때의 심장 발육 장애가 원인으로 발육 부진, 활동 장애가 따른다.)의 전 용어.
용례:
「1」야, 민수야. 너는 어째 별걸 가지고 다 소심하게 구냐. 나 원, 이런 소심증 환자를 봤나!≪김원우, 짐승의 시간≫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症 증세 증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症 증세 증 - 3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症 증세 증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