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소증 (素症) [소:쯩]
한자: 素(본디/흴[白] 소(:)), 症(증세 증(:))
푸성귀만 너무 먹어서 고기가 먹고 싶은 증세.
용례:
고깃배 마련할 밑천이 없더라도 바닷가 사람들은 낚시 드리우면 소증을 모를 만큼은 생선도 먹을 수 있었다.≪한무숙, 만남≫
82. 쇠약증 (衰弱症) [쇠약쯩]
한자: 衰(쇠할 쇠), 弱(약할 약), 症(증세 증(:))
힘이 쇠하고 약한 증세.
용례:
경애 어머니의 혈관을 시시각각으로 말리고 있는 무서운 쇠약증, 게다가 남편에 대한 불안은 그의 맘에서 사랑의 본능을 완전히 빼앗고 말았던 것이다.≪김말봉, 찔레꽃≫
83. 수전증 (手顫症) [수전쯩]
한자: 手(손 수(:)), 顫(떨 전:), 症(증세 증(:))
손이 떨리는 증상. 주로 알코올 의존자나 노인에게서 나타난다.
용례:
- 손이 수전증에 걸린 것처럼 떨렸다.
- 젊은 사람이 벌써 수전증이 생기다니! 이번엔 실수 없이 잘 받아요.≪염상섭, 그 그룹과 기녀≫
84. 수집증 (蒐集症) [수집쯩]
한자: 蒐(모을 수), 集(모을 집), 症(증세 증(:))
무엇이든 찾아 모으려는 병적인 증상.
용례:
형의 우표 수집 취미는 수집증에 가깝다.
85. 시장증 (시장症) [시장쯩]
한자: 症(증세 증(:))
배가 고픈 느낌.
용례:
차차 시장증이 나고 몸이 떨리기 시작하였으나…아무 방책도 없었다.≪이광수, 무정≫
86. 식곤증 (食困症) [식꼰쯩]
한자: 食(밥/먹을 식), 困(곤할 곤:), 症(증세 증(:))
음식을 먹은 뒤에 몸이 나른해지고 졸음이 오는 증상.
용례:
- 식곤증이 나다.
- 식곤증이 오다.
- 감시병 한 명이 따라붙은 이들은, 식사 후의 식곤증 때문인지 동작이 극히 굼뜨고 느리다.≪홍성원, 육이오≫
87. 신경증 (神經症) [신경쯩]
한자: 神(귀신 신), 經(지날/글 경), 症(증세 증(:))
심리적 원인에 의하여 정신 증상이나 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병. 주로 두통·가슴 두근거림·불면 따위의 증상이 나타나며, 불안 신경증·히스테리·강박 신경증·공포증·망상 반응 따위가 있다.
88. 실어증 (失語症) [시러쯩]
한자: 失(잃을 실), 語(말씀 어:), 症(증세 증(:))
대뇌의 손상으로 어릴 때부터 습득한 언어의 표현이나 이해에 장애가 생기는 병적 증상. 발화하는 근육은 정상이지만 뇌의 언어 중추 이상으로 일어나며, 운동성 실어와 감각성 실어, 또는 이 두 가지의 혼합형이 있다.
용례:
- 실어증에 걸리다.
- 심한 충격으로 실어증에 빠지다.
89. 실인증 (失認症) [시린쯩]
한자: 失(잃을 실), 認(알[知] 인), 症(증세 증(:))
감각 기관에는 이상이 없지만 뇌가 손상을 입어 대상물을 인식하지 못하는 병적인 증상.
90. 싫증 (싫症) [실쯩]
한자: 症(증세 증(:))
싫은 생각이나 느낌. 또는 그런 반응.
용례:
- 싫증이 나다.
- 싫증을 내다.
- 그는 매일 반복되는 생활에 싫증을 느끼고 있다.
- 성수는 서울로 돌아가야 좋은 일이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진작부터 전방에 대해 싫증을 나타내고 있었다.≪김용성, 도둑 일기≫
- 이자는 어떻게 된 셈인지 똑같은 소리를 똑같게 싫증도 안 내고 되풀이만 하고 있었다.≪이호철, 고여 있는 바닥≫
91. 심심증 (심심症) [심심쯩]
한자: 症(증세 증(:))
심심하여 잠시도 못 견디는 마음의 증세.
용례:
심심증이 나서 잠시도 집에 못 붙어 있겠다.
92. 싱숭증 (싱숭症) [싱숭쯩]
한자: 症(증세 증(:))
마음이 들떠서 싱숭생숭한 느낌이 일어나는 증세.
용례:
- 날씨가 좋으니까 괜히 싱숭증이 난다.
- 삼월이라 상도는 시골서 놀러 다니던 생각이 나서 두루 싱숭증만 더하였다.≪한설야, 탑≫
93. 악증 (惡症) [악쯩]
한자: 惡(악할 악), 症(증세 증(:))
「1」고치기 힘든 병.
「2」못된 짓.
「3」악의가 있는 짜증.
용례:
- 「3」악증이 나다.
- 「3」악증을 부리다.
94. 안달증 (안달症) [안달쯩]
한자: 症(증세 증(:))
속을 태우며 몹시 조급하게 구는 증세.
용례:
그놈 자행거의 기계 속 된 모양을 손으로 만져 보고 싶어서, 어제오늘은 적이 안달증이 났었다.≪김남천, 대하≫
95. 액취증 (腋臭症) [액취쯩]
한자: 腋(겨드랑이 액), 臭(냄새 취:), 症(증세 증(:))
‘땀 악취증’(겨드랑이, 음부 따위에서 냄새가 고약한 땀이 나는 증상. 아포크린샘의 이상이 원인이며, 해당 부위를 절제하여 치료한다.)의 전 용어.
96. 야뇨증 (夜尿症) [야:뇨쯩]
한자: 夜(밤 야:), 尿(오줌 뇨), 症(증세 증(:))
밤에 자다가 무의식중에 오줌을 자주 싸는 증상.
97. 야맹증 (夜盲症) [야:맹쯩]
한자: 夜(밤 야:), 盲(소경/눈멀 맹), 症(증세 증(:))
망막에 있는 간상체의 능력이 감퇴하여 밤에는 사물이 잘 보이지 아니하는 증상. 후천적으로는 비타민 에이(A)의 결핍으로 일어난다.
98. 양증 (陽症) [양증]
한자: 陽(볕 양), 症(증세 증(:))
「1」활발하고 명랑한 성질.
「2」질병의 변증(辨症)에서 음양 가운데 양(陽)에 속하는 병증. 급성이고 동적이며 강하고 흥분성이 있다. 몸에 열이 많고 불안하고 말이 많은 등의 특징을
보인다.
「3」상한이 진행되는 동안에 오한, 발열, 두통 따위의 증상이 나타나는 일.
용례:
「1」약간 진중하지 못한 게 흠일 뿐 감추는 게 없이 양증인 상철이는 뛸 듯이 기뻐했다.≪박완서, 미망≫
99. 어지럼증 (어지럼症) [어지럼쯩]
한자: 症(증세 증(:))
어지러운 기운이 나는 증세.
용례:
- 어지럼증이 나다.
- 어지럼증을 느끼다.
- 울렁거리던 속이 좀 가라앉고 어지럼증도 가셨다.≪이상문, 황색인≫
100. 어질증 (어질症) [어질쯩]
한자: 症(증세 증(:))
어지러운 기운이 나는 증세.
용례:
- 냇물을 건너는데 별안간 어질증이 나서 간신히 건넜으이.≪이기영, 고향≫
- 나머지 둘도 갑자기 밝은 데로 나와 어질증이 일어나는지 눈을 차마 뜨지 못하고 맑은 눈물만 소리 없이 흘릴 뿐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01. 역증 (逆症) [역쯩]
한자: 逆(거스릴 역), 症(증세 증(:))
몹시 언짢거나 못마땅하여서 내는 성.
용례:
- 역증이 나다.
- 역증이 슬며시 올라오다.
- 현도의 여유 있는 말에 창윤이는 또 공연히 역증이 치밀었다.≪안수길, 북간도≫
102. 염려증 (念慮症) [염:녀쯩]
한자: 念(생각 념:), 慮(생각할 려:), 症(증세 증(:))
작은 일이나 걱정하지 아니하여도 될 일에 걱정을 많이 하는 마음.
용례:
아이를 처음 기르는 그녀는 매사에 지나치게 민감한 염려증 환자가 된 듯했다.
103. 염세증 (厭世症) [염:세쯩]
한자: 厭(싫어할 염:), 世(인간 세:), 症(증세 증(:))
세상이나 인생을 추악하고 괴로운 것으로 여겨 비관하는 증세.
용례:
주인마누라는 이즈음 짙은 우울증과 염세증에 걸려 있었다.≪이호철, 소시민≫
104. 염오증 (厭惡症) [여:모쯩]
한자: 厭(싫어할 염:), 惡(미워할 오), 症(증세 증(:))
마음으로부터 싫어하여 미워하는 생각이나 증세.
용례:
염오증이 나다.
105. 염증 (炎症) [염쯩]
한자: 炎(불꽃 염), 症(증세 증(:))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 예를 들어 외상이나 화상, 세균 침입 따위에 대하여 몸의 일부에 충혈, 부종, 발열, 통증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용례:
- 염증을 일으키다.
- 염증이 생기다.
106. 염증 (厭症) [염:쯩]
한자: 厭(싫어할 염:), 症(증세 증(:))
싫은 생각이나 느낌. 또는 그런 반응.
용례:
- 염증이 나다.
- 염증을 내다.
- 일에 염증을 느끼다.
- 무미건조한 생활에 염증이 생기다.
- 정전 회담에 희망을 걸었던 양대 진영은 회담이 무기한 휴회로 들어가자 차츰 이 전쟁에 염증과 초조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홍성원, 육이오≫
107. 예증 (例症) [예:증]
한자: 例(법식 례:), 症(증세 증(:))
평소에 늘 보이는 좋지 아니한 버릇.
용례:
영탁이의 단식은 툭하면 시작되는 예증이었다.≪염상섭, 절곡≫
108. 우식증 (齲蝕症) [우식쯩]
한자: 齲(충치 우), 蝕(좀먹을 식), 症(증세 증(:))
입안의 유산균이 이의 석회질을 상하게 하여 충치가 되는 증상.
109. 우울증 (憂鬱症) [우울쯩]
한자: 憂(근심 우), 鬱(답답할 울), 症(증세 증(:))
기분이 언짢아 명랑하지 아니한 심리 상태. 흔히 고민, 무능, 비관, 염세, 허무 관념 따위에 사로잡힌다.
용례:
우울증에 빠지다.
110. 울렁증 (울렁症) [울렁쯩]
한자: 症(증세 증(:))
가슴이 울렁울렁하는 증세.
용례:
엄마는 아직도 울렁증이 가시질 않는지 가슴을 자꾸만 두드리면서 말했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111. 의부증 (疑夫症) [의부쯩]
한자: 疑(의심할 의), 夫(지아비 부), 症(증세 증(:))
남편의 행실을 지나치게 의심하는 변태적 성격이나 병적 증세.
용례:
의부증이 고비에 넘어서 꼭 옆에 붙들고 있어야만 마음이 놓이겠다는 것이니 배겨 낼 도리가 없다.≪염상섭, 동서≫
112. 의심증 (疑心症) [의심쯩]
한자: 疑(의심할 의), 心(마음 심), 症(증세 증(:))
의심을 잘하는 성질. 또는 그런 증세.
용례:
이 밤중에 남장을 차리고 어디를 가자는 것인가. 털이도 한옆으로 겁도 나거니와 의심증이 더럭 났다.≪현진건, 무영탑≫
113. 의증 (疑症) [의쯩]
한자: 疑(의심할 의), 症(증세 증(:))
의심을 잘하는 성질. 또는 그런 증세.
용례:
- 의증이 심하다.
- 모친이 병이 위급하다는 전보가 왔는데, 형보가 의증을 내어 못 내려가게 하니 너 먼저 송희를 데리고 이번 열한 점 차로 내려가면….≪채만식, 탁류≫
114. 의처증 (疑妻症) [의처쯩]
한자: 疑(의심할 의), 妻(아내 처), 症(증세 증(:))
아내의 행실을 지나치게 의심하는 변태적 성격이나 병적 증세.
용례:
- 의처증에 걸리다.
- 신부는 너무도 의외요, 너무도 기가 막히고, 너무도 가혹한 의처증의 칼날에 마음이 찔리는 바람에 금의옥식도 귀찮아진 것은 물론….≪이희승, 소경의 잠꼬대≫
115. 이식증 (異食症) [이:식쯩]
한자: 異(다를 이:), 食(밥/먹을 식), 症(증세 증(:))
별난 음식이나 이상한 물질을 좋아하는 증상. 아이들이 흙을 먹거나 임산부가 신 것을 좋아하는 따위가 있으며, 기생충에 의한 소화 장애나 정신 장애 따위가 원인이다.
116. 이증 (痢症) [이:증]
한자: 痢(이질 리:), 症(증세 증(:))
「1」변에 곱이 섞여 나오며 뒤가 잦은 증상을 보이는 법정 감염병. 세균성과 원충성으로 구별한다.
「2」이질의 증상.
117. 인음증 (引飮症) [이늠쯩]
한자: 引(끌 인), 飮(마실 음(:)), 症(증세 증(:))
술을 마시기 시작하면 자꾸 마시려고 하는 버릇.
용례:
군관을 앞세우고 취해서 경상 수영 선창으로 돌아온 원균은 걷잡을 새 없이 인음증이 불 일듯 일어난다.≪박종화, 임진왜란≫
118. 잊음증 (잊음症) [이즘쯩]
한자: 症(증세 증(:))
경험한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어느 시기 동안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또는 드문드문 기억하기도 하는 기억 장애.
용례:
너는 젊은 애가 무슨 잊음증이 그리 심하니?
119. 자폐증 (自閉症) [자폐쯩]
한자: 自(스스로 자), 閉(닫을 폐:), 症(증세 증(:))
1~2세 무렵부터 나타나는 발달 장애.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하고 대인 교섭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120. 저체온증 (低體溫症) [저:체온쯩]
한자: 低(낮을 저:), 體(몸 체), 溫(따뜻할 온), 症(증세 증(:))
체온이 정상보다 낮은 증상.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症 증세 증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症 증세 증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症 증세 증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