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취 (加取) [가취]
한자: 加(더할 가), 取(가질 취:)
물건을 살 때 덤으로 받음. 또는 그렇게 받는 물건.
2. 가취 (可取) [가:취]
한자: 可(옳을 가:), 取(가질 취:)
‘가취하다’
(능히 취하다.)의 어근.
3. 간취 (看取) [간취]
한자: 看(볼 간), 取(가질 취:)
보아서 내용을 알아차림.
4. 갈취 (喝取) [갈취]
한자: 喝(꾸짖을 갈), 取(가질 취:)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음.
용례:
- 갈취를 당하다.
- 일제 때 독립단을 사칭하고 다니면서 공갈, 갈취, 강도, 살인을 하고 다닌 족속들이 있었어.≪선우휘, 사도행전≫
5. 강취 (強取) [강:취]
한자: 強(강할 강(:)), 取(가질 취:)
남의 물건이나 권리를 강제로 빼앗음.
6. 거취 (去取) [거:취]
한자: 去(갈 거:), 取(가질 취:)
버림과 취함.
7. 공취 (攻取) [공:취]
한자: 攻(칠[擊] 공:), 取(가질 취:)
적의 성이나 진지를 공격하여 차지함.
용례:
11월에는 고구려와 화친하고 신라 당항성의 공취를 기도하여 신라에서 당으로 입조하는 길목을 막고 드디어는 군사를 내어….≪이청준, 춤추는 사제≫
8. 관취 (觀取) [관취]
한자: 觀(볼 관), 取(가질 취:)
보아서 그 진상을 파악함.
9. 구취 (鉤取) [구취]
한자: 鉤(갈고리 구), 取(가질 취:)
갈고리로 끌어당겨서 가짐.
10. 기취 (起取) [기취]
한자: 起(일어날 기), 取(가질 취:)
강제로 데리고 감. 특히 경찰관이 피의자를 체포하여 경찰서로 데리고 가는 일을 이른다.
11. 남취 (擥取) [남:취]
한자: 擥(잡을[攬] 람:), 取(가질 취:)
손에 쥠.
12. 내취 (內取) [내:취]
한자: 內(안 내:), 取(가질 취:)
약을 먹어 병을 고치는 일.
13. 녹취 (錄取) [녹취]
한자: 錄(기록할 록), 取(가질 취:)
방송 따위의 내용을 녹음함. 또는 녹음한 것을 글로 옮겨 기록함.
용례:
녹취 테이프.
14. 단취 (斷取) [단:취]
한자: 斷(끊을 단:), 取(가질 취:)
잘라서 취함.
15. 도취 (徒取) [도취]
한자: 徒(무리 도), 取(가질 취:)
「1」힘들이지 않고 얻음.
「2」공로 없이 벼슬을 함.
16. 도취 (盜取) [도취]
한자: 盜(도둑 도(:)), 取(가질 취:)
남의 물건을 도둑질하여 가짐.
17. 두취 (頭取) [두취]
한자: 頭(머리 두), 取(가질 취:)
「1」어떤 일이나 단체에서 으뜸인 사람.
「2」예전에, ‘은행장’을 이르던 말.
용례:
「2」오늘날 제 놈이 부자 될 배 어디 있으며 은행 두취 될 배 어디 있으랴.≪한설야, 탑≫
18. 몰취 (沒取) [몰취]
한자: 沒(빠질 몰), 取(가질 취:)
민사 소송에서, 법원이 일정한 물건의 소유권을 박탈하여 국가에 귀속시키는 결정.
19. 박취 (剝取) [박취]
한자: 剝(벗길 박), 取(가질 취:)
껍질 따위를 벗겨서 떼어 냄.
20. 발취 (拔取) [발취]
한자: 拔(뽑을 발), 取(가질 취:)
물건이나 글 가운데서 뽑아냄.
용례:
- 제품 발취가 끝나는 대로 검사에 들어가겠다.
- 당시의 문헌을 구하기 어려워서 자료 발취가 쉽지 않다.
21. 부취 (浮取) [부취]
한자: 浮(뜰 부), 取(가질 취:)
붙여 두었던 것을 띄워 버림.
22. 분취 (分取) [분취]
한자: 分(나눌 분(:)), 取(가질 취:)
나누어 가짐.
23. 불여취 (不與取) [부려취]
한자: 不(아닐 불), 與(더불/줄 여:), 取(가질 취:)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진다는 뜻으로, 도둑질을 달리 이르는 말.
24. 불취 (不取) [불취]
한자: 不(아닐 불), 取(가질 취:)
취하여 갖지 아니함.
25. 사취 (私取) [사취]
한자: 私(사사(私事) 사), 取(가질 취:)
사사로이 취함.
26. 사취 (詐取) [사취]
한자: 詐(속일 사), 取(가질 취:)
남의 것을 거짓으로 속여서 빼앗음.
27. 서취 (書取) [서취]
한자: 書(글 서), 取(가질 취:)
남이 하는 말이나 읽는 글을 들으면서 그대로 옮겨 씀. 또는 그런 일.
28. 선취 (先取) [선취]
한자: 先(먼저 선), 取(가질 취:)
남보다 먼저 가짐.
용례:
- 선취 득점.
- 선취 타점.
29. 선취 (選取) [선:취]
한자: 選(가릴 선:), 取(가질 취:)
여럿 가운데서 골라 가짐.
30. 섭취 (攝取) [섭취]
한자: 攝(다스릴/잡을 섭), 取(가질 취:)
「1」좋은 요소를 받아들임.
「2」자비심으로 중생을 거두어들임.
「3」생물체가 양분 따위를 몸속에 빨아들이는 일.
용례:
- 「1」그로 해서 내 민족 문화의 개성이 마멸되는 것이라면 그것은 섭취가 아니오, 예속이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 「3」지방 섭취를 줄이다.
- 「3」식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31. 수취 (收取) [수취]
한자: 收(거둘 수), 取(가질 취:)
거두어들여서 가짐.
용례:
왕이 조서를 내려 농민에 대한 가혹한 수취를 경계하였다.
32. 수취 (受取) [수취]
한자: 受(받을 수(:)), 取(가질 취:)
받아서 가짐.
용례:
- 외화의 수취와 지급.
- 우편으로 정성스레 속달을 띄워도 수취 거절이란 부전이 붙어서 돌아오고 하는 그곳이었다.≪김유정, 생의 반려≫
33. 습취 (拾取) [습취]
한자: 拾(주울 습), 取(가질 취:)
남이 잃어버린 것을 주워서 가짐.
34. 습취 (襲取) [습취]
한자: 襲(엄습할 습), 取(가질 취:)
습격하여 빼앗음.
35. 시취 (試取) [시:취]
한자: 試(시험 시(:)), 取(가질 취:)
시험을 보아 인재를 뽑음.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取 가질 취: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