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안취 (安取) [안취]
한자: 安(편안 안), 取(가질 취:)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함.
37. 압취 (押取) [압취]
한자: 押(누를 압), 取(가질 취:)
강제로 빼앗아 가짐.
38. 약취 (掠取) [약취]
한자: 掠(노략질할 략), 取(가질 취:)
훔쳐서 빼돌려 가지거나 약탈하여 가짐.
39. 약취 (略取) [약취]
한자: 略(간략할/약할 략), 取(가질 취:)
폭행이나 협박 따위의 수단으로 타인을 자기의 실력적 지배 아래 둠. 또는 그런 행위.
40. 엽취 (獵取) [엽취]
한자: 獵(사냥 렵), 取(가질 취:)
총이나 활 또는 길들인 매나 올가미 따위로 산이나 들의 짐승을 잡는 일.
41. 예취 (刈取) [예취]
한자: 刈(벨 예), 取(가질 취:)
곡식이나 풀을 벰.
42. 자취 (自取) [자취]
한자: 自(스스로 자), 取(가질 취:)
잘하든 못하든 자기 스스로 만들어 그렇게 됨.
용례:
이봉학이가 남아 있는 사람들을 보고 정상갑이 최판돌이의 화를 받은 것이 반은 자취요 반은 수(數)라고 누누이 말한 뒤에….≪홍명희, 임꺽정≫
43. 쟁취 (爭取) [쟁취]
한자: 爭(다툴 쟁), 取(가질 취:)
힘들게 싸워서 바라던 바를 얻음.
용례:
- 권력 쟁취.
- 금메달 쟁취.
44. 적취 (摘取) [적취]
한자: 摘(딸[手收] 적), 取(가질 취:)
집어내어 가짐.
용례:
과일의 적취.
45. 전취 (戰取) [전:취]
한자: 戰(싸움 전:), 取(가질 취:)
싸워서 목적한 바를 얻음.
46. 절취 (切取) [절취]
한자: 切(끊을 절), 取(가질 취:)
잘라 냄.
47. 절취 (節取) [절취]
한자: 節(마디 절), 取(가질 취:)
「1」좋은 점만을 취함.
「2」문장의 한 구절을 땀.
48. 절취 (竊取) [절취]
한자: 竊(훔칠 절), 取(가질 취:)
남의 물건을 몰래 훔치어 가짐.
용례:
대낮에 가정집에 도둑이 침입하여 절취 사건을 일으켰다.
49. 점취 (占取) [점취]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取(가질 취:)
차지하여 제 것으로 만듦.
50. 진취 (進取) [진:취]
한자: 進(나아갈 진:), 取(가질 취:)
적극적으로 나아가서 일을 이룩함.
용례:
지도자가 되려면 먼저 진취의 기상을 지녀야 한다.
51. 착취 (搾取) [착취]
한자: 搾(짤 착), 取(가질 취:)
「1」계급 사회에서 생산 수단을 소유한 사람이 생산 수단을 갖지 않은 직접 생산자로부터 그 노동의 성과를 무상으로 취득함. 또는 그런 일.
「2」동물의 젖이나 식물의 즙을 꼭 누르거나 비틀어서
짜냄.
용례:
- 「1」경제적 착취.
- 「1」착취를 당하다.
- 「1」조선 총독부는 한민족에 대한 정치적 탄압과 경제적 착취를 자행하였다.
- 「1」그 사이에서 착취를 당한 백성은 농민들뿐이었다. 세월이 흐를수록 헐벗고 굶주리게 되었다.≪유현종, 들불≫
- 「1」돈이 새끼를 치다 보니 자본가는 더욱 부유해지고 노동자와 농민은 그들에게 가혹한 착취만 당하니 더욱 가난해지고….≪김원일, 불의 제전≫
52. 채취 (採取) [채:취]
한자: 採(캘 채:), 取(가질 취:)
「1」풀, 나무, 광석 따위를 찾아 베거나 캐거나 하여 얻어 냄.
「2」연구나 조사에 필요한 것을 찾거나 받아서 얻음.
용례:
- 「1」약초 채취.
- 「1」금 채취.
- 「1」모래 채취.
- 「1」김, 미역 채취.
- 「1」이 근처 연안에서는 어패류의 무단 채취를 금지하고 있다.
- 「1」지난 주말에는 동호인들과 단양에 수석 채취를 나갔다.
- 「2」지문 채취.
- 「2」화석 채취.
- 「2」민요 채취.
- 「2」혈액 채취.
- 「2」꽃가루 채취.
53. 청취 (聽取) [청취]
한자: 聽(들을 청), 取(가질 취:)
의견, 보고, 방송 따위를 들음.
용례:
- 민의(民意) 청취.
- 증언 청취.
- 라디오 청취.
54. 탈취 (奪取) [탈취]
한자: 奪(빼앗을 탈), 取(가질 취:)
빼앗아 가짐.
용례:
- 총기 탈취 사고.
- 열강의 이권 탈취에 저항하다.
55. 택취 (擇取) [택취]
한자: 擇(가릴 택), 取(가질 취:)
여럿 가운데서 필요한 것을 골라 뽑음.
56. 투취 (偸取) [투취]
한자: 偸(훔칠 투), 取(가질 취:)
남의 물건을 몰래 훔치어 가짐.
57. 팔불취 (八不取) [팔불취]
한자: 八(여덟 팔), 不(아닐 불), 取(가질 취:)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용례:
팔불취가 아니고서야 자기 아내 자랑을 그렇게 하겠어?
58. 편취 (騙取) [편취]
한자: 騙(속일 편), 取(가질 취:)
남을 속이어 재물이나 이익 따위를 빼앗음.
59. 피착취 (被搾取) [피:착취]
한자: 被(입을 피:), 搾(짤 착), 取(가질 취:)
착취를 당함.
용례:
자네와 나와는 착취와 피착취의 계급적 의식을 전도시키세.≪염상섭, 삼대≫
60. 할취 (割取) [할취]
한자: 割(벨 할), 取(가질 취:)
남의 것에서 일부를 빼앗아 가짐.
61. 확취 (攫取) [확취]
한자: 攫(움킬 확), 取(가질 취:)
홱 갈겨서 빼앗아 가짐.
62. 횡취 (橫取) [횡취]
한자: 橫(가로 횡), 取(가질 취:)
남의 것을 불법으로 가로챔.
63. 흡취 (吸取) [흡취]
한자: 吸(마실 흡), 取(가질 취:)
빨아들여서 가짐.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取 가질 취: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