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공치 (架工齒) [가:공치]
한자: 架(시렁 가:), 工(장인 공), 齒(이 치)
빠진 이의 양옆에 있는 이를 버팀목으로 삼아 빠진 자리에 인공으로 해 넣는 치아.
2. 가치 (加齒) [가치]
한자: 加(더할 가), 齒(이 치)
새해가 되어 나이를 한 살 더 먹음.
3. 가치 (假齒) [가:치]
한자: 假(거짓 가:), 齒(이 치)
이가 빠진 자리에 만들어 박은 가짜 이.
4. 거치 (鋸齒) [거:치]
한자: 鋸(톱 거:), 齒(이 치)
「1」톱 따위의 가장자리에 있는 뾰족뾰족한 이.
「2」식물의 잎이나 꽃잎 가장자리에 있는, 톱니처럼 깔쭉깔쭉하게 베어져 들어간 자국.
5. 건치 (健齒) [건:치]
한자: 健(굳셀 건:), 齒(이 치)
건강한 치아.
용례:
건치 어린이 선발 대회.
6. 견치 (犬齒) [견치]
한자: 犬(개 견), 齒(이 치)
앞니와 어금니 사이에 있는 뾰족한 이. 육식 동물에서는 날카롭게 발달하여 엄니가 된다.
7. 계속치 (繼續齒) [계:속치]
한자: 繼(이을 계:), 續(이을 속), 齒(이 치)
본래의 이촉을 바탕으로 하여 인공 치아머리를 만들어 씌운 의치.
8. 고치 (叩齒) [고치]
한자: 叩(두드릴 고), 齒(이 치)
이의 뿌리를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윗니와 아랫니를 자주 마주침.
9. 과잉치 (過剩齒) [과:잉치]
한자: 過(지날 과:), 剩(남을 잉:), 齒(이 치)
정상적인 경우보다 많이 난 이.
10. 교치 (咬齒) [교치]
한자: 咬(물[齧]/새소리 교), 齒(이 치)
소리를 내어 이를 갊.
11. 구치 (久齒) [구:치]
한자: 久(오랠 구:), 齒(이 치)
젖니가 빠진 뒤에 나는 이와 뒤어금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람은 위아래로 모두 32개가 있다.
12. 구치 (臼齒) [구치]
한자: 臼(절구 구), 齒(이 치)
송곳니의 안쪽에 있는 큰 이. 가운데가 오목하고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한다. 앞어금니와 뒤어금니로 나누며, 사람에게는 상하좌우에 각각 앞어금니가 두 개, 뒤어금니가 세 개 있다.
13. 금치 (金齒) [금치]
한자: 金(쇠 금), 齒(이 치)
금으로 만든 이. 이가 빠졌거나 이 사이가 벌어졌을 때 모양을 떠서 해 박는다.
14. 낙치 (落齒) [낙치]
한자: 落(떨어질 락), 齒(이 치)
늙어서 이가 빠짐.
용례:
마누라는 근년에 낙치가 심하여 전부를 다시 해 박고, 더 젊어진 듯이 혼자 좋아하고 잇속 자랑을 하는 것이었다.≪염상섭, 굴레≫
15. 노치 (老齒) [노:치]
한자: 老(늙을 로:), 齒(이 치)
노인의 이.
16. 대구치 (大臼齒) [대:구치]
한자: 大(큰 대(:)), 臼(절구 구), 齒(이 치)
앞어금니 뒤쪽에 있는 이. 앞어금니 쪽에서부터 첫째·둘째·셋째 뒤어금니라고 부르며 모두 12개가 있다. 사람의 셋째 뒤어금니는 ‘사랑니’라 하는데 나지 않는 수도 있다.
17. 도치 (陶齒) [도치]
한자: 陶(질그릇 도), 齒(이 치)
사기로 만든 틀니. 주로 장석(長石)이나 규산(硅酸)으로 만드는데, 여러 가지 색소를 섞어 원래의 이와 같은 빛깔을 낸다.
18. 동치 (同齒) [동치]
한자: 同(한가지 동), 齒(이 치)
같은 나이.
19. 마치 (馬齒) [마:치]
한자: 馬(말 마:), 齒(이 치)
말의 이빨이라는 뜻으로, 자기의 나이를 낮추어 겸손하게 이르는 말.
20. 매복치 (埋伏齒) [매복치]
한자: 埋(묻을 매), 伏(엎드릴 복), 齒(이 치)
전체 또는 부분이 잇몸 속에 묻혀 있는 이.
21. 몰치 (歿齒) [몰치]
한자: 歿(죽을 몰), 齒(이 치)
「1」이가 다 빠진다는 뜻으로, 일생을 마침 또는 한평생을 이르는 말.
「2」이를 가는 해라는 뜻으로, 남자는 8세, 여자는 7세임을 이르는 말.
22. 문치 (門齒) [문치]
한자: 門(문 문), 齒(이 치)
‘앞니’를 달리 이르는 말.
23. 발치 (拔齒) [발치]
한자: 拔(뽑을 발), 齒(이 치)
이를 뽑음.
용례:
발치 후에는 음주를 삼가야 한다.
24. 백치 (白齒) [백치]
한자: 白(흰 백), 齒(이 치)
희고 깨끗한 이.
25. 불환치 (不換齒) [불환치]
한자: 不(아닐 불), 換(바꿀 환:), 齒(이 치)
일생 동안 한 번도 갈지 아니하는 이. 악어, 돌고래 따위에서 볼 수 있다.
26. 상치 (上齒) [상:치]
한자: 上(윗 상:), 齒(이 치)
윗잇몸에 난 이.
27. 생치 (生齒) [생치]
한자: 生(날 생), 齒(이 치)
「1」그해에 난 아이.
「2」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28. 설치 (楔齒) [설치]
한자: 楔(문설주 설), 齒(이 치)
염습하기 전에, 입에 낟알을 물리려고 시신(屍身)의 이를 벌리는 일.
29. 설치 (齧齒) [설치]
한자: 齧(깨물 설), 齒(이 치)
잠을 자면서 이를 가는 증상.
30. 성치 (成齒) [성치]
한자: 成(이룰 성), 齒(이 치)
젖니가 빠진 뒤에 나는 이.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齒 이 치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