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齒 이 치 - 2

31. 소구치 (小臼齒) [소:구치]

한자: 小(작을 소:), 臼(절구 구), 齒(이 치)

송곳니의 뒤에 있는 한 쌍의 이. 상하좌우 합쳐서 여덟 개이다. 젖니 뒤에 나는 영구치로 치아도드리가 두 개 있는 것이 특징이다.

32. 순치 (脣齒) [순치]

한자: 脣(입술 순), 齒(이 치)

「1」입술과 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입술과 이처럼 이해관계가 밀접한 둘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지역 사회와 학교는 순치의 관계니까 국외자는 아니죠.≪윤흥길, 묵시의 바다≫

33. 쌍두치 (雙頭齒) [쌍두치]

한자: 雙(두/쌍 쌍), 頭(머리 두), 齒(이 치)

송곳니의 뒤에 있는 한 쌍의 이. 상하좌우 합쳐서 여덟 개이다. 젖니 뒤에 나는 영구치로 치아도드리가 두 개 있는 것이 특징이다.

34. 아치 (牙齒) [아치]

한자: 牙(어금니 아), 齒(이 치)

어금니와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35. 아치 (兒齒) [아치]

한자: 兒(아이 아), 齒(이 치)

늙은이의 이가 빠진 후에 다시 난 이. 오래 살 징조라고 한다.

36. 알치 (戛齒) [알치]

한자: 戛(창/어근버근할 알), 齒(이 치)

소리를 내어 이를 갊.

37. 연치 (年齒) [연치]

한자: 年(해 년), 齒(이 치)

‘나이’의 높임말.

용례:

  • 노인장께선 연치가 어찌 되시오?≪박경리, 토지≫
  • 청암 부인의 연치가 있는지라, 일기가 고르지 못한 때 먼 곳까지 출입을 하는 것은 불안한 일이었다.≪최명희, 혼불≫

38. 열치 (涅齒) [열치]

한자: 涅(열반(涅槃) 녈), 齒(이 치)

이를 검게 물들이는 일. 또는 그 이.

39. 영구치 (永久齒) [영:구치]

한자: 永(길 영:), 久(오랠 구:), 齒(이 치)

젖니가 빠진 뒤에 나는 이와 뒤어금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람은 위아래로 모두 32개가 있다.

40. 옥치 (玉齒) [옥치]

한자: 玉(구슬 옥), 齒(이 치)

「1」희고 깨끗한 이.
「2」임금의 이.
「3」아름다운 여인의 이.
「4」옥으로 만들어 박은 의치.

41. 옹치 (雍齒) [옹치]

한자: 雍(화(和)할 옹), 齒(이 치)

늘 싫어하고 미워하는 사람 또는 그런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의 고조가 미워하던 사람의 이름이 옹치(雍齒)였던 데에서 유래한다.

용례:

남편이 천만뜻밖에 그렇게 된 뒤에는 계숙이와 아주 옹치였던 사이가 풀렸다.≪심훈, 영원의 미소≫

42. 우치 (齲齒) [우치]

한자: 齲(충치 우), 齒(이 치)

세균 따위의 영향으로 벌레가 파먹은 것처럼 이가 침식되는 질환. 또는 그 이. 흔히 염증이 생기고 통증을 일으킨다.

43. 유치 (乳齒) [유치]

한자: 乳(젖 유), 齒(이 치)

유아기에 사용한 뒤 갈게 되어 있는 이. 출생 후 6개월부터 시작하여 3세 전에 모두 나며, 다섯 종류로 상하·좌우 4개씩 모두 20개이다.

44. 의치 (義齒) [의:치]

한자: 義(옳을 의:), 齒(이 치)

이가 빠진 자리에 만들어 박은 가짜 이.

용례:

  • 그는 썩은 이를 뽑고 의치를 해 박았다.
  • 늙은 간수는 변색된 산플라 의치를 시커멓게 벌리며 허리를 비틀었다.≪김성동, 풍적≫

45. 입치 (入齒) [입치]

한자: 入(들 입), 齒(이 치)

이를 해 넣음.

용례:

치석이 끼었느니 입치가 어떠니 충치가 생기는 것 같다느니 핑계를 내걸고 걸핏하면 나타나는 것이었다.≪손창섭, 잉여 인간≫

46. 자연치 (自然齒) [자연치]

한자: 自(스스로 자), 然(그럴 연), 齒(이 치)

타고난 이를 인공 치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7. 전구치 (前臼齒) [전구치]

한자: 前(앞 전), 臼(절구 구), 齒(이 치)

송곳니의 뒤에 있는 한 쌍의 이. 상하좌우 합쳐서 여덟 개이다. 젖니 뒤에 나는 영구치로 치아도드리가 두 개 있는 것이 특징이다.

48. 전치 (前齒) [전치]

한자: 前(앞 전), 齒(이 치)

앞쪽으로 아래위에 각각 네 개씩 나 있는 이.

49. 절치 (切齒) [절치]

한자: 切(끊을 절), 齒(이 치)

몹시 분하여 이를 갊.

50. 접치 (摺齒) [접치]

한자: 摺(접을 접), 齒(이 치)

이를 부러뜨림.

51. 즐치 (櫛齒) [즐치]

한자: 櫛(빗 즐), 齒(이 치)

빗의 가늘게 갈라진 낱낱의 살.

용례:

즐치가 가늘고 촘촘한 영암 참빗으로 삼단 같은 검은 머리를 빗듯 달빛이 어둠을 좍좍 빗어 내리자….≪문순태, 타오르는 강≫

52. 지치 (智齒) [지치]

한자: 智(슬기/지혜 지), 齒(이 치)

어금니가 다 난 뒤 성년기에 맨 안쪽 끝에 새로 나는 작은 어금니.

53. 충치 (蟲齒) [충치]

한자: 蟲(벌레 충), 齒(이 치)

세균 따위의 영향으로 벌레가 파먹은 것처럼 이가 침식되는 질환. 또는 그 이. 흔히 염증이 생기고 통증을 일으킨다.

용례:

  • 충치가 생기다.
  • 충치를 예방하다.
  • 충치를 뽑다.

54. 풍치 (風齒) [풍치]

한자: 風(바람 풍), 齒(이 치)

썩거나 상하지 않은 채 풍증으로 일어나는 치통.

용례:

풍치가 말썽을 부리려는지 이따금 이빨 사이로 바람을 불어 넣는 소리를 내곤 했다.≪박경리, 토지≫

55. 하치 (下齒) [하:치]

한자: 下(아래 하:), 齒(이 치)

아랫잇몸에 난 이.

56. 헐치 (歇齒) [헐치]

한자: 歇(쉴 헐), 齒(이 치)

닳아서 잘 맞지 아니하는 톱니바퀴의 이.

57. 호치 (皓齒) [호치]

한자: 皓(흴[白] 호), 齒(이 치)

희고 깨끗한 이.

58. 환치 (換齒) [환:치]

한자: 換(바꿀 환:), 齒(이 치)

젖니가 빠진 뒤에 나는 이.

59. 훼치 (毁齒) [훼:치]

한자: 毁(헐 훼:), 齒(이 치)

어린아이가 젖니를 갊.

60. 흑치 (黑齒) [흑치]

한자: 黑(검을 흑), 齒(이 치)

검게 염색한 이.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齒 이 치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