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시탑 (監視塔) [감시탑]
한자: 監(볼 감), 視(볼 시:), 塔(탑 탑)
일정한 지역을 살피고 통제할 목적으로 탑 모양으로 높이 세워서 만든 시설물.
용례:
감시탑에서는 경비병이 주야로 포로들을 감시했다.
2. 개미탑 (개미塔) [개:미탑]
한자: 塔(탑 탑)
개미가 땅속에 집을 짓기 위하여 파낸 흙가루가 땅 위에 두둑하게 쌓인 것.
용례:
꼬챙이 같은 것으로 불개미의 개미탑을 파 보면 침엽수의 가지나 잎으로 구조물 같은 것이 교묘하게 만들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고탑 (古塔) [고:탑]
한자: 古(예 고:), 塔(탑 탑)
옛 탑.
용례:
그곳을 지나가는 마차나 사람, 모든 구조물과 꼭 같은 질량으로 라마의 고탑은 시가 중심에 서 있었다.≪박경리, 토지≫
4. 관망탑 (觀望塔) [관망탑]
한자: 觀(볼 관), 望(바랄 망:), 塔(탑 탑)
멀리까지 바라볼 수 있도록 세운 탑.
용례:
관망탑에 오르다.
5. 관제탑 (管制塔) [관제탑]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塔(탑 탑)
비행장에서 안전과 능률을 위하여 항공 교통관제를 행하는 탑. 항공기의 이착륙에 관한 지시나 비행장 내의 정리 따위를 행한다.
용례:
- 관제탑의 지시 사항을 따르다.
- 암회색의 거대한 군 수송기 한 대가 활주로를 서서히 미끄러져 관제탑 백여 미터 전방에 서서히 멈춰 섰다.≪홍성원, 육이오≫
6. 광고탑 (廣告塔) [광:고탑]
한자: 廣(넓을 광:), 告(고할 고:), 塔(탑 탑)
광고를 위하여 탑처럼 높이 만들어 세운 구조물.
용례:
건물 옥상에 광고탑을 세우다.
7. 금동탑 (金銅塔) [금동탑]
한자: 金(쇠 금), 銅(구리 동), 塔(탑 탑)
「1」신라 말기·고려 시대에 널리 유행하였던 모형 탑.
「2」고려 시대의 금동제 탑. 현존하는 것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탑 전체에 무늬 장식과 부착물이 많아 공예적 특성이 완연하지만, 목탑의
형태를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어 목조 건축의 연구 자료로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높이는 1.55미터.
8. 금자탑 (金字塔) [금자탑]
한자: 金(쇠 금), 字(글자 자), 塔(탑 탑)
「1」‘金’ 자 모양의 탑이라는 뜻으로, 피라미드를 이르던 말.
「2」길이 후세에 남을 뛰어난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금자탑을 세우다.
- 「2」금자탑을 쌓다.
- 「2」역사에 길이 남을 금자탑을 이룩하다.
- 「2」한글은 우리 민족이 세운 찬란한 문화의 금자탑이다.
9. 급수탑 (給水塔) [급쑤탑]
한자: 給(줄 급), 水(물 수), 塔(탑 탑)
「1」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철제 탑. 물탱크에서 기관차 따위에 직접 급수할 수 없을 때 사용하며, 승강장이나 기타 편리한 곳에 설치한다.
「2」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탑 모양으로 물탱크를
설치한 구조물. 높이 설치된 물탱크에 물을 올려서 급수에 필요한 수압을 얻는다.
용례:
「1」급수탑을 세우다.
10. 기념탑 (紀念塔) [기념탑]
한자: 紀(벼리 기), 念(생각 념:), 塔(탑 탑)
「1」어떤 뜻깊은 일을 오래도록 잊지 아니하고 마음에 간직하기 위하여 세운 탑.
「2」오래도록 기념하면서 후대에 전할 만한 사실이나 인물, 또는 그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전쟁 승리 기념탑을 둘러보다.
- 「2」이 학자의 업적은 우리 시대 정신의 기념탑이라 할 만하다.
11. 다보탑 (多寶塔) [다보탑]
한자: 多(많을 다), 寶(보배 보:), 塔(탑 탑)
「1」경주 불국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 앞에 있는 두 탑 중 동쪽에 있는 탑. 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는 10.29미터 정도이며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
국보로,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불국사 다보탑’이다.
「2」다보여래의 사리를 모신 탑. 다보여래가 열반할 때의 원(願)을 따라 다보여래의 전신이 탑 속에 봉안되어 있다고 전해진다. 대개 옥개
아래 상징을 붙인 조형을 이루고 있다.
12. 돌탑 (돌塔) [돌:탑]
한자: 塔(탑 탑)
돌로 쌓은 탑.
용례:
산길 모퉁이에는 이 길을 지나는 사람들이 안전을 빌며 돌을 하나씩 쌓아 만든 조그마한 돌탑이 여러 개 세워져 있었다.
13. 목탑 (木塔) [목탑]
한자: 木(나무 목), 塔(탑 탑)
나무로 만든 탑.
용례:
삼국 시대에는 사찰에 목탑을 세우는 것이 유행하였지만 전란 때 대부분 타 버리고 말았다.
14. 분수탑 (噴水塔) [분:수탑]
한자: 噴(뿜을 분), 水(물 수), 塔(탑 탑)
탑 모양으로 높직이 단을 쌓고 그 위에서 분수가 나오도록 만든 장치.
용례:
공원 분수탑에서는 시원스레 물줄기가 솟아올랐다.
15. 사령탑 (司令塔) [사령탑]
한자: 司(맡을 사), 令(하여금 령(:)), 塔(탑 탑)
「1」군함이나 항공 기지에서 잘 보고 지휘할 수 있도록 높게 만든 탑 모양의 장소. 또는 그곳에서 지휘하는 사람.
「2」작전이나 지시 따위를 하는 중추부.
용례:
- 「1」이순신 장군이 사령탑 장대 위에서 앞을 바라보니….≪박종화, 임진왜란≫
- 「2」한국 축구 사령탑.
- 「2」그는 새 경제 팀의 사령탑을 맡게 되었다.
16. 사탑 (斜塔) [사탑]
한자: 斜(비낄 사), 塔(탑 탑)
한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탑.
용례:
그 아이가 사탑처럼 기울어진 몸뚱이로 나타남으로써 내 성불 의지는 박살 나고 말았으며….≪김성동, 먼 산≫
17. 상아탑 (象牙塔) [상아탑]
한자: 象(코끼리 상), 牙(어금니 아), 塔(탑 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大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베이컨은 인생을 넓게 살았다. 학문의 상아탑 속에 홀로 들어박혀서 책밖에 모르는 대학교수나 학자는 결코 아니었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 「2」학문과 진리를 탐구하는 상아탑.
18. 석가탑 (釋迦塔) [석까탑]
한자: 釋(풀 석), 迦(부처이름 가), 塔(탑 탑)
석가모니의 치아, 머리털, 사리 따위를 모신 탑. 우리나라에는 경주의 불국사, 보은의 법주사, 양산의 통도사, 평창의 월정사, 칠곡의 송림사 등에 있다.
19. 석탑 (石塔) [석탑]
한자: 石(돌 석), 塔(탑 탑)
석재를 이용하여 쌓은 탑.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층을 구분하여 쌓았다.
용례:
- 5층 석탑.
- 불상과 석탑.
20. 성탑 (城塔) [성탑]
한자: 城(재 성), 塔(탑 탑)
성(城)에 있는 탑.
용례:
높이 솟은 성탑과 견고한 성곽.
21. 송전탑 (送電塔) [송:전탑]
한자: 送(보낼 송:), 電(번개 전:), 塔(탑 탑)
고압 전선을 걸기 위하여 높이 세운 철탑.
용례:
- 송전탑 한 기.
- 송전탑을 건설하다.
- 송전탑을 세우다.
22. 시계탑 (時計塔) [시계탑]
한자: 時(때 시), 計(셀 계:), 塔(탑 탑)
멀리서도 볼 수 있도록 시계를 장치한 높은 탑.
용례:
- 역 광장에 시계탑을 세우다.
- 시체실 건물 지붕에서 비둘기 한 마리가 날아올라 본동 시계탑에 가 앉는다.≪최인훈, 구운몽≫
23. 신호탑 (信號塔) [신:호탑]
한자: 信(믿을 신:), 號(이름 호(:)), 塔(탑 탑)
신호를 올릴 때 쓰도록 만든 탑 모양의 구조물.
용례:
신호탑을 세우다.
24. 옥탑 (屋塔) [옥탑]
한자: 屋(집 옥), 塔(탑 탑)
주택이나 빌딩 따위의 건물 맨 꼭대기에 설치된 공간.
용례:
- 옥탑 공사.
- 옥탑 기계실.
25. 위령탑 (慰靈塔) [위령탑]
한자: 慰(위로할 위), 靈(신령 령), 塔(탑 탑)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세우는 탑.
용례:
원주민들의 항거가 숨을 죽인 어느 날, 대륙 사람들은 그곳에 사당과 위령탑을 자그마하게 세우고 그들의 원혼들을 다스렸다.≪한승원, 해일≫
26. 전공탑 (戰功塔) [전:공탑]
한자: 戰(싸움 전:), 功(공[勳] 공), 塔(탑 탑)
전투에서 세운 공로를 기리는 탑.
용례:
전공탑에는 전몰장병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27. 조명탑 (照明塔) [조:명탑]
한자: 照(비칠 조:), 明(밝을 명), 塔(탑 탑)
조명등을 설치한 탑.
용례:
- 무대 양옆에 조명탑이 세워졌다.
- 날이 어두워지자 조명탑에 불이 들어왔다.
- 학교에서는 운동부의 야간 훈련을 위해 운동장에 조명탑을 추가로 설치했다.
28. 종탑 (鐘塔) [종탑]
한자: 鐘(쇠북 종), 塔(탑 탑)
「1」꼭대기에 종을 매달아 치도록 만든 탑.
「2」이탈리아 교회 건축에서, 교회당의 옆에 세워서 종을 매다는 탑. 초기 기독교 시대에서 바로크 시대 초기까지 사용하였다.
용례:
- 「1」성당 종탑에서 들려오는 은은한 종소리.
- 「1」땅거미가 내리기 시작하는 주위로 교회당의 종탑이 숨 가쁜 종소리를 섞고 있었다.≪천승세, 황구의 비명≫
29. 차례탑 (차禮塔) [차례탑]
한자: 禮(예도 례:), 塔(탑 탑)
차례 때에, 탑처럼 높이 괴어 올린 제물(祭物).
용례:
모두 이등변 삼각형으로 가지를 늘어뜨리고 섰는 품이 한 그루 한 그루의 나무가 흡사히 괴어 놓은 차례탑과 같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30. 철탑 (鐵塔) [철탑]
한자: 鐵(쇠 철), 塔(탑 탑)
철재로 조립하여 높이 세운 구조물.
용례:
- 언덕 위에 늘어서 있는 철탑에는 굵은 고압선이 설치되어 있었다.
- 들 저편의 변전소에는 철탑마다 불이 환하게 켜져 있었다.≪김원일, 노을≫
31. 첨탑 (尖塔) [첨탑]
한자: 尖(뾰족할 첨), 塔(탑 탑)
뾰족한 탑.
용례:
- 교회당 첨탑 위의 흰 십자가.
- 멀리 있는 성당의 첨탑이 뚜렷하게 솟아올라 있다.≪박경리, 토지≫
32. 추모탑 (追慕塔) [추모탑]
한자: 追(쫓을/따를 추), 慕(그릴 모:), 塔(탑 탑)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세운 탑.
용례:
추모탑을 건립하다.
33. 충혼탑 (忠魂塔) [충혼탑]
한자: 忠(충성 충), 魂(넋 혼), 塔(탑 탑)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사람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탑.
용례:
- 충혼탑을 세우다.
- 충혼탑에 헌화하다.
34. 통제탑 (統制塔) [통:제탑]
한자: 統(거느릴 통:), 制(절제할 제:), 塔(탑 탑)
무엇을 통제·지휘하려고 세운 시설물.
용례:
격납고 밖으로 간신히 기어 나와서 보니 통제탑 앞에 사람들이 삥 둘러서서 바라보고 있었다.≪윤흥길, 빙청과 심홍≫
35. 포탑 (砲塔) [포탑]
한자: 砲(대포 포:), 塔(탑 탑)
군함·전차·요새 따위에 있는 대포에, 포신만 내놓고 그 나머지를 두꺼운 강철로 둘러싼 장치. 포나 포병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용례:
- 탱크가 갑자기 포탑을 돌려 불길에 휩싸인 초가 두 채에 포를 발사했다.≪홍성원, 육이오≫
- 적을 섬멸한 수색대원들도, 전차 포탑 밖으로 얼굴을 드러낸 전차병도….≪이원규, 훈장과 굴레≫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