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탕 (家族湯) [가족탕]
한자: 家(집 가), 族(겨레 족), 湯(끓을 탕:)
한 가족끼리만 따로 쓰도록 되어 있는 목욕탕.
2. 갈근탕 (葛根湯) [갈근탕]
한자: 葛(칡 갈), 根(뿌리 근), 湯(끓을 탕:)
갈근을 넣어서 만드는 탕약. 주로 감기약으로 쓴다.
3. 갈비탕 (갈비湯) [갈비탕]
한자: 湯(끓을 탕:)
소의 갈비를 물에 넣고 끓인 음식.
용례:
- 갈비탕 한 그릇.
- 결혼식에 갔더니 갈비탕을 식사로 내놓았다.
4. 갈탕 (葛湯) [갈탕]
한자: 葛(칡 갈), 湯(끓을 탕:)
갈분(葛粉)에 설탕을 넣어 끓인 물.
5. 감곽탕 (甘藿湯) [감곽탕]
한자: 甘(달 감), 藿(콩잎/미역 곽), 湯(끓을 탕:)
미역을 넣어 끓인 국.(곽탕)
6. 감길탕 (甘桔湯) [감길탕]
한자: 甘(달 감), 桔(도라지 길), 湯(끓을 탕:)
도라지와 감초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편도염, 인후염 따위에 쓴다.
7. 감자탕 (감자湯) [감자탕]
한자: 湯(끓을 탕:)
돼지 뼈에 감자, 들깨, 파, 마늘 따위의 양념을 넣어 끓인 찌개.
용례:
- 감자탕 전문 식당.
- 나는 안주로 시킨 감자탕 뚝배기에다 그가 콧물이라도 떨어뜨릴까 봐 은근히 걱정했던 일이 생각난다.≪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8. 감저탕 (甘藷湯) [감저탕]
한자: 甘(달 감), 藷(감자 저), 湯(끓을 탕:)
감자를 넣어서 끓인 국.
9. 감탕 (甘湯) [감탕]
한자: 甘(달 감), 湯(끓을 탕:)
「1」엿을 고아 낸 솥을 부신 단 물.
「2」메주를 쑤어 낸 솥에 남은 걸쭉한 물.
「3」단맛이 나는 국물이나 액체.
10. 개별탕 (個別湯) [개:별탕]
한자: 個(낱 개(:)), 別(다를/나눌 별), 湯(끓을 탕:)
개개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비를 갖춘 목욕탕.
용례:
그 온천장은 개별탕과 그에 딸린 휴게실을 갖추고 있었다.
11. 갱탕 (羹湯) [갱:탕]
한자: 羹(국 갱:), 湯(끓을 탕:)
고기, 생선, 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
12. 거갑탕 (居甲湯) [거갑탕]
한자: 居(살 거), 甲(갑옷 갑), 湯(끓을 탕:)
장국에 녹말을 풀고 조갯살, 송이, 은행 따위를 넣고 휘저어 가며 끓인 국.
13. 건리탕 (建理湯) [걸:리탕]
한자: 建(세울 건:), 理(다스릴 리:), 湯(끓을 탕:)
속을 덥게 하고 비위를 보하는 탕약. 만성 위염, 위 무력증 따위에 쓴다.
14. 계란탕 (鷄卵湯) [계란탕]
한자: 鷄(닭 계), 卵(알 란:), 湯(끓을 탕:)
맑은장국에 달걀을 풀어서 끓인 국.
15. 계삼탕 (鷄蔘湯) [계삼탕]
한자: 鷄(닭 계), 蔘(삼 삼), 湯(끓을 탕:)
‘삼계탕’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16. 계지탕 (桂枝湯) [계:지탕]
한자: 桂(계수나무 계:), 枝(가지 지), 湯(끓을 탕:)
계수나무의 잔가지를 달여 만드는 탕약. 감기, 신경통, 두통, 복통, 신경 쇠약 따위에 쓴다.
17. 계탕 (鷄湯) [계탕]
한자: 鷄(닭 계), 湯(끓을 탕:)
닭고기와 무 조각을 함께 넣고 끓인 맑은장국.
18. 곤포탕 (昆布湯) [곤포탕]
한자: 昆(맏 곤), 布(베/펼 포(:)), 湯(끓을 탕:)
다시마를 넣고 끓인 국.
19. 골탕 (골湯) [골탕]
한자: 湯(끓을 탕:)
소의 등골이나 머릿골에 녹말이나 밀가루 따위를 묻혀 기름에 지지고 달걀 푼 것을 씌운 후 이를 맑은장국에 넣어서 다시 끓여 익힌 국.(수탕)
20. 곰탕 (곰湯) [곰:탕]
한자: 湯(끓을 탕:)
「1」소의 뼈나 양(羘), 곱창, 양지머리 따위의 국거리를 넣고 진하게 푹 고아서 끓인 국.
「2」은어로, ‘성교’(性交)를 이르는 말.
용례:
- 「1」곰탕 한 그릇.
- 「1」곰탕은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서 먹는다.
21. 공중목욕탕 (公衆沐浴湯) [공중모굑탕]
한자: 公(공평할 공), 衆(무리 중:), 沐(머리감을 목), 浴(목욕할 욕), 湯(끓을 탕:)
여러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목욕탕.(공중탕)
용례:
대도시에는 공중목욕탕이 많아서 아무 때고 쉽게 목욕을 할 수 있다.
22. 구자탕 (口子湯) [구:자탕]
한자: 口(입 구(:)), 子(아들 자), 湯(끓을 탕:)
입을 즐겁게 하는 탕이라는 뜻으로, ‘신선로’(상 위에 놓고 음식을 끓이는 그릇. 또는 그것에 끓인 음식.)를 달리 이르는 말.
23. 궁귀탕 (芎歸湯) [궁귀탕]
한자: 芎(궁궁이 궁), 歸(돌아갈 귀:), 湯(끓을 탕:)
해산 전후에 쓰는 처방.
24. 궐탕 (蕨湯) [궐탕]
한자: 蕨(고사리 궐), 湯(끓을 탕:)
맑은장국에 양념한 고기와 두부를 넣고 끓이다가 고사리를 넣어 만든 국.
25. 귀비탕 (歸脾湯) [귀:비탕]
한자: 歸(돌아갈 귀:), 脾(지라 비(:)), 湯(끓을 탕:)
정신을 안정시키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하는 보약. 신경 쇠약, 불면증, 건망증, 유정(遺精) 따위의 치료에 쓴다.
26. 귀용탕 (歸茸湯) [귀:용탕]
한자: 歸(돌아갈 귀:), 茸(풀날 용:), 湯(끓을 탕:)
당귀(當歸)와 녹용(鹿茸)을 넣어서 달여 만든 탕약. 보혈제 및 강심제로 쓴다.
27. 급살탕 (急煞湯) [급쌀탕]
한자: 急(급할 급), 煞(죽일 살), 湯(끓을 탕:)
갑자기 닥치는 재난이나 재앙.
28. 급탕 (給湯) [급탕]
한자: 給(줄 급), 湯(끓을 탕:)
뜨거운 물을 공급함.
용례:
- 급탕 시설.
- 급탕 장치.
29. 꺽지탕 (꺽지湯) [꺽찌탕]
한자: 湯(끓을 탕:)
꺽지를 넣고 끓인 탕국.
30. 꼬리곰탕 (꼬리곰湯) [꼬리곰탕]
한자: 湯(끓을 탕:)
소의 꼬리를 토막 내어 물에 넣고 곤 음식.
31. 남탕 (男湯) [남탕]
한자: 男(사내 남), 湯(끓을 탕:)
대중목욕탕에서, 남자만 사용하게 되어 있는 목욕탕.
용례:
남자아이가 아버지를 따라서 남탕에 들어왔다.
32. 내장탕 (內臟湯) [내:장탕]
한자: 內(안 내:), 臟(오장 장:), 湯(끓을 탕:)
소, 닭, 생선 따위의 내장을 넣어 끓인 국.
33. 내탕 (內湯) [내:탕]
한자: 內(안 내:), 湯(끓을 탕:)
방 안에 설치한 작은 목욕탕.
용례:
내탕을 갖춘 여관.
34. 내포탕 (內包湯) [내:포탕]
한자: 內(안 내:), 包(쌀[裹] 포(:)), 湯(끓을 탕:)
짐승의 내장을 넣고 끓인 국.
35. 냉탕 (冷湯) [냉:탕]
한자: 冷(찰 랭:), 湯(끓을 탕:)
찬물이 들어 있는 탕.
용례:
- 사우나에서 땀을 흠뻑 흘리고 냉탕에 들어가면 개운하다.
- 냉탕과 온탕을 번갈아 들어가면 피부에 탄력이 생기는 것 같다.
36. 노천탕 (露天湯) [노천탕]
한자: 露(이슬 로(:)), 天(하늘 천), 湯(끓을 탕:)
건물 안이 아닌 노천에 만들어 놓은 탕.
용례:
노천탕에서 찬 바람을 맞으며 목욕을 즐겼다.
37. 녹탕 (鹿湯) [녹탕]
한자: 鹿(사슴 록), 湯(끓을 탕:)
사슴 고기를 넣어 끓인 국.
38. 농탕 (濃湯) [농탕]
한자: 濃(짙을 농:), 湯(끓을 탕:)
국거리가 흐무러지도록 진하게 푹 끓인 국.
39. 다탕 (茶湯) [다탕]
한자: 茶(차 다), 湯(끓을 탕:)
「1」뜨거운 차.
「2」차, 과자, 과일 따위의 간단한 음식.
용례:
「1」제물로는 과일, 떡, 다탕, 술을 벌여 놓고 향을 피우며 백 번 절하였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40. 닭곰탕 (닭곰湯) [닥꼼탕]
한자: 湯(끓을 탕:)
닭을 오래 끓여서 진하게 국물을 우려낸 음식.
41. 닭볶음탕 (닭볶음湯) [닥뽀끔탕]
한자: 湯(끓을 탕:)
닭고기를 토막 쳐서 양념과 물을 넣고 끓인 음식. 경우에 따라 토막 친 닭고기에 갖은양념과 채소를 넣고 먼저 볶다가 물을 넣고 끓이기도 한다.
용례:
- 나는 닭볶음탕에 들어간 감자가 그렇게 맛있더라.
- 닭집 사장님께 닭볶음탕을 해 먹게 닭을 토막 내 달라고 했다.
42. 담염탕 (淡鹽湯) [다:몀탕]
한자: 淡(맑을 담), 鹽(소금 염), 湯(끓을 탕:)
소금을 조금 풀어서 데운 물.
43. 대구탕 (大口湯) [대구탕]
한자: 大(큰 대(:)), 口(입 구(:)), 湯(끓을 탕:)
대구를 넣고 끓인 국.
44. 대구탕 (大邱湯) [대구탕]
한자: 大(큰 대(:)), 邱(언덕 구), 湯(끓을 탕:)
대구식(大邱式)으로 끓인 장국밥. 주로 곱창, 곤자소니, 양 따위를 푹 고아 고운 고춧가루를 많이 쳐서 맵게 만든다.
45. 대보탕 (大補湯) [대:보탕]
한자: 大(큰 대(:)), 補(기울 보:), 湯(끓을 탕:)
한약 처방의 하나. 팔물탕(八物湯)에 황기(黃芪)와 육계(肉桂)를 더하여 만드는 탕약으로, 원기를 돕는 데 쓴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湯 끓을 탕: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湯 끓을 탕: - 3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湯 끓을 탕: - 4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湯 끓을 탕: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