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겁탁 (劫濁) [겁탁]
한자: 劫(위협할 겁), 濁(흐릴 탁)
오탁(五濁)의 하나. 기근, 질병, 전쟁 따위의 여러 가지 재앙이 일어남을 이른다.
2. 견탁 (見濁) [견:탁]
한자: 見(볼 견:), 濁(흐릴 탁)
오탁(五濁)의 하나. 사악한 사상과 견해가 무성하게 일어나 더러움이 넘쳐흐름을 이른다.
3. 구탁 (垢濁) [구탁]
한자: 垢(때 구), 濁(흐릴 탁)
‘구탁하다’
(때가 묻어 더럽다.)의 어근.
4. 농탁 (農濁) [농탁]
한자: 農(농사 농), 濁(흐릴 탁)
농가에서 농사일 할 때 쓰려고 빚은 막걸리.
5. 농탁 (濃濁) [농탁]
한자: 濃(짙을 농:), 濁(흐릴 탁)
‘농탁하다’
(액체 따위가 진하고 걸쭉하다.)의 어근.
6. 둔탁 (鈍濁) [둔:탁]
한자: 鈍(둔할 둔:), 濁(흐릴 탁)
‘둔탁하다’
(「1」성질이 굼뜨고 흐리터분하다.
「2」소리가 굵고 거칠며 깊다.
「3」생김새가 거칠고 투박하다.)의 어근.
7. 맥탁 (麥濁) [맥탁]
한자: 麥(보리 맥), 濁(흐릴 탁)
보리쌀로 빚어 담근 막걸리.
8. 명탁 (命濁) [명:탁]
한자: 命(목숨 명:), 濁(흐릴 탁)
오탁(五濁)의 하나. 악한 세상에서 악업이 늘어나 8만 세이던 사람의 목숨이 점점 짧아져 백 년을 채우기 어렵게 됨을 이른다.
9. 명탁 (明濁) [명탁]
한자: 明(밝을 명), 濁(흐릴 탁)
맑게 거른 막걸리.
10. 모탁 (冒濁) [모:탁]
한자: 冒(무릅쓸 모), 濁(흐릴 탁)
‘모탁하다’
(마음이 욕심으로 가려져 흐리다.)의 어근.
11. 백탁 (白濁) [백탁]
한자: 白(흰 백), 濁(흐릴 탁)
소변이 뿌옇고 걸쭉함. 또는 그런 병.
12. 번뇌탁 (煩惱濁) [번뇌탁]
한자: 煩(번거로울 번), 惱(번뇌할 뇌), 濁(흐릴 탁)
오탁(五濁)의 하나. 애욕(愛慾)을 탐하여 마음을 괴롭히고 여러 가지 죄를 범하게 됨을 이른다.
13. 변탁 (便濁) [변탁]
한자: 便(똥오줌 변), 濁(흐릴 탁)
비뇨 기관 계통의 염증, 결핵, 종양 때문에 소변이 흐린 병. 쌀 씻은 물처럼 뿌옇게 흐린 것은 백탁, 색이 벌건 것은 적탁이라고 한다.
14. 연탁 (連濁) [연탁]
한자: 連(이을 련), 濁(흐릴 탁)
일본어에서 두 개의 말을 결합할 때, 밑에 오는 언어의 청음이 탁음으로 변하는 일.
15. 예탁 (穢濁) [예:탁]
한자: 穢(더러울 예:), 濁(흐릴 탁)
‘예탁하다’
(더럽고 흐리다.)의 어근.
16. 오탁 (五濁) [오:탁]
한자: 五(다섯 오:), 濁(흐릴 탁)
세상의 다섯 가지 더러움. 명탁(命濁), 중생탁(衆生濁), 번뇌탁(煩惱濁), 견탁(見濁), 겁탁(劫濁)을 이른다.
17. 오탁 (汚濁) [오:탁]
한자: 汚(더러울 오:), 濁(흐릴 탁)
더럽고 흐림.
용례:
오늘날까지 세상의 오탁에 아주는 물들지 아니하고 아직 더럽히지 아니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은….≪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18. 요탁 (尿濁) [요탁]
한자: 尿(오줌 뇨), 濁(흐릴 탁)
비뇨 기관 계통의 염증, 결핵, 종양 때문에 소변이 흐린 병. 쌀 씻은 물처럼 뿌옇게 흐린 것은 백탁, 색이 벌건 것은 적탁이라고 한다.
19. 적탁 (赤濁) [적탁]
한자: 赤(붉을 적), 濁(흐릴 탁)
소변이 벌겋고 걸쭉함. 또는 그런 병.
20. 전탁 (全濁) [전탁]
한자: 全(온전 전), 濁(흐릴 탁)
「1」훈민정음의 초성 체계 가운데 ‘ㄲ’, ‘ㄸ’, ‘ㅃ’, ‘ㅆ’, ‘ㅉ’, ‘ㆅ’ 따위에 공통되는 음성적 특질을 이르는 말. 훈민정음의 17초성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동국정운의 23자모에는
포함된다.
「2」중국 성운학에서 성모를 분류할 때에 비음(鼻音)을 제외한 유성 자음을 이르는 말.
21. 중생탁 (衆生濁) [중:생탁]
한자: 衆(무리 중:), 生(날 생), 濁(흐릴 탁)
오탁(五濁)의 하나. 견탁(見濁)과 번뇌탁의 결과로 인간의 과보(果報)가 점점 쇠퇴하고 힘은 약해지며 괴로움과 질병은 많고 복은 적어짐을 이른다.
22. 중탁 (重濁) [중:탁]
한자: 重(무거울 중:), 濁(흐릴 탁)
‘중탁하다’
(「1」탕약이나 국물이 있는 음식 따위가 걸쭉하고 뻑뻑하다.
「2」분위기가 무겁고 탁하다.)의 어근.
23. 차탁 (次濁) [차탁]
한자: 次(버금 차), 濁(흐릴 탁)
중국 음운학에서, 음의 청탁을 구분한 청(淸), 차청(次淸), 탁(濁), 청탁(淸濁) 가운데 ‘청탁’을 달리 이르는 말. 불청불탁(不淸不濁), 반청반탁(半淸半濁) 따위의 용어로도 썼으며, 현대 용어에는 비음, 유음, 유성 마찰음 따위가 있다.
24. 청탁 (淸濁) [청탁]
한자: 淸(맑을 청), 濁(흐릴 탁)
「1」맑음과 흐림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옳고 그름 또는 착함과 악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청주와 탁주를 아울러 이르는 말.
「4」청음과 탁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2」청탁을 가리다.
- 「2」청탁을 분별하여 일을 처리하다.
- 「2」그는 돈이 되는 일이라면 청탁을 불문하고 맡아서 한다.
- 「2」웬만한 바람이 불어서는 끄떡도 하지 않는 품이, 쓴맛 단맛 다 보고 청탁을 가리지 않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거룩한 성자의 모습이다.≪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 「3」우리 같은 주객(酒客)은 본래 청탁을 가리지 않는 법이오.
25. 촌탁 (村濁) [촌:탁]
한자: 村(마을 촌:), 濁(흐릴 탁)
시골에서 만든 막걸리.
26. 탁중탁 (濁中濁) [탁쭝탁]
한자: 濁(흐릴 탁), 中(가운데 중), 濁(흐릴 탁)
탁성보다 한 옥타브 낮은 소리.
27. 혼탁 (混濁) [혼:탁]
한자: 混(섞을 혼:), 濁(흐릴 탁)
「1」불순물이 섞이어 깨끗하지 못하고 흐림.
「2」정치, 도덕 따위 사회적 현상이 어지럽고 깨끗하지 못함.
용례:
- 「1」매연으로 공기의 혼탁이 심하다.
- 「1」강물의 혼탁을 막기 위하여 하수 처리 시설을 정비하였다.
- 「2」선거 운동 기간이 시작되기도 전에 선거 운동은 혼탁 양상을 보이고 있다.
28. 황탁 (黃濁) [황탁]
한자: 黃(누를 황), 濁(흐릴 탁)
누렇게 흐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