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濯 씻을 탁

1. 건식세탁 (乾式洗濯) [건식쎄:탁]

한자: 乾(하늘/마를 건), 式(법 식), 洗(씻을 세:), 濯(씻을 탁)

물 대신 유기 용제(有機溶劑)로 때를 빼는 세탁 방법. 물세탁을 할 수 없는 모직물, 실크 따위의 세탁에 쓴다.(건조세탁)

2. 돈세탁 (돈洗濯) [돈:세탁]

한자: 洗(씻을 세:), 濯(씻을 탁)

기업의 비자금이나 범죄, 탈세, 뇌물 따위와 관련된 정당하지 못한 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당한 돈처럼 탈바꿈하여 자금 출처의 추적을 어렵게 하는 일.

용례:

기업의 비자금은 돈세탁을 거쳐 정치 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

3. 동탁 (童濯) [동:탁]

한자: 童(아이 동(:)), 濯(씻을 탁)

‘동탁하다’
(「1」산에 나무나 풀이 없다.
「2」씻은 듯이 깨끗하다.)의 어근.

4. 물세탁 (물洗濯) [물세탁]

한자: 洗(씻을 세:), 濯(씻을 탁)

기계나 약품 따위를 쓰지 않고 물로 빨래를 함.

5. 세탁 (洗濯) [세:탁]

한자: 洗(씻을 세:), 濯(씻을 탁)

「1」주로 기계를 이용하여 더러운 옷이나 피륙 따위를 빠는 일.
「2」자금, 경력 따위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탈바꿈하는 일.

용례:

  • 「1」세탁 과정.
  • 「1」그 세탁소에서는 세탁 뒤 다림질까지 반듯하게 해 준다.
  • 「1」세탁 후 옷감이 줄어들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 「1」이런 옷은 매일 세탁을 해야 한다.
  • 「2」국적 세탁.
  • 「2」자금 세탁.

6. 손세탁 (손洗濯) [손세탁]

한자: 洗(씻을 세:), 濯(씻을 탁)

세탁기를 쓰지 아니하고 손으로 직접 하는 빨래.

7. 조탁 (澡濯) [조탁]

한자: 澡(씻을 조), 濯(씻을 탁)

씻어서 깨끗이 함.

8. 한탁 (澣濯) [한:탁]

한자: 澣(빨래할/열흘 한), 濯(씻을 탁)

때 묻은 옷을 빪.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