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우주 (大宇宙) [대:우주]
한자: 大(큰 대(:)), 宇(집 우:), 宙(집 주:)
실제의 우주를 소우주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 등방우주 (等方宇宙) [등:방우:주]
한자: 等(무리 등:), 方(모[棱] 방), 宇(집 우:), 宙(집 주:)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똑같은 성질을 가지는 가설적 우주.
3. 반대우주 (反對宇宙) [반:대우:주]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對(대할 대:), 宇(집 우:), 宙(집 주:)
기본적으로 반대 입자로 구성되어 모든 점에서 우리의 우주와 대칭적으로 되어 있다고 상정한 우주. 입자와 반대 입자가 충돌하면 순간적으로 온 질량은 소멸하여 에너지로 변한다.
4. 반우주 (反宇宙) [바:누주]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宇(집 우:), 宙(집 주:)
기본적으로 반대 입자로 구성되어 모든 점에서 우리의 우주와 대칭적으로 되어 있다고 상정한 우주. 입자와 반대 입자가 충돌하면 순간적으로 온 질량은 소멸하여 에너지로 변한다.
5. 소우주 (小宇宙) [소:우주]
한자: 小(작을 소:), 宇(집 우:), 宙(집 주:)
「1」타원이나 소용돌이 모양으로 우주에 점점이 있는 성운.
「2」우주의 한 부분이면서 마치 그것이 한 덩어리의 우주와도 같은 상(相)을 나타내는 것. 특히 인간 또는 인간의 정신을 이른다.
6. 심연우주 (深淵宇宙) [시면우:주]
한자: 深(깊을 심), 淵(못 연), 宇(집 우:), 宙(집 주:)
지구 중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우주 공간.
7. 우주 (宇宙) [우:주]
한자: 宇(집 우:), 宙(집 주:)
「1」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
「2」물질과 복사가 존재하는 모든 공간.
「3」모든 천체(天體)를 포함하는 공간.
용례:
- 「1」우주 만물.
- 「1」우주에 가득 차다.
- 「1」대의를 우주에 밝혀서 천하의 충신 의사로 하여금 나의 고충을 알리려 함이었던 것이다.≪박종화, 임진왜란≫
- 「3」광활한 우주.
- 「3」우주를 왕복하다.
- 「3」우주에 관하여 연구하다.
8. 원시우주 (原始宇宙) [원시우:주]
한자: 原(언덕 원), 始(비로소 시:), 宇(집 우:), 宙(집 주:)
우주 탄생에서 은하 따위의 천체가 형성되기 이전까지의 초기 우주. 우주 팽창설에 의한 가상적인 우주 모형으로 고온·고밀도의 상태이며 항성이나 성운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9. 정적우주 (靜的宇宙) [정쩍우:주]
한자: 靜(고요할 정), 的(과녁 적), 宇(집 우:), 宙(집 주:)
시간적으로 밀도가 일정하여 본질적으로 모습을 바꾸지 아니하는 우주. 현대 천문학에 의한 우주의 가정으로, 아인슈타인과 시터(Sitter, W.)의 설이 유명하다.
10. 정지우주 (靜止宇宙) [정지우:주]
한자: 靜(고요할 정), 止(그칠 지), 宇(집 우:), 宙(집 주:)
우주는 팽창하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로 정지하여 있다고 보는 가설.
11. 진화우주 (進化宇宙) [진:화우:주]
한자: 進(나아갈 진:), 化(될 화(:)), 宇(집 우:), 宙(집 주:)
우주가 빅뱅에서 시작하여 정지하여 있지 아니하고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는 우주론. 먼 은하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적색 이동에 입각한 주장으로, 먼 외부 은하들은 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있다는 관측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12. 초우주 (超宇宙) [초우주]
한자: 超(뛰어넘을 초), 宇(집 우:), 宙(집 주:)
존재가 확인된 모든 은하계의 성운들이 이루는 우주.
13. 팽창우주 (膨脹宇宙) [팽창우:주]
한자: 膨(불을 팽), 脹(부을 창:), 宇(집 우:), 宙(집 주:)
우주가 빅뱅에서 시작하여 정지하여 있지 아니하고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는 우주론. 먼 은하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적색 이동에 입각한 주장으로, 먼 외부 은하들은 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있다는 관측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