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住 살 주:

1. 거주 (居住) [거주]

한자: 居(살 거), 住(살 주:)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삶. 또는 그런 집.

용례:

  • 거주 구역.
  • 거주 지역.
  • 거주 기간.
  • 거주 불명.
  • 국내 거주 외국인.

2. 계약이주 (契約移住) [계:야기주]

한자: 契(맺을 계:), 約(맺을 약), 移(옮길 이), 住(살 주:)

정부나 회사가 외국의 정부나 고용주와 계약을 체결하고 노동자를 모집하여 일정 기간 동안만 외국으로 보내서 일하게 하는 이민.

3. 계절이주 (季節移住) [계:저리주]

한자: 季(계절 계:), 節(마디 절), 移(옮길 이), 住(살 주:)

동물이 계절에 따라 살기 좋은 환경으로 이동하는 일. 철새의 이동 따위가 있다.

4. 구주 (久住) [구:주]

한자: 久(오랠 구:), 住(살 주:)

오래 머물러 삶.

5. 근주 (近住) [근:주]

한자: 近(가까울 근:), 住(살 주:)

재가(在家)의 남녀로 하룻낮 하룻밤 동안 팔계(八戒)를 지니고 삼보(三寶)에 가까이함. 또는 그런 사람.

6. 기주 (寄住) [기주]

한자: 寄(부칠 기), 住(살 주:)

임시로 남의 집에 몸을 의지하고 지냄.

7. 내주 (內住) [내:주]

한자: 內(안 내:), 住(살 주:)

안에 삶.

8. 내주 (來住) [내:주]

한자: 來(올 래(:)), 住(살 주:)

옮겨 와서 삶.

용례:

조정에서는 몇몇 왜인의 내주를 허용했다.

9. 늑주 (勒住) [늑쭈]

한자: 勒(굴레 륵), 住(살 주:)

억지로 머무르거나 살게 함.

10. 동주 (同住) [동주]

한자: 同(한가지 동), 住(살 주:)

같은 곳에 함께 삶.

11. 등주 (燈住) [등주]

한자: 燈(등 등), 住(살 주:)

기둥 꼭대기에 등을 달아 놓은 야간 항로 표지.

12. 만주 (挽住) [만주]

한자: 挽(당길 만:), 住(살 주:)

붙들고 못 하게 말림.

13. 상주 (常住) [상주]

한자: 常(떳떳할 상), 住(살 주:)

「1」늘 일정하게 살고 있음.
「2」생멸의 변화가 없이 늘 그대로 있음.
「3」절에 속하는 토지와 기물(器物) 따위의 재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14. 선주 (先住) [선주]

한자: 先(먼저 선), 住(살 주:)

이전부터 살고 있음.

용례:

  • 선주 민족.
  • 선주 집단.

15. 안주 (安住) [안주]

한자: 安(편안 안), 住(살 주:)

「1」한곳에 자리를 잡고 편안히 삶.
「2」현재의 상황이나 처지에 만족함.

용례:

「1」농촌에서의 안주를 꿈꾸다.

16. 암주 (庵住) [암주]

한자: 庵(암자 암), 住(살 주:)

암자나 초막에서 삶. 또는 그렇게 사는 사람.

17. 염주 (念住) [염:주]

한자: 念(생각 념:), 住(살 주:)

어떤 사물을 살펴 그 참모습을 깨닫는 경지.

18. 영내거주 (營內居住) [영내거주]

한자: 營(경영할 영), 內(안 내:), 居(살 거), 住(살 주:)

군인이 업무 이외의 일상생활을 병영 안에서 하는 것. 주로 부사관 이상의 군인이 이에 해당한다.

19. 영외거주 (營外居住) [영외거주]

한자: 營(경영할 영), 外(바깥 외:), 居(살 거), 住(살 주:)

군인이 업무 이외의 일상생활을 병영 밖에서 하는 것. 주로 부사관 이상의 군인에게만 허가한다.

20. 영주 (永住) [영:주]

한자: 永(길 영:), 住(살 주:)

한곳에 오래 삶.

용례:

  • 그는 오랜 나그넷길 끝에 영주의 땅을 발견하게 되었다.
  • 앞으로 이곳을 아주 여생을 마칠 영주의 땅으로 삼으라는 권고를 받기도 한다.≪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21. 원주 (原住) [원주]

한자: 原(언덕 원), 住(살 주:)

「1」어떤 곳에 본디부터 살고 있음.
「2」본디 살던 곳의 주소.

22. 유주 (留住) [유주]

한자: 留(머무를 류), 住(살 주:)

머물러 삶.

23. 의식주 (衣食住) [의식쭈]

한자: 衣(옷 의), 食(밥/먹을 식), 住(살 주:)

옷과 음식과 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인간 생활의 세 가지 기본 요소이다.

용례:

  •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다.
  • 우리 식구 의식주 걱정은 없다.
  • 거지가 없는 데다가 초가집이 없다는 것은 국민 전체의 의식주가 그만큼 윤택하다는 증거일 것이고….≪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24. 이주 (移住) [이주]

한자: 移(옮길 이), 住(살 주:)

「1」본래 살던 집에서 다른 집으로 거처를 옮김.
「2」개인이나 종족, 민족 따위의 집단이 본래 살던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함.
「3」외계의 상황에 적응하기 위하여 이제껏 살던 곳과 같은 자연적인 환경을 찾아서 옮겨 사는 일. 제비·기러기 따위가 철을 따라 사는 곳을 바꾸는 것과 같은 것을 이른다.

용례:

「2」여러 민족의 이주나 정복은 문화의 교류를 촉진하였다.

25. 입주 (入住) [입쭈]

한자: 入(들 입), 住(살 주:)

「1」새집에 들어가 삶.
「2」새로 개간한 땅이나 수복(收復)한 땅에 들어가 삶.

용례:

  • 「1」입주 시기.
  • 「1」아파트 입주 신청.
  • 「2」지도에도 등재 안 된 촌이 자기네들의 입주로 크게 발전을 했는데 그까짓 자질구레한 피해가 대수롭냐는 거지.≪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26. 재주 (在住) [재:주]

한자: 在(있을 재:), 住(살 주:)

그곳에 머물러 삶.

27. 적주 (賊住) [적쭈]

한자: 賊(도둑 적), 住(살 주:)

「1」도적의 마음으로 머문다는 뜻으로, 불도(佛道) 본래의 목적과는 다른 목적으로 출가하여 승려와 함께 있는 일. 이득을 얻기 위해서나 생활의 방편을 마련하기 위해서, 또는 교(敎)를 도둑질하기 위해서 머문다.
「2」아직 구족계(具足戒)를 받지 못한 사람이 비구의 무리 가운데 있으면서 승려의 일을 함께 하는 일.

28. 전주 (前住) [전주]

한자: 前(앞 전), 住(살 주:)

이전의 주지.

29. 전주 (轉住) [전:주]

한자: 轉(구를 전:), 住(살 주:)

살던 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옮겨 삶.

30. 정주 (定住) [정:주]

한자: 定(정할 정:), 住(살 주:)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삶.

31. 정주 (停住) [정주]

한자: 停(머무를 정), 住(살 주:)

어떤 장소에 머무름.

32. 지주 (止住) [지주]

한자: 止(그칠 지), 住(살 주:)

머물러 삶.

33. 추주 (楸住) [추주]

한자: 楸(가래 추), 住(살 주:)

붙들어서 머무르게 함.

34. 특수이주 (特殊移住) [특쑤이주]

한자: 特(특별할 특), 殊(다를 수), 移(옮길 이), 住(살 주:)

외국의 초청에 의하여 그 나라에 3년 이상 거주하게 되는 이주, 입양이나 결혼으로 인한 이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35. 파주 (把住) [파주]

한자: 把(잡을 파:), 住(살 주:)

「1」마음속에 잘 간직함.
「2」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작용.

36. 현주 (現住) [현:주]

한자: 現(나타날 현:), 住(살 주:)

「1」현재 머물러 삶.
「2」현재 살고 있는 곳의 주소.

용례:

「2」피고의 원적, 현주, 성명, 직업, 전과 유무를 물은 다음 곧 사실 심리에 들어가서….≪현진건, 적도≫

37. 환주 (還住) [환주]

한자: 還(돌아올 환), 住(살 주:)

되돌아가거나 되돌아와서 삶.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