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謹 삼갈 근:

1. 근각하다 (謹慤하다) [근:가카다]

한자: 謹(삼갈 근:), 慤(정성/삼갈 각)

신중하고 성실하다.

2. 근계 (謹啓) [근:계]

한자: 謹(삼갈 근:), 啓(열 계:)

삼가 아뢴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글 첫머리에 쓰는 말.

3. 근계자 (謹啓者) [근:계자]

한자: 謹(삼갈 근:), 啓(열 계:), 者(놈 자)

삼가 말씀드리는 것이라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글 첫머리에 쓰는 말.

4. 근고 (謹告) [근:고]

한자: 謹(삼갈 근:), 告(고할 고:)

삼가 아룀.

5. 근고하다 (謹告하다) [근:고하다]

한자: 謹(삼갈 근:), 告(고할 고:)

삼가 아뢰다.

용례:

김 선생을 만나서 빨리 거취의 각오를 결정하시도록 근고해 보았습니다.

6. 근독하다 (謹篤하다) [근:도카다]

한자: 謹(삼갈 근:), 篤(도타울 독)

조심성이 있고 독실하다.

7. 근밀하다 (謹密하다) [근:밀하다]

한자: 謹(삼갈 근:), 密(빽빽할 밀)

조심성 있고 치밀하다.

용례:

경호를 근밀하게 하기 위해 경비 인력을 늘렸다.

8. 근배 (謹拜) [근:배]

한자: 謹(삼갈 근:), 拜(절 배:)

삼가 절함이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 끝의 자기 이름 아래에 쓰는 말.

9. 근백 (謹白) [근:백]

한자: 謹(삼갈 근:), 白(흰 백)

삼가 아룀이라는 뜻으로, 편지 끝의 자기 이름 아래에 쓰는 말.

용례:

사립 광명학교 직원 일동 근백.≪이기영, 봄≫

10. 근백배 (謹百拜) [근:백빼]

한자: 謹(삼갈 근:), 百(일백 백), 拜(절 배:)

삼가 여러 번 절함.

11. 근봉 (謹封) [근:봉]

한자: 謹(삼갈 근:), 封(봉할 봉)

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편지 겉봉의 봉한 자리에 쓰는 말.

용례:

상 위에 놓인 사주보는 네 귀퉁이에 금전지를 달고, 간지에 근봉이라 쓰인 띠를 두르고 있었다.≪최명희, 혼불≫

12. 근상 (謹上) [근:상]

한자: 謹(삼갈 근:), 上(윗 상:)

삼가 올림이라는 뜻으로, 편지 끝의 자기 이름의 아래에 쓰는 말.

13. 근선 (謹選) [근:선]

한자: 謹(삼갈 근:), 選(가릴 선:)

조심하여 선택함.

14. 근세하다 (謹細하다) [근:세하다]

한자: 謹(삼갈 근:), 細(가늘 세:)

조심성 있고 세밀하다.

15. 근수 (謹守) [근:수]

한자: 謹(삼갈 근:), 守(지킬 수)

삼가 지킴.

16. 근숙 (謹肅) [근:숙]

한자: 謹(삼갈 근:), 肅(엄숙할 숙)

「1」삼가 공경함.
「2」삼가 조심함.

17. 근순 (謹詢) [근:순]

한자: 謹(삼갈 근:), 詢(물을 순)

삼가 물음.

18. 근신 (謹愼) [근:신]

한자: 謹(삼갈 근:), 愼(삼갈 신:)

「1」말이나 행동을 삼가고 조심함.
「2」벌로 일정 기간 동안 출근이나 등교, 집무 따위의 활동을 하지 아니하고 말이나 행동을 삼감.

용례:

  • 「1」근신과 보신(保身).
  • 「1」그는 상중이라서 근신 생활을 했다.
  • 「2」근신 처분을 받다.
  • 「2」그 학생은 근신 기간 중 또 물의를 일으켜 정학 처분을 받았다.

19. 근신 (謹身) [근:신]

한자: 謹(삼갈 근:), 身(몸 신)

몸가짐이나 행동을 삼감.

20. 근신하다 (謹愼하다) [근:신하다]

한자: 謹(삼갈 근:), 愼(삼갈 신:)

「1」말이나 행동을 삼가고 조심하다.
「2」벌로 일정 기간 동안 출근이나 등교, 집무 따위의 활동을 하지 아니하고 말이나 행동을 삼가다.

용례:

  • 「1」그는 제삿날이면 목욕을 하고 고기, 술, 외출 등을 삼가고 집에서 조용히 근신하였다.
  • 「1」필시 고생하라고 귀양 보낸 적객들이 도무지 근신하는 태도는 보이지 않고 기첩을 꿰차고 호강하는 꼴에 영 배알이 뒤틀렸던 모양이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2」불량 학생인 그 집 아이에게 학교에서 1주일간 집에서 근신하라는 통보를 했다.

21. 근실 (謹悉) [근:실]

한자: 謹(삼갈 근:), 悉(다 실)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사정이나 형편·의견·소식 따위를 삼가 앎이라는 뜻으로 쓰는 말.

22. 근심 (謹審) [근:심]

한자: 謹(삼갈 근:), 審(살필 심(:))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사정이나 형편·의견 따위를 삼가 살핌이라는 뜻으로 쓰는 말.

23. 근언 (謹言) [그:넌]

한자: 謹(삼갈 근:), 言(말씀 언)

삼가 말씀을 드린다는 뜻으로, 편지 끝의 자기 이름 아래에 쓰는 말.

24. 근엄하다 (謹嚴하다) [그:넘하다]

한자: 謹(삼갈 근:), 嚴(엄할 엄)

점잖고 엄숙하다.

용례:

  • 근엄한 표정으로 말하다.
  • 근엄하게 꾸짖다.

25. 근엄히 (謹嚴히) [그:넘히]

한자: 謹(삼갈 근:), 嚴(엄할 엄)

점잖고 엄숙한 태도로.

용례:

  • 근엄히 앉다.
  • 그 사람은 아주 근엄히 아들에게 훈계하였다.

26. 근임랑 (謹任郞) [그:님낭]

한자: 謹(삼갈 근:), 任(맡길 임(:)), 郞(사내 랑)

조선 시대에 둔, 종육품 상(上)의 문관 잡직.

27. 근정 (謹呈) [근:정]

한자: 謹(삼갈 근:), 呈(드릴 정)

물품이나 편지 따위를 삼가 드림.

용례:

기념품 근정.

28. 근정하다 (謹正하다) [근:정하다]

한자: 謹(삼갈 근:), 正(바를 정(:))

삼가며 침착하고 올바르다.

29. 근제 (謹製) [근:제]

한자: 謹(삼갈 근:), 製(지을 제:)

삼가 짓거나 만듦.

30. 근제품 (謹製品) [근:제품]

한자: 謹(삼갈 근:), 製(지을 제:), 品(물건 품:)

삼가 짓거나 만든 물품.

31. 근조 (謹弔) [근:조]

한자: 謹(삼갈 근:), 弔(조상할 조:)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냄.

32. 근조하다 (謹弔하다) [근:조하다]

한자: 謹(삼갈 근:), 弔(조상할 조:)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내다.

용례:

스승의 죽음을 근조하다.

33. 근주 (謹奏) [근:주]

한자: 謹(삼갈 근:), 奏(아뢸 주(:))

「1」삼가 임금에게 아룀.
「2」삼가 음악을 연주함.

34. 근직하다 (謹直하다) [근:지카다]

한자: 謹(삼갈 근:), 直(곧을 직)

사람됨이 신중하고 정직하다.

용례:

근직한 선비.

35. 근찬 (謹撰) [근:찬]

한자: 謹(삼갈 근:), 撰(지을 찬:)

책 따위를 삼가 지음.

36. 근청 (謹聽) [근:청]

한자: 謹(삼갈 근:), 聽(들을 청)

삼가 들음.

용례:

독창회에 방해가 될까 봐, 저 바위 그늘에서 입장권도 아니 사고 근청을 했지요.≪심훈, 상록수≫

37. 근청 (謹請) [근:청]

한자: 謹(삼갈 근:), 請(청할 청)

삼가 청함. 또는 그런 청.

38. 근청하다 (謹聽하다) [근:청하다]

한자: 謹(삼갈 근:), 聽(들을 청)

삼가 듣다.

용례:

어느덧 순점이와 경후는 고개를 숙이고 앉아서 윤수의 말을 근청하고 있었다.≪이기영, 신개지≫

39. 근칙 (謹勅) [근:칙]

한자: 謹(삼갈 근:), 勅(칙서 칙)

몸가짐을 삼가고 스스로 조심함.

40. 근칙 (謹飭) [근:칙]

한자: 謹(삼갈 근:), 飭(신칙할 칙)

몸가짐을 삼가고 스스로 조심함.

41. 근하 (謹賀) [근:하]

한자: 謹(삼갈 근:), 賀(하례할 하:)

삼가 축하함.

42. 근하신년 (謹賀新年) [근:하신년]

한자: 謹(삼갈 근:), 賀(하례할 하:), 新(새 신), 年(해 년)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43. 근함 (謹緘) [근:함]

한자: 謹(삼갈 근:), 緘(봉할 함)

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편지 겉봉의 봉한 자리에 쓰는 말.

44. 근화 (謹話) [근:화]

한자: 謹(삼갈 근:), 話(말씀 화)

삼가 말함. 또는 그런 말.

45. 근후 (謹厚) [근:후]

한자: 謹(삼갈 근:), 厚(두터울 후:)

‘근후하다’
(조심스럽고 중후하다.)의 어근.

용례:

술은 근후한 사람도 광증을 일으키게 한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