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 (旗) [기]
한자: 旗(기 기)
「1」헝겊이나 종이 따위에 글자나 그림, 색깔 따위를 넣어 어떤 뜻을 나타내거나 특정한 단체를 나타내는 데 쓰는 물건.
「2」몽고의 정치·군사 단위를 이르던 말.
용례:
- 「1」기를 앞세우고 행군하다.
- 「1」적진에 기를 꽂다.
- 「1」나흘도 못 가서 수도 서울에는 공산군의 붉은 기가 휘날리게 되었습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2. 기각 (旗脚) [기각]
한자: 旗(기 기), 脚(다리 각)
깃대의 반대쪽에 있는 기폭의 귀에 붙인 긴 오리.
3. 기간 (旗竿) [기간]
한자: 旗(기 기), 竿(낚싯대 간)
깃발을 달아매는 장대.
4. 기고 (旗鼓) [기고]
한자: 旗(기 기), 鼓(북 고)
「1」싸움터에서 쓰는 기와 북을 아울러 이르는 말. 군대를 지휘하고 명령하는 데 쓴다.
「2」병력(兵力)과 군세(軍勢)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싸움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기관 (旗官) [기관]
한자: 旗(기 기), 官(벼슬 관)
군대의 기를 들고 다니던 병졸.
6. 기국 (旗國) [기국]
한자: 旗(기 기), 國(나라 국)
배의 국적을 알리기 위하여 게양하는 국기가 나타내는 나라.
7. 기국법 (旗國法) [기국뻡]
한자: 旗(기 기), 國(나라 국), 法(법 법)
배에 게양한 기(旗)가 나타내는 국가의 법률. 배가 소속된 나라의 법률을 이르는 것으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준거법이 되는 경우가 많다.
8. 기꼭지 (旗꼭지) [기꼭찌]
한자: 旗(기 기)
깃대 꼭대기의 꾸밈새. 장목, 창인, 연봉 따위로 꾸민다.
9. 기대 (旗帶) [기대]
한자: 旗(기 기), 帶(띠 대(:))
중요한 기(旗)의 위에 달던 좁고 긴 띠.
10. 기두 (旗頭) [기두]
한자: 旗(기 기), 頭(머리 두)
「1」기의 꼭대기.
「2」기를 들고 신호하는 일을 맡은 사람.
11. 기드림 (旗드림) [기드림]
한자: 旗(기 기)
중요한 기(旗)의 위에 달던 좁고 긴 띠.
12. 기례 (旗禮) [기례]
한자: 旗(기 기), 禮(예도 례:)
기를 아래로 숙였다 올림으로써 하는 경례.
13. 기류 (旗旒) [기류]
한자: 旗(기 기), 旒(깃발 류)
중요한 기(旗)의 위에 달던 좁고 긴 띠.
14. 기류 (旗類) [기류]
한자: 旗(기 기), 類(무리 류(:))
깃발의 종류.
15. 기면 (旗面) [기면]
한자: 旗(기 기), 面(낯 면:)
깃대에 달린 천이나 종이로 된 부분.
16. 기문 (旗門) [기문]
한자: 旗(기 기), 門(문 문)
스키의 회전 경기에서, 코스를 설정하기 위하여 세운 기.
17. 기받이 (旗받이) [기바지]
한자: 旗(기 기)
농악대에서, 농기(農旗)를 드는 기수.
18. 기번 (旗幡) [기번]
한자: 旗(기 기), 幡(기 번)
위엄을 갖추려고 사용하는 갖가지 깃발.
19. 기복판 (旗腹板) [기복판]
한자: 旗(기 기), 腹(배 복), 板(널 판)
드림이 있는 기의 중심이 되는 기폭.
20. 기세배 (旗歲拜) [기세배]
한자: 旗(기 기), 歲(해 세:), 拜(절 배:)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호남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의 하나. 농촌 각 마을의 풍물패가 농기(農旗)를 앞세우고 정해 놓은 장소에 모여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형제의 서열을 정하고, 아우 되는 마을이 형 되는 마을의 농기(農旗)에 신년의 세배를 올린 뒤, 풍물을 연주하고 여러 가지 놀이를 한다.
21. 기수 (旗手) [기수]
한자: 旗(기 기), 手(손 수(:))
「1」행사 때 대열의 앞에 서서 기를 드는 일을 맡은 사람.
「2」기를 들고 신호하는 일을 맡은 사람.
「3」사회 활동에서 앞장서서 이끄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우리 선수단이 기수를 앞세우고 입장하였다.
- 「2」도로 공사 때에는 차량 운행을 통제할 기수가 필요하다.
- 「2」장군의 영을 받아 녹색 푸른 깃발이 기수의 손에서 펄럭거렸다.≪박종화, 임진왜란≫
- 「3」그는 우리나라 영화계를 이끌고 갈 차세대 기수로 주목받고 있다.
- 「3」어김없이 철두철미한 민족 해방의 전사이며 통일의 기수라고 믿었지.≪이문열, 영웅시대≫
22. 기신 (旗身) [기신]
한자: 旗(기 기), 身(몸 신)
깃대에 달린 천이나 종이로 된 부분.
23. 기신호 (旗信號) [기신호]
한자: 旗(기 기), 信(믿을 신:), 號(이름 호(:))
기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신호. 수기 신호, 군기 신호 따위가 있다.
24. 기싸움 (旗싸움) [기싸움]
한자: 旗(기 기)
민속놀이의 하나. 두레끼리 농기에 대한 ‘형’ 또는 ‘선생’ 다툼을 한다. 주로 여름에 풍물을 치며 들로 일하러 나갈 때 이웃 농기가 절을 안 하면 상대편 농기를 꺾거나 빼앗아 선후배를 가린다.
25. 기엽 (旗葉) [기엽]
한자: 旗(기 기), 葉(잎 엽)
깃대에 달린 천이나 종이로 된 부분.
용례:
깃대를 후임병에게 들리고, 그는 기엽을 곱게 접었다.
26. 기영 (旗影) [기영]
한자: 旗(기 기), 影(그림자 영:)
깃발의 모습. 또는 깃발의 그림자.
27. 기잡이 (旗잡이) [기자비]
한자: 旗(기 기)
행사 때 대열의 앞에 서서 기를 드는 일을 맡은 사람.
28. 기장 (旗章) [기장]
한자: 旗(기 기), 章(글 장)
국기, 군기, 교기 따위와 같이 특정한 단체나 개인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9. 기정 (旗亭) [기정]
한자: 旗(기 기), 亭(정자 정)
예전에, 술집이나 요릿집을 이르던 말. 문밖에 기를 세워 표를 한 데서 온 말이다.
30. 기졸 (旗卒) [기졸]
한자: 旗(기 기), 卒(마칠 졸)
기(旗)를 드는 병졸을 이르던 말.
31. 기체조 (旗體操) [기체조]
한자: 旗(기 기), 體(몸 체), 操(잡을 조(:))
양손에 작은 기(旗)를 들고 하는 체조.
32. 기치 (旗幟) [기치]
한자: 旗(기 기), 幟(기(旗) 치)
「1」예전에, 군대에서 쓰던 깃발.
「2」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내세우는 태도나 주장.
「3」기에 나타난 표지(標識).
용례:
- 「1」멀리서 보면 그야말로 오색 기치와 창검이 일월을 가리는 형국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2」개혁의 기치를 올리다.
- 「2」민주화의 기치를 내걸다.
- 「2」자주독립의 기치 아래 독립군이 조직되었다.
- 「2」북접은 바로 어제 청산(靑山)에 모여 손병희를 통령으로 뽑아 일제 봉기의 기치를 들었다고 하오!≪유현종, 들불≫
33. 기폭 (旗幅) [기폭]
한자: 旗(기 기), 幅(폭 폭)
「1」깃대에 달린 천이나 종이로 된 부분.
「2」깃발의 나비.
용례:
「2」경축일에는 깃봉과 기폭 사이를 떼지 않고 단다.
34. 기표 (旗標) [기표]
한자: 旗(기 기), 標(표할 표)
국기, 군기, 교기 따위와 같이 특정한 단체나 개인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35. 기하 (旗下) [기하]
한자: 旗(기 기), 下(아래 하:)
「1」깃발의 밑.
「2」장군의 지휘 아래. 또는 그 지휘 아래에 딸린 군사.
36. 기함 (旗艦) [기함]
한자: 旗(기 기), 艦(큰 배 함:)
함대의 군함 가운데 지휘관이 타고 있는 배. 대개 지휘관의 지위를 상징하는 기가 달려 있다.
37. 기행렬 (旗行列) [기행녈]
한자: 旗(기 기), 行(다닐 행(:)), 列(벌릴 렬)
환영하거나 축하할 때에 많은 사람이 기를 들고 열(列)을 지어 돌아다님. 또는 그런 대열.
38. 기호 (旗號) [기호]
한자: 旗(기 기), 號(이름 호(:))
「1」깃발로 하는 신호.
「2」깃발로 나타낸 부호나 휘장.
39. 깃대 (旗대) [기때]
한자: 旗(기 기)
깃발을 달아매는 장대.
용례:
- 깃대가 꺾이다.
- 깃대를 들다.
40. 깃대종 (旗대種) [기때종]
한자: 旗(기 기), 種(씨 종(:))
어느 지역의 대표가 되는 동식물의 종(種).
용례:
이 지역의 깃대종은 열목어이다.
41. 깃대춤 (旗대춤) [기때춤]
한자: 旗(기 기)
풍물놀이에서, 농기(農旗)를 들고 추는 춤.
42. 깃발 (旗발) [기빨]
한자: 旗(기 기)
「1」깃대에 달린 천이나 종이로 된 부분.
「2」깃대의 반대쪽에 있는 기폭의 귀에 붙인 긴 오리.
「3」어떤 사상, 목적 따위를 뚜렷하게 내세우는 태도나 주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깃발이 바람에 날리다.
- 「1」깃발이 펄럭이다.
- 「1」바람에 휘청거리는 장대에는 오색 깃발이 찢어져라고 펄럭거리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3」척양 척왜의 깃발을 내세우다.
- 「3」우리는 팔도 백성들의 비원을 저렇게 깃발로 내걸었습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 「3」원래 저들과 우리는 똑같은 이상의 깃발 아래 출발했다.≪이문열, 영웅시대≫
43. 깃봉 (旗봉) [기뽕]
한자: 旗(기 기)
깃대 끝에 만든 꽃봉오리 모양의 꾸밈새. 일반적으로 연꽃 봉오리, 무궁화 봉오리 모양 따위가 쓰이며, 태극기에는 아랫부분에 꽃받침 다섯 편이 있는 둥근 무궁화 봉오리 모양을 쓴다.
관련 글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