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귀 (鬼) [귀:]
한자: 鬼(귀신 귀:)
「1」이십팔수의 스물셋째 별자리의 별들. 대한(大寒) 때 해가 뜨고 질 무렵에 천구(天球)의 정남쪽에 나타난다.
「2」이십팔수의 스물셋째 별자리.
2. 귀곡 (鬼哭) [귀:곡]
한자: 鬼(귀신 귀:), 哭(울 곡)
사람의 죽은 넋이 밤에 우는 울음.
용례:
웅성거리는 소리들이 머금은 불길함의 검은 어깨 너머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강호는 찬규의 흐느낌이 귀곡으로 울리는 것을 들었던 것이다.≪최명희, 혼불≫
3. 귀곡 (鬼谷) [귀:곡]
한자: 鬼(귀신 귀:), 谷(골 곡)
귀신이 나온다는 골짜기.
용례:
귀곡에 은거하다.
4. 귀곡새 (鬼哭새) [귀:곡쌔]
한자: 鬼(귀신 귀:), 哭(울 곡)
음침한 날 밤에 구슬프게 울고 다니는 부엉이.(귀곡조)
용례:
살아서 맵도록 열렬한 넋이 죽어서 어찌 귀곡새가 되어 추추히 울까 보냐.≪박종화, 임진왜란≫
5. 귀곡성 (鬼哭聲) [귀:곡썽]
한자: 鬼(귀신 귀:), 哭(울 곡), 聲(소리 성)
「1」귀신의 울음소리.
「2」귀곡새의 울음소리.
용례:
「1」어금니를 깨물고 아무리 참으려도, 귀곡성과 같은 울음이 전신을 흔들리게 함을 걷잡을 수가 없었다.≪김춘복, 쌈짓골≫
6. 귀공 (鬼工) [귀:공]
한자: 鬼(귀신 귀:), 工(장인 공)
세상에 보기 드문 뛰어난 솜씨.
7. 귀관 (鬼關) [귀:관]
한자: 鬼(귀신 귀:), 關(관계할 관)
저승으로 들어가는 문.
8. 귀기 (鬼氣) [귀:기]
한자: 鬼(귀신 귀:), 氣(기운 기)
「1」귀신이 나타날 것 같은 무시무시한 기운.
「2」귀신이 붙은 기색.
용례:
- 「1」귀기가 감도는 집.
- 「1」관덕정 마당 곳곳에 벌겋게 타오르는 화톳불 불기운이 구름까지 넓게 번져 등골이 오싹하도록 귀기를 발하고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1」용마루 기와가 몇 개 없는 지붕에는 기왓골에 나 있는 잡초마저 시들어 귀기가 서렸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 「2」계월향은 매섭도록 싸늘한 귀기를 띠워 적장에게 육박한다.≪박종화, 임진왜란≫
9. 귀녀 (鬼女) [귀:녀]
한자: 鬼(귀신 귀:), 女(계집 녀)
「1」여자 모습을 한 귀신.
「2」귀신처럼 흉하게 생긴 여자.
10. 귀도 (鬼道) [귀:도]
한자: 鬼(귀신 귀:), 道(길 도:)
「1」기괴한 술법.
「2」귀신이 다니는 길.
「3」아귀(餓鬼), 야차(夜叉), 나찰(羅刹) 따위의 세계.
11. 귀두 (鬼頭) [귀:두]
한자: 鬼(귀신 귀:), 頭(머리 두)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용마루 양쪽 끝에 세운 도깨비 머리 모양의 장식.
12. 귀록 (鬼錄) [귀:록]
한자: 鬼(귀신 귀:), 錄(기록할 록)
저승에서 죽은 사람의 이름을 기록한다는 장부.
13. 귀리 (鬼吏) [귀:리]
한자: 鬼(귀신 귀:), 吏(벼슬아치/관리 리:)
온갖 잡스러운 귀신.
14. 귀매 (鬼魅) [귀:매]
한자: 鬼(귀신 귀:), 魅(매혹할 매)
도깨비와 두억시니 따위를 이르는 말.
15. 귀면 (鬼面) [귀:면]
한자: 鬼(귀신 귀:), 面(낯 면:)
「1」귀신의 얼굴.
「2」귀신의 얼굴을 상상하여 만든 탈.
「3」귀신의 얼굴을 그린 장식 기와. 잡귀나 재앙을 막기 위하여 사래 끝에 붙인다.
용례:
- 「1」울긋불긋 험상궂은 귀면을 그려 넣은 가오리연들은 들기름 먹인 진달래 가지에 불을 붙여 매달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3」집안을 지켜 달라고 기와에 도깨비 얼굴을 새겨 지붕마루 높은 곳에, 하늘을 바라보게 얹어 놓은 망와의 귀면이 애소로 일그러진다.≪최명희, 혼불≫
16. 귀면와 (鬼面瓦) [귀:며놔]
한자: 鬼(귀신 귀:), 面(낯 면:), 瓦(기와 와:)
귀신의 얼굴을 그린 장식 기와. 잡귀나 재앙을 막기 위하여 사래 끝에 붙인다.(귀판)
17. 귀모 (鬼謀) [귀:모]
한자: 鬼(귀신 귀:), 謀(꾀 모)
보통 사람으로는 생각조차 할 수 없는 뛰어난 꾀.
18. 귀문 (鬼門) [귀:문]
한자: 鬼(귀신 귀:), 門(문 문)
「1」저승으로 들어가는 문.
「2」남쪽의 둘째 별자리인 귀성(鬼星)이 있다는 방위(方位). 점술가들이 귀신이 드나든다 하여 매사에 꺼리는 방위로서, 동북방을 가리킨다.
19. 귀물 (鬼物) [귀:물]
한자: 鬼(귀신 귀:), 物(물건 물)
괴상한 물건.
20. 귀방 (鬼方) [귀:방]
한자: 鬼(귀신 귀:), 方(모[棱] 방)
남쪽의 둘째 별자리인 귀성(鬼星)이 있다는 방위(方位). 점술가들이 귀신이 드나든다 하여 매사에 꺼리는 방위로서, 동북방을 가리킨다.
21. 귀병 (鬼病) [귀:병]
한자: 鬼(귀신 귀:), 病(병 병:)
귀신이 붙어 난다는 병.
22. 귀병 (鬼兵) [귀:병]
한자: 鬼(귀신 귀:), 兵(병사 병)
신이 보낸 군사라는 뜻으로, 신출귀몰하여 적이 도저히 맞싸울 수 없는 강한 군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발해 군사들은 귀병처럼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며 거란의 군진을 휩쓸었다.
23. 귀보 (鬼報) [귀:보]
한자: 鬼(귀신 귀:), 報(갚을/알릴 보:)
귀적(鬼籍)에 매인 죄. 또는 그런 보응.
24. 귀부 (鬼斧) [귀:부]
한자: 鬼(귀신 귀:), 斧(도끼 부)
귀신의 도끼라는 뜻으로, 신기한 연장이나 훌륭한 세공(細工)을 이르는 말.
용례:
귀부로 다듬은 듯이 섬세하고 아름다운 조각품.
25. 귀성 (鬼星) [귀:성]
한자: 鬼(귀신 귀:), 星(별 성)
이십팔수의 스물셋째 별자리의 별들. 대한(大寒) 때 해가 뜨고 질 무렵에 천구(天球)의 정남쪽에 나타난다.
26. 귀수 (鬼宿) [귀:수]
한자: 鬼(귀신 귀:), 宿(별자리 수:)
이십팔수의 스물셋째 별자리.
27. 귀수 (鬼祟) [귀:수]
한자: 鬼(귀신 귀:), 祟(빌미 수)
귀신이 내리는 재앙 때문에 생기는 병.
28. 귀신 (鬼神) [귀:신]
한자: 鬼(귀신 귀:), 神(귀신 신)
「1」사람이 죽은 뒤에 남는다는 넋.
「2」사람에게 화(禍)와 복(福)을 내려 준다는 신령(神靈).
「3」어떤 일에 남보다 뛰어난 재주가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생김새나
몰골이 몹시 사나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오직 외곬으로 어떤 일을 하거나 어느 한곳에만 붙어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귀신 들린 사람.
- 「1」귀신에게 홀리다.
- 「1」꿈에 귀신이 나타나다.
- 「1」나는 평생 귀신을 보거나 가위에 눌린 적이 없었다.
- 「1」나 죽었다 한들 죽은 귀신 신주 앞에 향불을 피워 줄 것인가.≪최명희, 혼불≫
- 「2」정성껏 빌면 귀신도 감복하여 너의 소원을 들어줄 것이다.
- 「3」그는 자동차를 다루는 데는 귀신이다.
- 「3」공부도 공부지만 운동에는 아주 귀신이었다.≪윤흥길, 장마≫
- 「4」울긋불긋 귀신처럼 화장을 하다.
- 「5」너는 이제 시집을 갔으니 그 집안의 귀신이 되어야 한다.
- 「5」너희 어미처럼 팔자소관만 하며 살게 하지도 않을 테고, 너희 할머니처럼 살림 귀신 노릇만 하게 하지도 않을 작정이다. ≪박완서, 미망≫
29. 귀신같다 (鬼神같다) [귀:신갇따]
한자: 鬼(귀신 귀:), 神(귀신 신)
동작이나 추측이 정확하고 재주가 기막히게 뛰어나다.
용례:
- 귀신같은 솜씨.
- 그의 귀신같은 노름 솜씨를 알고 있는 사병들은 그와 절대로 노름 같은 것은 하지 않는다.≪홍성원, 육이오≫
30. 귀신날 (鬼神날) [귀:신날]
한자: 鬼(귀신 귀:), 神(귀신 신)
음력 1월 16일을 이르는 말.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먼 나들이를 삼가고 집에서 쉬면서 밤에 콩을 볶으며, 대문 앞에서 목화씨나 고추씨 같은 것을 태우기도 한다.
31. 귀신불 (鬼神불) [귀:신뿔]
한자: 鬼(귀신 귀:), 神(귀신 신)
귀신이 낸다고 하는 불빛.
용례:
작은방에선 귀신불 같은 푸른 불빛이 가만히 타고 있을 것이다. 큰방에선 시뻘건 불이 훨훨 타고 있을 것이다.≪박경리, 토지≫
32. 귀압 (鬼魘▽) [귀:압]
한자: 鬼(귀신 귀:), 魘(가위눌릴 엽)
자다가 가위에 눌림.
33. 귀어 (鬼語) [귀:어]
한자: 鬼(귀신 귀:), 語(말씀 어:)
귀신의 말.
34. 귀역 (鬼蜮) [귀:역]
한자: 鬼(귀신 귀:), 蜮(물여우 역)
귀신과 물여우라는 뜻으로, 음험하여 남몰래 남을 해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5. 귀와 (鬼瓦) [귀:와]
한자: 鬼(귀신 귀:), 瓦(기와 와:)
귀신의 얼굴을 새긴 기와. 기와를 입힌 큰 집의 지붕 양쪽에 사용하였는데, 재앙을 막는다는 토속 신앙과 관련이 있다.
36. 귀왕 (鬼王) [귀:왕]
한자: 鬼(귀신 귀:), 王(임금 왕)
마귀의 우두머리.
37. 귀자 (鬼子) [귀:자]
한자: 鬼(귀신 귀:), 子(아들 자)
「1」어머니를 닮지 아니한 자식.
「2」날 때부터 이가 있는 자식.
「3」귀신의 자식이라는 뜻으로, 못생긴 자식을 이르는 말.
38. 귀자모 (鬼子母) [귀:자모]
한자: 鬼(귀신 귀:), 子(아들 자), 母(어미 모:)
해산과 유아 양육을 맡은 신. 만 명의 자식을 두고도 늘 남의 어린아이를 잡아먹으므로 석가모니가 그의 막내아들을 숨겨 놓고 훈계하여 귀의하도록 하였다. 어린아이를 품고 석류를 쥐고 있는 모습이다.
용례:
마음에 따라 지연은 귀자모의 딸 길상천녀도 될 수 있고 산송장도 될 수 있지.≪박경리, 토지≫
39. 귀재 (鬼才) [귀:재]
한자: 鬼(귀신 귀:), 才(재주 재)
세상에서 보기 드물게 뛰어난 재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
용례:
- 그는 주옥같은 명시를 발표함으로써 시단의 귀재로 각광받고 있는 시인이었다.
- 사학도인 남희는 국사는 물론 동양사와 서양사, 심지어는 역사 철학도 학생 이상의 실력을 갖춘 귀재라는….≪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40. 귀적 (鬼籍) [귀:적]
한자: 鬼(귀신 귀:), 籍(문서 적)
「1」저승에 있다고 하는 귀신들의 명부.
「2」절에서, 죽은 이들의 속명(俗名)·법명(法名)·죽은 날짜 따위를 적어 두는 장부.
용례:
「1」젊어서 얻은 친구들 중에도 이미 귀적에 든 친구가 있고, 오다가다 뜻하지 않은 일로 서로 멀어진 친구도 적지 않다.≪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41. 귀졸 (鬼卒) [귀:졸]
한자: 鬼(귀신 귀:), 卒(마칠 졸)
「1」온갖 잡스러운 귀신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염마청에서 염라대왕의 명을 받아 죄인을 벌하는 옥졸.
42. 귀주 (鬼誅) [귀:주]
한자: 鬼(귀신 귀:), 誅(벨 주)
귀신이 내리는 벌.
43. 귀차 (鬼差) [귀:차]
한자: 鬼(귀신 귀:), 差(다를 차)
귀신의 차사(差使).
44. 귀책 (鬼責) [귀:책]
한자: 鬼(귀신 귀:), 責(꾸짖을 책)
사람의 죄악을 징계하기 위하여 귀신이 내리는 벌을 받음.(귀침)
45. 귀축 (鬼畜) [귀:축]
한자: 鬼(귀신 귀:), 畜(짐승 축)
「1」아귀(餓鬼)와 축생(畜生)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야만적이고 잔인한 짓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은혜를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귀축 영미는 머지않아 이 지구에서 사라질 것이다. 기필코 우리는 그놈들을 몰아낼 것이며….≪박경리, 토지≫
46. 귀태 (鬼胎) [귀:태]
한자: 鬼(귀신 귀:), 胎(아이밸 태)
「1」두려워하고 걱정함.
「2」나쁜 마음.
47. 귀형 (鬼形) [귀:형]
한자: 鬼(귀신 귀:), 形(모양 형)
「1」귀신의 형상.
「2」몹시 파리하여지거나 아주 추하고 흉하게 된 얼굴.
48. 귀화 (鬼話) [귀:화]
한자: 鬼(귀신 귀:), 話(말씀 화)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
49. 귀화 (鬼火) [귀:화]
한자: 鬼(귀신 귀:), 火(불 화(:))
밤에 무덤이나 축축한 땅 또는 고목이나 낡고 오래된 집에서 인 따위의 작용으로 저절로 번쩍이는 푸른빛의 불꽃.(귀린)
용례:
그녀는 딸의 두 눈에 피어오르는 귀화 같은 파란 불꽃을 바라보며 덜덜덜 떨기 시작하였다.≪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50. 귀화 (鬼化) [귀:화]
한자: 鬼(귀신 귀:), 化(될 화(:))
귀신이 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