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克 이길 극

1. 극가 (克家) [극까]

한자: 克(이길 극), 家(집 가)

집안을 잘 다스림.

2. 극감 (克堪) [극깜]

한자: 克(이길 극), 堪(견딜 감)

참고 견디어 맡은 소임을 능히 감당함.

3. 극과 (克果) [극꽈]

한자: 克(이길 극), 果(실과 과:)

능히 해냄.

4. 극기 (克己) [극끼]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자기의 감정이나 욕심, 충동 따위를 이성적 의지로 눌러 이김.

용례:

  • 극기 훈련.
  • 극기랍시고, 이곳 보통학교의 일인 교사는 한겨울 생도들에게 양말 안 신기를 강행했다던가요?≪박경리, 토지≫

5. 극기력 (克己力) [극끼력]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力(힘 력)

자기의 감정이나 충동 따위를 스스로 눌러 이기는 힘.

용례:

창조란 고독과 그 고독을 이겨 내는 극기력과 타고난 독자의 재능과 이 모든 것을 인식하고 여기에서 한 걸음 더 고독하고자 하는 욕구가….≪최상규, 신지 군≫

6. 극기복례 (克己復禮) [극끼봉녜]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復(회복할 복), 禮(예도 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7. 극기심 (克己心) [극끼심]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心(마음 심)

자기의 감정이나 욕심, 충동 따위를 스스로 눌러 이기는 마음.

용례:

선 대신에 쾌락을 선택한 일이 없을 정도로 극기심이 강하였고 선악의 결정에 있어서 한 번도 그릇됨이 없을 정도로 현명하였고….≪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8. 극기주의 (克己主義) [극끼주이]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主(임금/주인 주), 義(옳을 의:)

정신적·육체적 욕망이나 욕구 및 세속적 명예나 이익을 탐하는 모든 욕심을 억제하여 종교나 도덕에서 이상을 성취하려는 사상. 불교나 기독교에서도 이 사상을 볼 수 있다.

9. 극기하다 (克己하다) [극끼하다]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자기의 감정이나 욕심, 충동 따위를 이성적 의지로 눌러 이기다.

용례:

  • 욕망과 부단히 투쟁해야 되고 극기해야 되며, 그리하여 수도가 되고 종내는 부처가 된다는 것인데….≪김성동, 만다라≫
  • 경멸을 극기하고 사랑의 미소를 띠기 위해 그들은 틈만 나면 그들의 하나님을 부르고 매달리고 아부했다.≪박완서, 미망≫

10. 극난 (克難) [긍난]

한자: 克(이길 극), 難(어려울 난(:))

어려움을 이겨 냄.

11. 극려 (克勵) [긍녀]

한자: 克(이길 극), 勵(힘쓸 려:)

사사로운 욕심을 버리고 부지런히 힘씀.

12. 극명 (克明) [긍명]

한자: 克(이길 극), 明(밝을 명)

「1」속속들이 똑똑하게 밝힘.
「2」매우 분명함.

13. 극명성 (克明性) [긍명썽]

한자: 克(이길 극), 明(밝을 명), 性(성품 성:)

더없이 자세하고 분명한 특성.

14. 극명하다 (克明하다) [긍명하다]

한자: 克(이길 극), 明(밝을 명)

[Ⅰ]속속들이 똑똑하게 밝히다.
[Ⅱ]매우 분명하다.

용례:

  • [Ⅰ]세계 평화의 대의를 극명하다.
  • [Ⅱ]극명한 진리.
  • [Ⅱ]극명한 시각 차이.
  • [Ⅱ]극명하게 대조되다.
  • [Ⅱ]극명하게 드러나다.
  • [Ⅱ]극명하게 밝히다.
  • [Ⅱ]이 책은 저자의 인생관을 극명하게 보여 준다.

15. 극명히 (克明히) [긍명히]

한자: 克(이길 극), 明(밝을 명)

매우 분명하게.

용례:

극명히 드러난 사실.

16. 극복 (克復) [극뽁]

한자: 克(이길 극), 復(회복할 복)

「1」이기어 도로 회복함. 또는 본디의 형편으로 돌아감.
「2」정도(正道)로 돌아감. 또는 그것으로 돌아가게 함.
「3」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17. 극복 (克服) [극뽁]

한자: 克(이길 극), 服(옷 복)

「1」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 냄.
「2」적을 이기어 굴복시킴.

용례:

  • 「1」가뭄 극복.
  • 「1」위기 극복.
  • 「1」불황 극복.
  • 「1」가난 극복을 위해 힘쓰다.
  • 「1」경제적인 낙후성 극복 방안을 마련하다.

18. 극복되다 (克服되다) [극뽁뙤다]

한자: 克(이길 극), 服(옷 복)

「1」악조건이나 고생 따위가 물리쳐지다.
「2」적이 져서 굴복되다.

용례:

  • 「1」어려움이 극복되다.
  • 「1」선학들의 학문적 한계가 극복되어야 한다.
  • 「1」구조적 모순은 극복되지 않으면 안 된다.
  • 「2」강자는 극복되어야 한다. 약자의 눈물을 거두기 위하여 평등하기 위하여.≪박경리, 토지≫

19. 극복하다 (克服하다) [극뽀카다]

한자: 克(이길 극), 服(옷 복)

「1」악조건이나 고생 따위를 이겨 내다.
「2」적을 이기어 굴복시키다.

용례:

  • 「1」난관을 극복하다.
  • 「1」한계를 극복하다.
  • 「1」고난을 극복하다.
  • 「1」어려움을 극복하다.
  • 「1」시련을 극복하다.
  • 「1」장애를 극복하다.
  • 「1」그들은 불굴의 정신으로 국난을 극복하고, 민족과 국가를 지켰다.
  • 「1」이 소설은 청소년들이 친구들과의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을 잔잔하게 보여 주고 있다.
  • 「2」행동 없이 일본을 극복할 수는 없다. 선의의 사람들, 선의의 사람들이 도시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박경리, 토지≫

20. 극승 (克勝) [극씅]

한자: 克(이길 극), 勝(이길 승)

이기기 어려운 것을 잘 이겨 냄.

21. 극양 (克讓) [그걍]

한자: 克(이길 극), 讓(사양할 양:)

남을 공경하고 겸손한 태도로 사양함.

22. 극욕 (克慾) [그굑]

한자: 克(이길 극), 慾(욕심 욕)

욕심을 눌러 이김.

23. 극일 (克日) [그길]

한자: 克(이길 극), 日(날 일)

일본을 이김. 또는 그런 일.

용례:

  • 극일 운동.
  • 사원들의 기를 살려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게 극일의 지름길이라면 저런 지옥 훈련쯤은 당연한 게 아니냐 이거죠.≪이문구, 산 너머 남촌≫

24. 극일하다 (克日하다) [그길하다]

한자: 克(이길 극), 日(날 일)

일본을 이기다.

용례:

낮에 극일하고 밤에 친일하는 거야 일본 덕 보고 사는 업자들 얘기지, 그게 어디 보통 사람들 얘긴가요.≪이문구, 산 너머 남촌≫

25. 극정하다 (克定하다) [극쩡하다]

한자: 克(이길 극), 定(정할 정:)

적을 무찔러 평화롭고 안정되게 하다.

용례:

외적을 토벌하여 강토를 극정하다.

26. 극종하다 (克從하다) [극쫑하다]

한자: 克(이길 극), 從(좇을 종(:))

「1」이겨서 복종을 시키다.
「2」잘 복종하다.

용례:

「2」선생님의 훈도를 극종하다.

27. 극첩 (克捷) [극첩]

한자: 克(이길 극), 捷(빠를 첩)

싸움에 이김.

28. 극치 (克治) [극치]

한자: 克(이길 극), 治(다스릴 치)

사사로운 욕심이나 그릇된 생각을 물리침.

29. 극효 (克孝) [그쿄]

한자: 克(이길 극), 孝(효도 효:)

어버이를 잘 섬김.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