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履 밟을 이:(리:)

1. 이 (履) [이:]

한자: 履(밟을 리:)

육십사괘의 하나. 건괘와 태괘가 거듭된 것으로 위는 하늘, 아래는 못을 상징한다.

2. 이괘 (履卦) [이:괘]

한자: 履(밟을 리:), 卦(점괘 괘)

육십사괘의 하나. 건괘와 태괘가 거듭된 것으로 위는 하늘, 아래는 못을 상징한다.

3. 이극구당 (履屐俱當) [이:극꾸당]

한자: 履(밟을 리:), 屐(나막신 극), 俱(함께 구), 當(마땅 당)

맑은 날에는 신으로 쓰고 궂은 날에는 나막신으로 쓴다는 뜻으로, 온갖 재주를 구비하여 모든 일을 능란하게 다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이력 (履歷) [이:력]

한자: 履(밟을 리:), 歷(지날 력)

「1」지금까지 거쳐 온 학업, 직업, 경험 등의 내력.
「2」많이 겪어 보아서 얻게 된 슬기.
「3」정해진 과정에 따라 경전을 공부하는 일.

용례:

  • 「1」이력을 쌓다.
  • 「1」이력을 들추다.
  • 「1」이번에 뽑은 경력 사원들은 이력이 화려하다.
  • 「2」이력이 나다.
  • 「2」이력이 붙다.
  • 「2」그 젊은이도 이 장사엔 웬만큼 이력을 지녔을 것이다.

5. 이력곡선 (履歷曲線) [이:력꼭썬]

한자: 履(밟을 리:), 歷(지날 력), 曲(굽을 곡), 線(줄 선)

자성체의 자화(磁化)나 탄성체의 변형 따위에서 그 물질의 변화 경로를 나타낸 곡선. 일반적으로 루프 모양이다.

6. 이력서 (履歷書) [이:력써]

한자: 履(밟을 리:), 歷(지날 력), 書(글 서)

이력을 적은 문서.

용례:

  • 이력서를 쓰다.
  • 이력서를 내다.
  • 신입 사원을 모집할 때 꼭 요구하는 서류가 이력서이다.

7. 이력종장 (履歷宗匠) [이:력쫑장]

한자: 履(밟을 리:), 歷(지날 력), 宗(마루 종), 匠(장인 장)

정해진 경전을 다 배운 종사(宗師).

8. 이미 (履尾) [이:미]

한자: 履(밟을 리:), 尾(꼬리 미:)

범의 꼬리를 밟는다는 뜻으로,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 이빙 (履氷) [이:빙]

한자: 履(밟을 리:), 氷(얼음 빙)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극히 위험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이상 (履尙) [이:상]

한자: 履(밟을 리:), 尙(오히려 상(:))

품행이 고상함.

11. 이상 (履霜) [이:상]

한자: 履(밟을 리:), 霜(서리 상)

서리를 밟는다는 것은 곧 물이 얼 겨울철이 닥칠 징조라는 뜻으로, 징조를 보고 장차 다가올 일에 대비하여야 함을 경계하는 말.

12. 이상견빙지 (履霜堅氷至) [이:상견빙지]

한자: 履(밟을 리:), 霜(서리 상), 堅(굳을 견), 氷(얼음 빙), 至(이를 지)

서리를 밟을 때가 되면 얼음이 얼 때도 곧 닥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징후가 보이면 머지않아 큰일이 일어날 것임을 이르는 말.

13. 이상곡 (履霜曲) [이:상곡]

한자: 履(밟을 리:), 霜(서리 상), 曲(굽을 곡)

고려 시대의 가요. 여읜 임에 대한 그리움과 현실적 번민의 갈등을 노래하였으며, ≪악장가사≫에 실려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14. 이상지계 (履霜之戒) [이:상지계]

한자: 履(밟을 리:), 霜(서리 상), 之(갈 지), 戒(경계할 계:)

서리를 밟는다는 것은 곧 물이 얼 겨울철이 닥칠 징조라는 뜻으로, 징조를 보고 장차 다가올 일에 대비하여야 함을 경계하는 말.

15. 이성 (履聲) [이:성]

한자: 履(밟을 리:), 聲(소리 성)

신발 끄는 소리.

16. 이수 (履修) [이:수]

한자: 履(밟을 리:), 修(닦을 수)

해당 학과를 순서대로 공부하여 마침.

용례:

  • 이수 과목.
  • 이수 학점.
  • 이수 과정을 단축하다.

17. 이신 (履新) [이:신]

한자: 履(밟을 리:), 新(새 신)

「1」새로운 것을 밟는다는 뜻으로, ‘새해’를 달리 이르는 말.
「2」관리가 처음 부임하는 일.
「3」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이날은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18. 이신지경 (履新之慶) [이:신지경]

한자: 履(밟을 리:), 新(새 신), 之(갈 지), 慶(경사 경:)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이날은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19. 이장 (履長) [이:장]

한자: 履(밟을 리:), 長(긴 장(:))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이날은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20. 이장지경 (履長之慶) [이:장지경]

한자: 履(밟을 리:), 長(긴 장(:)), 之(갈 지), 慶(경사 경:)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이날은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21. 이저전 (履底廛) [이:저전]

한자: 履(밟을 리:), 底(밑 저:), 廛(가게 전:)

신발창을 갈아 주는 가게.

22. 이적 (履跡) [이:적]

한자: 履(밟을 리:), 跡(발자취 적)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다닌 자취를 이르는 말.

23. 이조 (履祚) [이:조]

한자: 履(밟을 리:), 祚(복(福) 조)

임금이 될 사람이 예식을 치른 뒤 임금의 자리에 오름.

24. 이종 (履蹤) [이:종]

한자: 履(밟을 리:), 蹤(자취 종)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다닌 자취를 이르는 말.

25. 이천 (履踐) [이:천]

한자: 履(밟을 리:), 踐(밟을 천:)

실제로 행함.

26. 이행 (履行) [이:행]

한자: 履(밟을 리:), 行(다닐 행(:))

「1」실제로 행함.
「2」채무자가 채무의 내용을 실행하는 일.

용례:

  • 「1」의무의 이행.
  • 「1」소령은 동생이 후에 의대를 나와 국토방위의 의무를 충실하게 이행 중이라고 자랑스레 얘기했다.

27. 이행기 (履行期) [이:행기]

한자: 履(밟을 리:), 行(다닐 행(:)), 期(기약할 기)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여야 할 기한.

28. 이행지 (履行地) [이:행지]

한자: 履(밟을 리:), 行(다닐 행(:)), 地(따 지)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해야 하는 곳.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