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孝 효도 효:

1. 효 (孝) [효:]

한자: 孝(효도 효:)

어버이를 잘 섬기는 일.

용례:

제사를 지내는 것은 미풍양속으로 효에서 나온 자연스러운 행동이었다.

2. 효건 (孝巾) [효:건]

한자: 孝(효도 효:), 巾(수건 건)

상중에 남자 상제나 어른이 된 복인이 머리에 쓰는 것. 베로 위는 막고 밑은 네모가 지게 만들었다.

용례:

당신 조부모님, 부모님 초상 때도 상복커녕은 효건, 굴건도 못 쓰고 대발 거적말이로 장사를 지냈는데….

3. 효녀 (孝女) [효:녀]

한자: 孝(효도 효:), 女(계집 녀)

부모를 잘 섬기는 딸.

용례:

  • 효녀 심청.
  • 그녀는 홀로된 아버지를 지극정성으로 모시고 사는 효녀이다.

4. 효도 (孝道) [효:도]

한자: 孝(효도 효:), 道(길 도:)

「1」부모를 잘 섬기는 도리.
「2」부모를 정성껏 잘 섬기는 일.

용례:

  • 「1」그 노인들은 자식들이 효도를 지키고 동리 젊은 사람들이 존경해 주는 풍습이 가꾸어지는 사회를 바라고 있을 뿐일 것이었다.
  • 「2」자식의 효도를 받다.
  • 「2」자나 깨나 그리던 아버지 어머니는 불치의 병에 걸려 있었다. 바리데기는 그동안 하지 못한 효도를 이번에 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 「2」자식이 효도를 하면 받고, 아니 하면 못 받지…억지로 시킬 수는 없는 일이야.

5. 효부 (孝婦) [효:부]

한자: 孝(효도 효:), 婦(며느리 부)

시부모를 잘 섬기는 며느리.

용례:

  • 노부모를 잘 받들고 사는 효자, 효부를 표창했다.
  • 그 집 며느리는 시부모 봉양을 지성껏 해서 효부의 이름을 문중에 남겼다고 한다.
  • 남의 이목이 두려워 열녀가 되고 남의 눈초리가 무서워서 효부가 되는 수도 많다.
  • 유복자 하나 키우며 시어머니 모시고 알뜰살뜰 살아, 강원도 효부 났다고 칭찬이 자자했던 그네가….

6. 효성 (孝誠) [효:성]

한자: 孝(효도 효:), 誠(정성 성)

마음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정성.

용례:

  • 효성이 지극하다.
  • 효성을 다하다.
  • 박은 본시 자식들은 대단치 않게 생각하나 그 대신 부조에게 대한 효성은 극진한 사람이다.
  • 여기다가 이 수사의 효성이 놀라우니 어머니는 다만 이 효성을 못 받고 일찍 돌아간 남편의 생각이 간절할 뿐이었다.

7. 효심 (孝心) [효:심]

한자: 孝(효도 효:), 心(마음 심)

효성스러운 마음.

용례:

  • 효심이 지극하다.
  • 바리데기 공주의 효심에 감동한 그들은 길을 가르쳐 주면서, 어려운 때 쓸 수 있는 세 가지의 낭화를 주었다.

8. 효양 (孝養) [효:양]

한자: 孝(효도 효:), 養(기를 양:)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함.

용례:

그의 몽롱한 두 눈은 비록 그의 딸의 그지없는 효양을 가지고도 감동시킬 수 없을지 모른다.

9. 효우 (孝友) [효:우]

한자: 孝(효도 효:), 友(벗 우:)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효우가 깊다.

10. 효의 (孝義) [효:이]

한자: 孝(효도 효:), 義(옳을 의:)

효행(孝行)과 절의(節義)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존구 생존해 계오실 때만도 풍류아라 하오나 효의가 특출하와 삼갔사오나 선고(先考) 만세 후로 방종이 심하온데….

11. 효자 (孝子) [효:자]

한자: 孝(효도 효:), 子(아들 자)

[Ⅰ]「1」부모를 잘 섬기는 아들.
[Ⅰ]「2」비문을 새길 때 아들의 이름 위에 적는 말.
[Ⅱ]제사를 지낼 때, 제주(祭主)가 부모의 혼백에게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축문(祝文)을 읽는 입장에서 제주를 이르는 말이다.

용례:

  • [Ⅰ]「1」그는 부모를 극진히 모셔 근동에 효자로 알려졌다.
  • [Ⅰ]「1」삼 년 시묘에 호랑이가 와도 피하지 않고, 무덤 앞을 떠나지 아니하여, 도리어 호랑이가 이 효자의 정성에 감복되었다.

12. 효자문 (孝子門) [효:자문]

한자: 孝(효도 효:), 子(아들 자), 門(문 문)

효자를 표창하여 기리고자 세운 정문(旌門).

용례:

효자문을 세우다.

13. 효조 (孝鳥) [효:조]

한자: 孝(효도 효:), 鳥(새 조)

까마귀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은한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로, ‘까마귀’를 달리 이르는 말.

14. 효지 (孝志) [효:지]

한자: 孝(효도 효:), 志(뜻 지)

효성을 다하려는 마음.

용례:

갸륵한 효지.

15. 효친 (孝親) [효:친]

한자: 孝(효도 효:), 親(친할 친)

부모에게 효도함.

16. 효행 (孝行) [효:행]

한자: 孝(효도 효:), 行(다닐 행(:))

부모를 잘 섬기는 행실.

용례:

  • 효행이 지극하다.
  • 그는 효행이 극진하여 부모가 하라는 일이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반드시 순종하여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