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훈 (訓) [훈:]
한자: 訓(가르칠 훈:)
낱낱의 한자를 읽을 때, 한자의 음(音) 앞에 풀이하여 놓은 뜻.
용례:
이 한문 교본은 한자의 음과 훈을 자세한 해설과 함께 실었다.
2. 훈계 (訓戒) [훈:계]
한자: 訓(가르칠 훈:), 戒(경계할 계:)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줌. 또는 그런 말.
용례:
- 훈계를 늘어놓다.
- 훈계를 내리다.
- 훈계를 듣다.
- 며칠 전 아버지에게 훈계를 받았다더니 설마 그 이유는 아니겠지요?
3. 훈계조 (訓戒調) [훈:계쪼]
한자: 訓(가르칠 훈:), 戒(경계할 계:), 調(고를 조)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듯한 투.
용례:
- 훈계조의 말.
- 훈계조로 말하다.
- 당장 메어꽂을 듯한 기세로 상대방의 서슬을 다잡고 나더니 할머니는 사뭇 훈계조가 되었다.
4. 훈고 (訓詁) [훈:고]
한자: 訓(가르칠 훈:), 詁(주낼 고)
「1」자구(字句)의 해석.
「2」경서의 고증, 해명, 주석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1」훈고 비평.
5. 훈교 (訓敎) [훈:교]
한자: 訓(가르칠 훈:), 敎(가르칠 교:)
훈계하여 가르침.
용례:
우리 어머님의 훈교가 있다 하고 그 돈을 즉시 도로 보내노라 하고….
6. 훈도 (訓導) [훈:도]
한자: 訓(가르칠 훈:), 導(인도할 도:)
「1」일제 강점기에, 초등학교의 교원(敎員)을 이르던 말.
「2」조선 시대에, 한양의 사학(四學)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맡아보던 직책. 사학의 훈도는 성균관의 관원들이
겸임하였다.
「3」조선 선조 때에, 교육을 장려ㆍ감독하려고 팔도에 한 사람씩 둔 벼슬.
용례:
「1」큰딸은 일찍 공부를 시켜서 지금은 보통학교 훈도까지 다니는 터인즉….
7. 훈독 (訓讀) [훈:독]
한자: 訓(가르칠 훈:), 讀(읽을 독)
한자의 뜻을 새겨서 읽음.
용례:
다만 몇 군데 훈독으로 읽어야 할 한자를 음독으로 읽으니까 어미하고 자연스럽게 연결이 안되는 걸 이상하게 여겨 물어 온 것이었다.
8. 훈련 (訓鍊) [훌:련]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1」기본자세나 동작 따위를 되풀이하여 익힘.
「2」가르쳐서 익히게 함.
「3」일정한 목표나 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실제적 교육 활동. 정신적인 것과 기술적인 것이 있다.
용례:
- 「1」총검술 훈련.
- 「1」타격 훈련.
- 「1」야간 등화관제 훈련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 「2」당국은 젊은 학생들에게 단기간의 훈련을 베푼 후 전열에 배치하는 안을 세웠다.
9. 훈련 (訓練) [훌:련]
한자: 訓(가르칠 훈:), 練(익힐 련:)
「1」기본자세나 동작 따위를 되풀이하여 익힘.
「2」가르쳐서 익히게 함.
「3」일정한 목표나 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실제적 교육 활동. 정신적인 것과 기술적인 것이 있다.
용례:
- 「1」총검술 훈련.
- 「1」타격 훈련.
- 「1」야간 등화관제 훈련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 「2」당국은 젊은 학생들에게 단기간의 훈련을 베푼 후 전열에 배치하는 안을 세웠다.
10. 훈련병 (訓鍊兵) [훌:련병]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兵(병사 병)
각 부대에 배치되기 전에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용례:
그때는 수용소로 온 지 며칠 되지 않았기 때문에 얼떨떨하기만 했으므로, 황과 동료들은 마치 훈련병들처럼 구령을 붙이면서….
11. 훈련사 (訓鍊師) [훌:련사]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師(스승 사)
동물을 길들이고 조련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용례:
- 훈련사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 유기견을 돌보았다.
- 나는 그때를 놓치지 않고 사육견의 훈련사처럼 명령해 버린 것이었다.
12. 훈련생 (訓鍊生) [훌:련생]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生(날 생)
훈련을 받고 있는 학생.
용례:
그 학원에서는 기술을 배울 새로운 훈련생을 모집하고 있었다.
13. 훈련소 (訓鍊所) [훌:련소]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所(바 소:)
훈련을 하기 위하여 마련한 곳. 또는 그런 기관.
용례:
- 훈련소 동기.
- 신병 훈련소.
- 나는 훈련소에 입소하여 신병 교육을 받았다.
14. 훈련장 (訓鍊場) [훌:련장]
한자: 訓(가르칠 훈:), 鍊(쇠불릴/단련할 련:), 場(마당 장)
훈련을 하는 장소.
용례:
- 유격 훈련장.
- 며칠 동안 훈련장에서 줄을 맞추어 앞으로 걷기, 좌우로 걷기, 돌아서 걷기, 무릎과 팔굽으로 걷기 등의 훈련을 받았다.
15. 훈령 (訓令) [훌:령]
한자: 訓(가르칠 훈:), 令(하여금 령(:))
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을 지휘ㆍ감독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림. 또는 그 명령.
용례:
- 훈령을 받다.
- 그는 좌수영에 돌아가자 모든 장졸들에게 훈령을 내렸다.
- 일본에 가서 고군분투하는 이홍장도 본국의 훈령이 없다는 핑계로 시일을 질질 끌며 조급한 일본 측 대표들과 지루하고 끈덕진 씨름을 했다.
16. 훈몽 (訓蒙) [훈:몽]
한자: 訓(가르칠 훈:), 蒙(어두울 몽)
어린아이나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글을 가르침.
17. 훈민 (訓民) [훈:민]
한자: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백성을 가르침.
18. 훈민정음 (訓民正音) [훈:민정:음]
한자: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1」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19. 훈방 (訓放) [훈:방]
한자: 訓(가르칠 훈:), 放(놓을 방(:))
‘훈계 방면’(일상생활에서 가벼운 죄를 범한 사람을 훈계하여 놓아줌.)을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훈방 조처.
- 나는 파출소에 연행당했다가 먼저 맞았으므로 훈방이 되었다.
20. 훈병 (訓兵) [훈:병]
한자: 訓(가르칠 훈:), 兵(병사 병)
각 부대에 배치되기 전에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용례:
훈련을 마친 다음에 먼지를 켜가 앉을 만큼 두껍게 뒤집어쓰고 막사로 돌아와 곯아떨어지던 훈병들도 저렇게 잠을 달게 잤다.
21. 훈사 (訓辭) [훈:사]
한자: 訓(가르칠 훈:), 辭(말씀 사)
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경계하는 말.
용례:
어젯밤 주재소에서 자고 난 그들은 오늘 아침 덕호가 가서야 순사 부장의 단단한 훈사를 듣고 다시는 그런 일을 하지 않기로 약속을 하고 놓여나오게 되었다.
22. 훈수 (訓手) [훈:수]
한자: 訓(가르칠 훈:), 手(손 수(:))
「1」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줌.
「2」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하는 말.
용례:
- 「1」내기 장기니까 훈수 두지 마라.
- 「1」군데군데 바둑과 장기판을 벌이고 거기에 요란한 훈수까지 곁들여 있었다.
- 「2」누가 내 사업에 이러쿵저러쿵 훈수를 걸어온다면 난 결코 유쾌한 기분이 아닐 거야.
23. 훈수꾼 (訓手꾼) [훈:수꾼]
한자: 訓(가르칠 훈:), 手(손 수(:))
남이 두는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주는 사람.
용례:
바둑의 훈수꾼 모양으로 주인 옆에 따뜻이 앉아서 마작 테이블만 들여다보고 앉았던 친구다.
24. 훈시 (訓示) [훈:시]
한자: 訓(가르칠 훈:), 示(보일 시:)
「1」상관이 하관에게 집무상의 주의 사항을 일러 보임.
「2」가르쳐 보이거나 타이름.
「3」예전에, 관청의 명령을 일반에게 알리던 일. 또는 그런 게시.
용례:
- 「1」훈련관의 훈시가 끝나자 각 분대별로 대오를 갖추었다.
- 「2」선비는 결코 상리에 지나치게 밝아서도 안 되며 하인 앞에서 돈을 셈하지 않는다는 선친의 훈시를 좇아 그는 아직 아랫사람 앞에서 결코 돈을 세어 본 적이 없었다.
25. 훈유 (訓諭) [후:뉴]
한자: 訓(가르칠 훈:), 諭(타이를 유)
가르쳐 타이름. 또는 그런 말.
용례:
한 반에서 더구나 수신 시간 같은 때에 그따위 장난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훈유를 한바탕한 후에….
26. 훈유 (訓喩) [후:뉴]
한자: 訓(가르칠 훈:), 喩(깨우칠 유)
가르쳐 타이름. 또는 그런 말.
용례:
한 반에서 더구나 수신 시간 같은 때에 그따위 장난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훈유를 한바탕한 후에….
27. 훈육 (訓育) [후:뉵]
한자: 訓(가르칠 훈:), 育(기를 육)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름.
용례:
- 조부의 각별한 훈육으로 양육되던 장손 찬규가 철들고 제 어미를 만난 것은 그 나이 열 살 때였다.
- 그는 자식들에 한한 훈육만은 서슬이 퍼렇게 느껴질 정도로 냉엄했던 게 사실이다.
28. 훈장 (訓長) [훈:장]
한자: 訓(가르칠 훈:), 長(긴 장(:))
「1」글방의 선생.
「2」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용례:
- 「1」훈장 어른.
- 「1」그는 말년에 시골 서당에서 훈장 노릇을 했다.
- 「1」희미한 등잔불에 비친 권 신부의 모습은 평범한 서당의 훈장 같았다.
- 「2」해방이 되고 보니 소학교 훈장 따위 남편은 고루하고 보잘것없다고 금시로 눈이 높아져서 걷어차겠다는 것을….
29. 훈장질 (訓長질) [훈:장질]
한자: 訓(가르칠 훈:), 長(긴 장(:))
「1」글방의 선생 노릇을 낮잡아 이르는 말.
「2」학생을 가르치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 「1」나도 여러분과 똑같이 농사도 짓고 훈장질도 하고 침도 놓고 묏자리도 잡던 사람이며….
- 「2」전남편이란 어떤 위인인지는 몰라도 중학교 훈장질이나 하던 골생원이거나….
30. 훈채 (訓債) [훈:채]
한자: 訓(가르칠 훈:), 債(빚 채:)
조선 시대에, 서당 선생에게 보수로 주던 곡식.
용례:
내가 훈채를 못 갚아서 글방에서 쫓기어 났을 때 어머니께서는 당신 머리의 다리를 팔아 주시었고….
31. 훈칙 (訓飭) [훈:칙]
한자: 訓(가르칠 훈:), 飭(신칙할 칙)
훈령으로써 단단히 일러서 경계함. 또는 그 훈령.
용례:
- 순천 군수가 뿌리 없는 말을 지어 무명잡세를 관찰부에서 받는다고 농상공부에 보고하여 훈칙이 내렸다고….
- 본부의 훈칙이 있으니 회원의 한 달 월봉을 도로 바치라 하였은즉….
32. 훈학 (訓學) [훈:학]
한자: 訓(가르칠 훈:), 學(배울 학)
글방에서 아이들에게 글을 가르침.
용례:
경후는 보통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음달말 구장 샌님이 훈학을 할 때에 글공부를 다닌 일이 있었다.
33. 훈화 (訓化) [훈:화]
한자: 訓(가르칠 훈:), 化(될 화(:))
가르쳐 좋게 되도록 이끎.
34. 훈화 (訓話) [훈:화]
한자: 訓(가르칠 훈:), 話(말씀 화)
교훈이나 훈시를 함. 또는 그런 말.
용례:
- 훈화 방송.
- 월요일 아침에는 교장 선생님께서 훈화를 하신다.
- 새 군수는 연하여 머리를 조아리며 병기의 훈화를 들었다.
35. 훈회 (訓誨) [훈:회]
한자: 訓(가르칠 훈:), 誨(가르칠 회:)
가르치고 타일러 뉘우치게 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