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勤 부지런할 근:

1. 각근 (恪勤) [각끈]

한자: 恪(삼갈 각), 勤(부지런할 근(:))

정성을 다하여 부지런히 힘씀.

2. 개근 (皆勤) [개근]

한자: 皆(다[總] 개), 勤(부지런할 근(:))

학교나 직장 따위에 일정한 기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출석하거나 출근함.

용례:

김 과장은 입사 이래로 6년째 계속 개근이다.

3. 결근 (缺勤) [결근]

한자: 缺(이지러질 결), 勤(부지런할 근(:))

근무해야 할 날에 출근하지 않고 빠짐.

용례:

요즈음 독감 때문에 사원들의 결근이 잦다.

4. 겸근 (兼勤) [겸근]

한자: 兼(겸할 겸), 勤(부지런할 근(:))

자기가 맡은 본디의 근무 이외에 다른 근무를 겸함.

5. 공근 (恭勤) [공근]

한자: 恭(공손할 공), 勤(부지런할 근(:))

‘공근하다’
(공손하고 부지런하다.)의 어근.

6. 구근 (久勤) [구:근]

한자: 久(오랠 구:), 勤(부지런할 근(:))

「1」한 가지 일에 오랫동안 힘씀.
「2」한 직장에 오랫동안 근무함.

7. 구근 (劬勤) [구근]

한자: 劬(수고할 구), 勤(부지런할 근(:))

부지런히 일함.

8. 권근 (倦勤) [권:근]

한자: 倦(게으를 권:), 勤(부지런할 근(:))

일에 싫증이 남.

9. 근근 (勤勤) [근:근]

한자: 勤(부지런할 근(:)), 勤(부지런할 근(:))

‘근근하다’
(매우 부지런하다.)의 어근.

10. 내근 (內勤) [내:근]

한자: 內(안 내:), 勤(부지런할 근(:))

관공서나 회사 따위의 직장 안에서 근무함. 또는 그런 근무.

용례:

  • 내근 직원.
  • 내근 사원 모집.
  • 내근이라곤 하지만 그의 출근은 과거의 그에게서는 생각지도 못할 엄청난 고역이다.≪홍성원, 육이오≫

11. 노근 (勞勤) [노근]

한자: 勞(일할 로), 勤(부지런할 근(:))

부지런히 일함.

12. 농근 (農勤) [농근]

한자: 農(농사 농), 勤(부지런할 근(:))

농사짓는 일. 또는 농사와 관계되는 일.

13. 대근 (代勤) [대:근]

한자: 代(대신할 대:), 勤(부지런할 근(:))

대신하여 근무함.

14. 동근 (同勤) [동근]

한자: 同(한가지 동), 勤(부지런할 근(:))

같은 근무. 또는 같은 역할.

15. 만근 (滿勤) [만:근]

한자: 滿(찰 만(:)), 勤(부지런할 근(:))

일정한 기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출근함.

16. 무결근 (無缺勤) [무결근]

한자: 無(없을 무), 缺(이지러질 결), 勤(부지런할 근(:))

「1」결근한 일이 없음.
「2」한 사람도 결근이 없음.

용례:

「1」직장 생활 30년 근속에 무결근이다.

17. 무단결근 (無斷缺勤) [무단결근]

한자: 無(없을 무), 斷(끊을 단:), 缺(이지러질 결), 勤(부지런할 근(:))

사전에 허락을 받거나 사유를 말하지 않고 결근함. 또는 그런 결근.

용례:

  • 잦은 무단결근으로 징계를 당하다.
  • 우리 회사는 5일 이상 무단결근이면 해고된다.

18. 복근 (服勤) [복끈]

한자: 服(옷 복), 勤(부지런할 근(:))

힘든 일에 종사함.

19. 불근 (不勤) [불근]

한자: 不(아닐 불), 勤(부지런할 근(:))

‘불근하다’
(부지런하지 아니하다.)의 어근.

20. 비상근 (非常勤) [비:상근]

한자: 非(아닐 비(:)), 常(떳떳할 상), 勤(부지런할 근(:))

한정된 날이나 한정된 시간에 출근하여 근무함. 또는 그런 근무.

용례:

비상근 위원.

21. 사정근 (四正勤) [사:정근]

한자: 四(넉 사:), 正(바를 정(:)), 勤(부지런할 근(:))

네 가지의 올바른 노력. 아직 나타나지 않은 악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율의단(律儀斷), 이미 생긴 악은 끊기 위하여 힘쓰는 단단(斷斷), 아직 나타나지 않은 선은 나타나도록 하는 수호단(隨護斷), 이미 생긴 선은 더욱 자라도록 애쓰는 수단(修斷)을 이른다.

22. 상근 (常勤) [상근]

한자: 常(떳떳할 상), 勤(부지런할 근(:))

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출근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근무함. 또는 그런 근무.

용례:

상근 직원의 수는 얼마나 됩니까?

23. 성근 (誠勤) [성근]

한자: 誠(정성 성), 勤(부지런할 근(:))

‘성근하다’
(성실하고 부지런하다.)의 어근.

24. 시차출근 (時差出勤) [시차출근]

한자: 時(때 시), 差(다를 차), 出(날[生] 출), 勤(부지런할 근(:))

시차제에 따른 출근.

25. 신근 (辛勤) [신근]

한자: 辛(매울 신), 勤(부지런할 근(:))

힘든 일을 맡아 애쓰며 부지런히 일함.

26. 야근 (夜勤) [야:근]

한자: 夜(밤 야:), 勤(부지런할 근(:))

퇴근 시간이 지나 밤늦게까지 하는 근무.

용례:

  • 연일 야근으로 피로가 쌓였다.
  • 그는 오늘 야근이라 집에 늦게 들어갔다.

27. 외근 (外勤) [외:근]

한자: 外(바깥 외:), 勤(부지런할 근(:))

직장 밖에 나가서 근무함. 또는 그런 근무.

용례:

  • 외근 기자.
  • 이번 달에는 외근이 많다.
  • 보행이 불편한 그에게 회사에서도 외근은 무리라고 알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28. 일근 (日勤) [일근]

한자: 日(날 일), 勤(부지런할 근(:))

「1」날마다 출근하여 사무를 봄.
「2」낮에 근무함.

용례:

  • 「1」요즘은 일근 근무와 재택근무를 함께 시행하는 회사가 많다.
  • 「2」그는 오늘은 일근이고 내일은 야근이다.

29. 재근 (再勤) [재:근]

한자: 再(두 재:), 勤(부지런할 근(:))

다시 근무함.

용례:

그에게 다시 돌아와 재근을 하라고 권유해 봐라.

30. 재근 (在勤) [재:근]

한자: 在(있을 재:), 勤(부지런할 근(:))

어떤 직장에 근무하고 있음.

31. 전근 (轉勤) [전:근]

한자: 轉(구를 전:), 勤(부지런할 근(:))

근무하는 곳을 옮김.

용례:

  • 전근을 가다.
  • 전근이 되다.
  •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우리 가족은 이사를 많이 다녀야 했다.
  • 면 지서장으로 일 년을 못 채워 이웃 읍 지서장으로 전근을 왔으니 그로서는 승진을 한 셈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32. 정근 (精勤) [정근]

한자: 精(정할 정), 勤(부지런할 근(:))

일이나 공부 따위에 부지런히 힘씀.

용례:

정근 수당.

33. 주근 (晝勤) [주근]

한자: 晝(낮 주), 勤(부지런할 근(:))

낮에 하는 근무.

34. 출결근 (出缺勤) [출결근]

한자: 出(날[生] 출), 缺(이지러질 결), 勤(부지런할 근(:))

출근과 결근을 아울러 이르는 말.

35. 출근 (出勤) [출근]

한자: 出(날[生] 출), 勤(부지런할 근(:))

일터로 근무하러 나가거나 나옴.

용례:

  • 출근 버스.
  • 출근 시간.
  • 요즈음은 교통난 때문에 출근이 큰 고역이다.
  • 출근은 했지만 방학 중인 학교에는 달리 할 일도 없었다.≪한수산, 유민≫
  • 새 원장은 병원 관사에서 하룻밤을 쉬고 난 다음 날 아침 첫 출근을 하고 나서도 부임 인사를 하지 않았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36. 출퇴근 (出退勤) [출퇴근]

한자: 出(날[生] 출), 退(물러날 퇴:), 勤(부지런할 근(:))

출근과 퇴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출퇴근 버스.
  • 출퇴근 시간.
  • 그는 출퇴근 때 늘 타고 다니는 자전거 편으로 유동엘 가려던 참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37. 충근 (忠勤) [충근]

한자: 忠(충성 충), 勤(부지런할 근(:))

충성스럽고 부지런함.

용례:

그대의 충근과 공신을 충분히 알겠으므로 짐이 매우 가상히 여겨 이에 특별히 칙서를 내려 면려하고….≪번역 광해군일기≫

38. 칼퇴근 (칼退勤) [칼퇴근]

한자: #N/A

퇴근 시간이 되자마자 조금도 지체 없이 바로 퇴근함.

용례:

윗사람 눈치 보느라 일이 없어도 칼퇴근은 꿈도 못 꾼다.

39. 통근 (通勤) [통근]

한자: 通(통할 통), 勤(부지런할 근(:))

집에서 직장에 근무하러 다님.

용례:

  • 통근 버스.
  • 객차 세 칸에 화물 한 칸을 단 통근 열차는 신마산이 시발역이라 빈자리가 듬성듬성한 가운데 출발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지금은 전철도 통하는 서울 시내가 됐지만 40년대 말의 교통 사정으로 매일 통근은 무리였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40. 퇴근 (退勤) [퇴:근]

한자: 退(물러날 퇴:), 勤(부지런할 근(:))

일터에서 근무를 마치고 돌아가거나 돌아옴.

용례:

  • 퇴근 시간.
  • 퇴근이 늦다.
  • 퇴근이 이르다.
  • 그는 일이 밀려 퇴근을 못 하고 있다.

41. 특근 (特勤) [특끈]

한자: 特(특별할 특), 勤(부지런할 근(:))

일정한 근무 시간 외에 특별히 더 근무함. 또는 그렇게 하는 근무.

용례:

특근이 있어 일요일에도 회사에 나가야 한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