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극 (歌劇) [가극]
한자: 歌(노래 가), 劇(심할 극)
음악을 중심으로 한 종합 무대 예술. 대사는 독창, 중창, 합창 따위로 부르며, 서곡이나 간주곡 따위의 기악곡도 덧붙인다.
용례:
- 가극 ‘라 트라비아타’의 입장권은 구하기 어렵다.
- 푸치니는 이탈리아의 유명한 가극 작곡가이다.
2. 가면극 (假面劇) [가:면극]
한자: 假(거짓 가:), 面(낯 면:), 劇(심할 극)
탈을 쓰고 하는 연극.
용례:
예전에는 단오 때마다 이 마당에서 가면극을 놀았다.
3. 가상극 (假想劇) [가:상극]
한자: 假(거짓 가:), 想(생각 상:), 劇(심할 극)
어떤 상황을 가정하여 꾸민 연극.
용례:
컴퓨터로 만들어 낸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의 혼란상을 한 편의 가상극으로 꾸몄다.
4. 강도극 (強盜劇) [강:도극]
한자: 強(강할 강(:)), 盜(도둑 도(:)), 劇(심할 극)
폭행이나 협박 따위로 남의 재물을 빼앗는 일.
용례:
강도극을 벌이다.
5. 경극 (京劇) [경극]
한자: 京(서울 경), 劇(심할 극)
노래와 춤과 연극이 혼합되어 있는 중국의 전통극.
6. 관극 (觀劇) [관극]
한자: 觀(볼 관), 劇(심할 극)
연극을 구경함.
용례:
- 사내에서 연극 동호인들을 모아 관극 모임을 결성하였다.
- 무대가 어두워지며 장면이 바꿔지는 순간 관극에 열중하고 있던 관중들이 조금씩 동요하기 시작한다.≪정한숙, IYEU도≫
7. 극중극 (劇中劇) [극쭝극]
한자: 劇(심할 극), 中(가운데 중), 劇(심할 극)
연극 속에서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연극.
용례:
이 연극에서는 배우들이 시대를 넘나들며 극중극 형식으로 과거를 회상한다.
8. 기만극 (欺瞞劇) [기만극]
한자: 欺(속일 기), 瞞(속일 만), 劇(심할 극)
사람을 속이기 위하여 꾸며 낸 연극이라는 뜻으로, 남을 속이기 위하여 거짓 사건을 조작하거나 그럴듯한 수단을 부리는 행동을 이르는 말.
용례:
- 기만극을 벌이다.
- 기만극의 내막이 드러나다.
9. 난투극 (亂鬪劇) [난:투극]
한자: 亂(어지러울 란:), 鬪(싸움 투), 劇(심할 극)
「1」한데 엉켜 치고받으며 싸우는 소동.
「2」난투 장면이 있는 극.
용례:
- 「1」집단 난투극.
- 「1」난투극이 벌어지다.
- 「1」두 패의 사나이들이 걸핏하면 난투극을 벌이는 것이었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10. 노래극 (노래劇) [노래극]
한자: 劇(심할 극)
노래를 포함한 연극 형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아이들이 노래극으로 환경 보호의 메시지를 전했다.
- 나의 슬픈 사정을 동화로 엮어서 어린이들을 모아 놓고 들려주기도 했고 그런 것을 노래극으로 꾸며서 어린이들에게 가르쳐 가까운 지방으로 돌아다니며 공연을 하기도 했었다.≪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11. 농시방극 (農時方劇) [농시방극]
한자: 農(농사 농), 時(때 시), 方(모[棱] 방), 劇(심할 극)
농사철이 되어 일이 한창 바쁨.
용례:
한참 바쁜 농시방극에 뭘 바라고 오느냐고 다 같은 질문이다.≪김유정, 총각과 맹꽁이≫
12. 단막극 (短幕劇) [단:막끅]
한자: 短(짧을 단(:)), 幕(장막 막), 劇(심할 극)
나누어진 단락이 적고 짧은 연극.
13. 독백극 (獨白劇) [독빽끅]
한자: 獨(홀로 독), 白(흰 백), 劇(심할 극)
한 사람의 배우가 모든 배역을 혼자 맡아 하는 연극.
용례:
무당은 가끔씩 일인 백 역을 하는 독백극의 배우나 소리꾼처럼 아니리와 너름새를 섞었다.≪한승원, 해일≫
14. 묵극 (默劇) [묵끅]
한자: 默(잠잠할 묵), 劇(심할 극)
대사 없이 표정과 몸짓만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연극.
용례:
마치 묵극 배우처럼 침묵의 온몸으로 감정을 전달한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15. 민속극 (民俗劇) [민속끅]
한자: 民(백성 민), 俗(풍속 속), 劇(심할 극)
민간에 전하여 내려오는 극 양식. 가면극, 인형극 따위가 있다.
16. 방송극 (放送劇) [방:송극]
한자: 放(놓을 방(:)), 送(보낼 송:), 劇(심할 극)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하여 방송하는 드라마.
용례:
- 텔레비전 방송극을 보다.
- 텔레비전이 보급되기 전에는 라디오 방송극이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17. 비극 (悲劇) [비:극]
한자: 悲(슬플 비:), 劇(심할 극)
「1」인생의 슬프고 애달픈 일을 당하여 불행한 경우를 이르는 말.
「2」인생의 슬픔과 비참함을 제재로 하고 주인공의 파멸, 패배, 죽음 따위의 불행한 결말을 갖는 극 형식.
용례:
- 「1」비극이 일어나다.
- 「1」어쩌면 장렬하기까지 한 한 사나이의 비극적인 종말. 비극은 그러나 그다음부터였다.≪김성동, 만다라≫
- 「1」그들은 장차 일어나려는 인생의 비극을 구경하려는 것처럼 눈도 깜박이지 않았다.≪현진건, 적도≫
- 「2」비극 영화.
- 「2」비극 작가.
18. 사극 (史劇) [사:극]
한자: 史(사기(史記) 사:), 劇(심할 극)
역사에 있었던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만든 연극이나 희곡.
용례:
신인이 이번 사극의 주인공으로 발탁되었다.
19. 사기극 (詐欺劇) [사기극]
한자: 詐(속일 사), 欺(속일 기), 劇(심할 극)
나쁜 꾀로 남을 속이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사기극을 꾸미다.
- 짐짓 사기극은 모르는 척 이 집에 서광이 비쳤다는 둥 큰 재운이 있다는 둥 실없는 소릴 하는 한편….≪박경리, 토지≫
20. 살인극 (殺人劇) [사린극]
한자: 殺(죽일 살), 人(사람 인), 劇(심할 극)
사람을 죽이는 소동을 연극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례:
- 그 유괴범은 잔인한 살인극까지 벌였다.
- 장차 저희들 자녀들이 그러한 끔찍한 살인극을 저지르지 않으리라고 누가 장담하겠습니까.≪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21. 상황극 (狀況劇) [상황극]
한자: 狀(형상 상), 況(상황 황:), 劇(심할 극)
정해진 대본이 없이 참여자들에게 어떤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 따른 참여자들의 반응에 따라 즉흥적으로 진행하는 극.
용례:
- 상황극을 연출하다.
- 상황극이 펼쳐지다.
- 상황극에서 변호사 역할을 맡다.
- 개그맨들이 즉석에서 상황극을 만들어 웃음을 자아냈다.
22. 성극 (聖劇) [성:극]
한자: 聖(성인 성:), 劇(심할 극)
「1」성경에서 소재를 따서 꾸민 종교극.
「2」16세기 무렵에 로마에서 시작한 종교 음악. 성경의 장면을 음악과 함께 연출한 교회극에서 발달하여 오페라의 요소를 가미한 영창, 중창, 합창,
관현악으로 연주한다. 헨델의 <메시아>, 하이든의 <천지창조>ㆍ<사계>가 특히 유명하다.
23. 수난극 (受難劇) [수난극]
한자: 受(받을 수(:)), 難(어려울 난(:)), 劇(심할 극)
예수의 십자가 수난과 부활, 승천을 내용으로 한 연극.
24. 시대극 (時代劇) [시대극]
한자: 時(때 시), 代(대신할 대:), 劇(심할 극)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을 다룬 연극이나 영화.
25. 신파극 (新派劇) [신파극]
한자: 新(새 신), 派(갈래 파), 劇(심할 극)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행하였던 연극 형태. 우리 정서에 맞지 않는 일본의 신파극을 모방하기도 하였으나, 점차 고유한 대중적 정서를 위주로 하였다.
26. 실험극 (實驗劇) [실험극]
한자: 實(열매 실), 驗(시험 험:), 劇(심할 극)
기존의 고정화된 연극 양식을 부정하고 새로운 미학 원리와 형태를 시도하는 연극.
27. 심리극 (心理劇) [심니극]
한자: 心(마음 심), 理(다스릴 리:), 劇(심할 극)
「1」비슷한 환자들을 모아 놓고 즉흥적으로 연기하도록 하는 연극. 미국의 정신과 의사 모레노가 고안한 정신 요법의 하나로, 환자들이 이를 통하여 마음속에 있는 문제를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환자를 분석하고
치료할 수 있다.
「2」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묘사한 연극.
28. 아동극 (兒童劇) [아동극]
한자: 兒(아이 아), 童(아이 동(:)), 劇(심할 극)
「1」어린이들의 교육과 오락을 위하여 만든 연극.
「2」어린이들이 하는 연극.
29. 암투극 (暗鬪劇) [암:투극]
한자: 暗(어두울 암:), 鬪(싸움 투), 劇(심할 극)
격렬하게 벌어지는 암투를 연극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례:
암투극을 벌이다.
30. 역전극 (逆轉劇) [역쩐극]
한자: 逆(거스릴 역), 轉(구를 전:), 劇(심할 극)
형세가 뒤집히는 장면.
용례:
- 역전극을 연출하다.
- 숨 막히는 역전극에 손에 땀을 쥐었다.
- 우리 학교 야구팀이 믿기 힘든 역전극을 펼치며 우승을 차지했다.
31. 역할극 (役割劇) [여칼극]
한자: 役(부릴 역), 割(벨 할), 劇(심할 극)
참여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여 연기하는 극.
32. 연극 (演劇) [연:극]
한자: 演(펼 연:), 劇(심할 극)
「1」배우가 각본에 따라 어떤 사건이나 인물을 말과 동작으로 관객에게 보여 주는 무대 예술.
「2」남을 속이기 위하여 꾸며 낸 말이나 행동.
용례:
- 「1」연극 단체.
- 「1」연극 대본.
- 「1」연극 활동.
- 「1」연극을 공연하다.
- 「1」연출자와 배우들은 그 연극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1년이나 준비했다.
- 「2」연극을 꾸미다.
- 「2」친구들의 연극에 감쪽같이 속았다.
- 「2」진주한 소련군과 그 통역들은 대체로 김광국의 연극에 넘어가 호의적이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33. 연속극 (連續劇) [연속끅]
한자: 連(이을 련), 續(이을 속), 劇(심할 극)
「1」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조금씩 이어서 방송하는 극(劇). 일일 연속극, 주말 연속극 따위가 있다.
「2」영화를 섞어 상연하는 특수한 연극.
용례:
- 「1」연속극의 주인공.
- 「1」연속극이 방영되다.
- 「1」연속극을 보다.
- 「1」송 선생은 한때 텔레비전 연속극의 연출을 맡은 경력이 있었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34. 유혈극 (流血劇) [유혈극]
한자: 流(흐를 류), 血(피 혈), 劇(심할 극)
피를 흘리며 하는 싸움.
용례:
- 유혈극을 벌이다.
- 불량배들 사이의 유혈극으로 거리는 금세 아수라장이 되었다.
35. 인질극 (人質劇) [인질극]
한자: 人(사람 인), 質(바탕 질), 劇(심할 극)
무고한 사람을 인질로 붙들어 놓고 자기의 목적을 이루려고 벌이는 소동.
용례:
인질극을 벌이다.
36. 일인극 (一人劇) [이린극]
한자: 一(한 일), 人(사람 인), 劇(심할 극)
한 사람의 배우가 모든 배역을 혼자 맡아 하는 연극.
용례:
이번에 본 공연은 일인극이었는데 배우가 워낙 연기를 잘해서 그 넓은 무대가 꽉 찬 느낌이었다.
37. 자살극 (自殺劇) [자살극]
한자: 自(스스로 자), 殺(죽일 살), 劇(심할 극)
여러 사람 앞에서 자살하겠다면서 벌이는 소동. 또는 자살을 하여 물의를 일으키는 소동.
용례:
그는 변심하고 떠난 애인의 마음을 돌리기 위하여 자살극을 벌였다.
38. 자작극 (自作劇) [자작끅]
한자: 自(스스로 자), 作(지을 작), 劇(심할 극)
「1」남을 속이거나 모략하기 위하여 자신이 직접 나서서 거짓으로 꾸민 사건.
「2」자기 스스로 지은 연극.
용례:
- 「1」자작극을 꾸미다.
- 「1」자작극을 벌이다.
39. 전통극 (傳統劇) [전통극]
한자: 傳(전할 전), 統(거느릴 통:), 劇(심할 극)
한 나라나 지역 등에서 발생하여 전해 내려오는 고유의 연극.
용례:
전통극을 현대 연극에 접목하였다.
40. 정극 (正劇) [정:극]
한자: 正(바를 정(:)), 劇(심할 극)
보통의 정통 연극.
41. 조작극 (造作劇) [조:작끅]
한자: 造(지을 조:), 作(지을 작), 劇(심할 극)
꾸며 내거나 지어서 만든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조작극을 꾸미다.
- 조작극을 벌이다.
- 호랑이를 목격했다는 제보는 조작극임이 드러났다.
42. 참극 (慘劇) [참극]
한자: 慘(참혹할 참), 劇(심할 극)
「1」슬프고 끔찍한 내용의 연극.
「2」슬프고 끔찍한 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유혈 참극이 계속되다.
- 「2」동족상잔의 참극이 벌어지다.
- 「2」유명한 다이아몬드…그걸 가진 사람마다 피비린내 나는 참극을 불러들인다 했는데….≪박경리, 토지≫
43. 창극 (唱劇) [창:극]
한자: 唱(부를 창:), 劇(심할 극)
전통적인 판소리나 그 형식을 빌려 만든 가극(歌劇). 여러 사람들이 배역을 맡아 창(唱)을 중심으로 극을 전개하는 것으로, 20세기 초 협률사에서 판소리를 무대화하고 판소리에 등장하는 각 인물에 전담 배역을 붙여 노래와 연기를 하게 한 것을 계기로 발달하였다.
용례:
예배당 종소리도 이제 그쳤고 극장에서도 스피커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오늘은 영화 상영이나 창극 공연이 없는 모양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44. 창작극 (創作劇) [창:작끅]
한자: 創(비롯할 창:), 作(지을 작), 劇(심할 극)
작가가 다른 작품을 모방하지 아니하고 독창적으로 지어낸 희곡으로 꾸민 연극.
용례:
- 창작극을 공연하다.
- 창작극을 무대에 올리다.
- 새로운 창작극을 선보이다.
45. 촌극 (寸劇) [촌:극]
한자: 寸(마디 촌:), 劇(심할 극)
「1」아주 짧은 단편적인 연극.
「2」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우발적이고 우스꽝스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현대 가족의 문제점을 풍자한 촌극이 공연되다.
- 「1」그럼 먼저, 우리 악극단의 지보적 존재인 이수룡 서통달 두 분의 촌극을 보내 드리겠습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 「2」어이없는 촌극이 빚어지다.
- 「2」순경은 동료 한 명을 청해 블록 담을 타고 재빨리 지붕 위로 올라갔다. 지붕 위에서 쫓고 쫓기는 촌극이 벌어졌다.≪조선작, 영자의 전성시대≫
46. 특집극 (特輯劇) [특찝끅]
한자: 特(특별할 특), 輯(모을 집), 劇(심할 극)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특별한 날이나 사건 따위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극.
용례:
추석 특집극.
47. 현대극 (現代劇) [현:대극]
한자: 現(나타날 현:), 代(대신할 대:), 劇(심할 극)
「1」제이 차 세계 대전을 전후로 하여 새롭게 등장한 연극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현대 사회의 문제나 생활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연극.
48. 활극 (活劇) [활극]
한자: 活(살 활), 劇(심할 극)
「1」싸움, 도망, 모험 따위를 주로 하여 연출한 영화나 연극.
「2」격렬한 사건이나 장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서부 활극.
- 「1」코미디 활극.
- 「1」극장에서 활극을 보다.
- 「1」활극을 연출하다.
- 「2」활극을 벌이다.
- 「2」활극을 펼치다.
- 「2」말다툼이 손찌검까지 가서 권투보다는 좀 더 구경거리인 늙은이들의 활극이 벌어져 가지고는….≪염상섭, 절곡≫
49. 희극 (喜劇) [히극]
한자: 喜(기쁠 희), 劇(심할 극)
「1」웃음을 주조로 하여 인간과 사회의 문제점을 경쾌하고 흥미 있게 다룬 연극이나 극 형식. 인간 생활의 모순이나 사회의 불합리성을 골계적, 해학적, 풍자적으로 표현한다.
「2」남의 웃음거리가 될
만한 일이나 사건.
용례:
「2」안방에서는 한참 웃지 못할 희극이 벌어지고 있었다.
50. 희비극 (喜悲劇) [히비극]
한자: 喜(기쁠 희), 悲(슬플 비:), 劇(심할 극)
「1」희극과 비극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비극적이면서도 희극적인 연극. 비극의 절정에서 행복한 장면으로 비약적으로 전환하여 막을 내리는 특징이 있다.
용례:
- 「1」희비극이 벌어지다.
- 「1」한 사람의 재소자에게 하루 두 번의 면회가 허락 안 되는 규정은 때때로 웃지 못할 희비극을 연출했다.≪박완서, 조그만 체험기≫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