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극 (究極) [구극]
한자: 究(연구할 구), 極(다할/극진할 극)
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끝.
용례:
모든 목적이 다 그것을 위해서 있는 구극의 목적은 뭣이냐, 그것은 곧 행복이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2. 궁극 (窮極) [궁극]
한자: 窮(다할/궁할 궁), 極(다할/극진할 극)
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끝.
용례:
- 그의 궁극의 목표는 위대한 과학자가 되는 것이다.
- 그의 근성은 뭐니 뭐니 해도 사업가였다. 병원도 경영에 더 관심이 있었고 경영의 궁극의 목적은 이윤의 추구였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3. 남극 (南極) [남극]
한자: 南(남녘 남), 極(다할/극진할 극)
「1」자침(磁針)이 가리키는 남쪽 끝. 에스(S)로 표시한다.
「2」지축(地軸)의 남쪽 끝.
「3」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할 때, 천구와 마주치는 남쪽
점.
4. 다극 (多極) [다극]
한자: 多(많을 다), 極(다할/극진할 극)
「1」극(極)이 많음.
「2」중심이 되는 세력 따위가 없이 여러 세력이 분산되어 서로 대립하고 있는 상태.
용례:
「2」동서 냉전 체제의 종식은 새로운 다극 체제로의 이행을 예고했다.
5. 단극 (單極) [단극]
한자: 單(홑 단), 極(다할/극진할 극)
전기, 자석 따위에서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입자. 양전하나 음전하의 전기 단극, 엔 극이나 에스 극의 자기 단극이 여기에 속하는데, 자기 단극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다.
6. 등극 (登極) [등극]
한자: 登(오를 등), 極(다할/극진할 극)
「1」임금의 자리에 오름.
「2」어떤 분야에서 가장 높은 자리나 지위에 오름.
용례:
- 「1」쇄국 정책은 1864년 12월, 철종의 뒤를 이은 고종의 등극과 아울러 대원군이 집권하게 되면서부터 최고조에 달했다.≪안수길, 북간도≫
- 「2」국제 대회 정상 등극.
- 「2」그는 챔피언 등극 이후에 도전자들의 거센 도전을 여러 차례 물리쳤다.
7. 망극 (罔極) [망극]
한자: 罔(없을 망), 極(다할/극진할 극)
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이다.
용례:
부모를 일시에 잃는 망극을 당하다.
8. 무극 (無極) [무극]
한자: 無(없을 무), 極(다할/극진할 극)
「1」끝이 없음.
「2」동양 철학에서, 우주의 본체인 태극의 맨 처음 상태를 이르는 말.
용례:
「2」태극과 무극의 차이를 크게 깨닫는 자는 상주의 뜻에 접함과 같음이니라.≪한무숙, 만남≫
9. 북극 (北極) [북끅]
한자: 北(북녘 북), 極(다할/극진할 극)
「1」자침(磁針)이 가리키는 북쪽 끝. 엔(N)으로 표시한다.
「2」지축(地軸)의 북쪽 끝.
「3」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할 때, 천구와 마주치는 북쪽
점.
10. 분극 (分極) [분극]
한자: 分(나눌 분(:)), 極(다할/극진할 극)
「1」유전체(誘電體)를 전기장 속에 놓을 때, 그 물체 양 끝에 양전기와 음전기가 나타나는 현상.
「2」전기 분해나 전지를 사용할 경우에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 전류가 흐른 결과, 원래의 전류와 반대 방향의 기전력이 생기는 현상.
「3」원자ㆍ분자를 전기장 속에 놓을 때, 음전하와 양전하의 평균적 위치가 변화ㆍ분리되어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현상.
11. 양극 (兩極) [양:극]
한자: 兩(두 량:), 極(다할/극진할 극)
「1」양극과 음극.
「2」북극과 남극.
「3」서로 매우 심하게 거리가 있거나 상반되는 것.
용례:
- 「1」지구 자기장의 양극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위치를 서로 바꾸기도 한다.
- 「2」그는 지난해 북극 탐험에 이어 올해 남극 탐험에 성공하여 지구의 양극을 정복한 사람이 되었다.
- 「3」광복 후 양극으로 치달은 민족의 이념 분열.
- 「3」똑같이 쓰러지는 행위에도 곳과 때에 따라 그 결과는 양극의 위치처럼 판이해진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12. 육극 (六極) [육끅]
한자: 六(여섯 륙), 極(다할/극진할 극)
「1」매우 불길하게 여기는 여섯 가지 일. 변사(變死)와 요사(夭死), 질(疾), 우(憂), 빈(貧), 악(惡), 약(弱)을 이른다.
「2」인체에서 중요한
여섯 곳. 기극(氣極), 혈극(血極), 근극(筋極), 골극(骨極), 기극(肌極), 정극(精極)을 이른다.
「3」천지(天地)와 사방(四方)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1」하늘의 뜻을 받들어 선을 행하는 사람은 오복을 받지만 하늘의 뜻을 어기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육극을 받는다고 한다.
13. 음극 (陰極) [음극]
한자: 陰(그늘 음), 極(다할/극진할 극)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에, 전위가 낮은 쪽의 극.
용례:
자석의 양극과 음극.
14. 자극 (磁極) [자:극]
한자: 磁(자석 자), 極(다할/극진할 극)
자석이 쇠붙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센 곳. 자석의 양쪽 끝에 있으며 북으로 끌리는 쪽을 엔(N) 극, 남으로 끌리는 쪽을 에스(S) 극이라고 한다. 같은 극끼리는 밀어 내고 다른 극끼리는 서로 끌어당긴다.
15. 자기극 (磁氣極) [자:기극]
한자: 磁(자석 자), 氣(기운 기), 極(다할/극진할 극)
자석이 쇠붙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센 곳. 자석의 양쪽 끝에 있으며 북으로 끌리는 쪽을 엔(N) 극, 남으로 끌리는 쪽을 에스(S) 극이라고 한다. 같은 극끼리는 밀어 내고 다른 극끼리는 서로 끌어당긴다.
16. 적극 (積極) [적끅]
한자: 積(쌓을 적), 極(다할/극진할 극)
[Ⅰ]대상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활동함.
[Ⅱ]대상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용례:
- [Ⅰ]적극 가담.
- [Ⅰ]적극 행정.
- [Ⅰ]적극 참여자.
- [Ⅰ]우리 팀은 경기 초반부터 적극 공격을 펼쳤다.
- [Ⅱ]적극 지지하다.
- [Ⅱ]적극 협조하다.
- [Ⅱ]환경 보호에 우리 모두 적극 동참해야 한다.
17. 전극 (電極) [전:극]
한자: 電(번개 전:), 極(다할/극진할 극)
전기가 드나드는 곳. 전지, 발전기 따위의 전원에서 전류가 나오는 곳을 양극, 전류가 들어가는 곳을 음극이라 하는데 전위의 높고 낮음으로 양극과 음극을 구별한다.
18. 정극 (正極) [정:극]
한자: 正(바를 정(:)), 極(다할/극진할 극)
전기의 양극이나 자석의 북극을 이르는 말.
19. 지극 (地極) [지극]
한자: 地(따 지), 極(다할/극진할 극)
지축의 양 끝. 남극과 북극을 이른다.
용례:
지극 지점의 기온은 매우 낮다.
20. 지극 (至極) [지극]
한자: 至(이를 지), 極(다할/극진할 극)
‘지극하다’
(더할 수 없이 극진하다.)의 어근.
21. 한극 (寒極) [한극]
한자: 寒(찰 한), 極(다할/극진할 극)
「1」가장 추운 곳.
「2」지구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보이는 지점. 남반구에서는 남극 대륙의 내륙 고원이고, 북반구에서는 동시베리아의 베르호얀스크 부근이다.
용례:
「1」우리나라의 한극은 평안북도의 중강진이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