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계소득 (家計所得) [가계소:득]
한자: 家(집 가), 計(셀 계:), 所(바 소:), 得(얻을 득)
근로 소득, 사업 소득 및 집세ㆍ땅세ㆍ이자ㆍ배당금과 같은 재산 소득 따위를 합한 가족의 총소득.
용례:
경기 호황과 임금 소득의 증가 등으로 가계 소득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2. 감득 (感得) [감:득]
한자: 感(느낄 감:), 得(얻을 득)
「1」느껴서 앎.
「2」영감으로 깨달아 앎.
3. 계약소득 (契約所得) [계약쏘:득]
한자: 契(맺을 계:), 約(맺을 약), 所(바 소:), 得(얻을 득)
계약에 의하여 얻게 되는 소득. 임금, 이자, 지대, 임대료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용례:
프로 운동선수들의 계약 소득과 실제 소득은 보너스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차이가 날 수 있다.
4. 고소득 (高所得) [고소득]
한자: 高(높을 고), 所(바 소:), 得(얻을 득)
많은 벌이. 또는 벌이가 많음.
용례:
- 고소득 부업.
- 고소득 업종.
- 고소득이 보장된 사업.
- 전문직에 종사하며 고소득을 올리다.
5. 구득 (求得) [구득]
한자: 求(구할[索] 구), 得(얻을 득)
구하여 얻음.
용례:
기계도 기계지만 탄환을 좀 많이 구득을 하십시오.≪문순태, 타오르는 강≫
6. 국민소득 (國民所得) [궁민소:득]
한자: 國(나라 국), 民(백성 민), 所(바 소:), 得(얻을 득)
보통 1년 동안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 활동의 결과로 얻은 최종 생산물의 총액. 국민 순생산에서 간접세를 빼고 경상 보조금을 합하여 구한다.
용례:
- 국민 소득이 높은 나라.
- 국민 소득이 낮다.
- 국민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문화, 예술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도 증가한다.
7. 기득 (旣得) [기득]
한자: 旣(이미 기), 得(얻을 득)
이미 얻어서 차지함.
용례:
- 정치권과 언론은 관료 사회가 조그마한 변화마저도 자신들의 기득 이권을 잃어버릴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질타한다.
- 그들은 개혁을 주도하기는 고사하고 기득 이익을 대변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8. 납득 (納得) [납뜩]
한자: 納(들일 납), 得(얻을 득)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 형편 따위를 잘 알아서 긍정하고 이해함.
용례:
- 납득이 가도록 설득하다.
- 그는 간혹 납득이 안 가는 행동을 한다.
9. 농외소득 (農外所得) [농외소:득]
한자: 農(농사 농), 外(바깥 외:), 所(바 소:), 得(얻을 득)
농사를 지어서 생기는 소득 이외의 농가 소득. 농지 임대료나 품삯 따위가 있다.
용례:
- 농외소득을 올리다.
- 사방에서 벅적벅적 몰려드는 돈 많은 낚시꾼들 덕분에 주민들이 얻는 농외소득이 상당할 거라는 이야기가 과히 싫지는 않아서….≪윤흥길, 완장≫
10. 대득 (大得) [대:득]
한자: 大(큰 대(:)), 得(얻을 득)
뜻밖에 좋은 결과를 얻음.
용례:
- 대득을 보다.
- 일 원이나 오십 전 들여서 알아 들인 일을, 술은 술대로 얻어먹고, 십 원에 팔아넘기는 것은 여간한 대득이 아니었다.≪염상섭, 이심≫
11. 만득 (晩得) [만:득]
한자: 晩(늦을 만:), 得(얻을 득)
「1」늙어서 자식을 낳음.
「2」늙어서 낳은 자식.
용례:
「1」시아버지는 늙마에 만득으로 그이 하나를 두시고 그이를 위하여 넉넉지도 못한 가산을 기울여 학자를 대었다.≪계용묵, 바람은 그냥 불고≫
12. 면부득 (免不得) [면:부득]
한자: 免(면할 면:), 不(아닐 불), 得(얻을 득)
면하려고 아무리 애를 써도 면할 수가 없음.
용례:
- 늙어서 편안히 지내려면 초년고생은 면부득이니 지금은 고생스럽더라도 참고 지내라.
- 선생님께 불려 갈 때는 면부득 혼이라도 날 줄 알았는데 다행히 쉽게 용서를 받고 교실로 돌아왔다.
13. 묘득 (妙得) [묘:득]
한자: 妙(묘할 묘:), 得(얻을 득)
일하면서 얻은 묘한 방법이나 요령. 또는 묘한 요령이나 방법을 깨달아 얻음.
용례:
- 장기 두는 묘득.
- 묘득을 터득하다.
- 묘득이 있다.
14. 무소득 (無所得) [무소득]
한자: 無(없을 무), 所(바 소:), 得(얻을 득)
얻는 바가 없음.
용례:
무소득 계층.
15. 미득 (未得) [미:득]
한자: 未(아닐 미(:)), 得(얻을 득)
아직 얻지 못함.
용례:
자금의 미득으로 인해 기업의 도산이 속출하고 있다.
16. 별무소득 (別無所得) [별무소득]
한자: 別(다를/나눌 별), 無(없을 무), 所(바 소:), 得(얻을 득)
별로 얻는 바가 없음.
용례:
이경순의 아내는 날마다 전생이를 이방 집으로 보내어 관아의 동정을 알아보려 하였으나, 별무소득이었다.≪황석영, 장길산≫
17. 부당이득 (不當利得) [부당이:득]
한자: 不(아닐 부), 當(마땅 당), 利(이할 리:), 得(얻을 득)
법률상 원인 없이 부당한 방법으로 남에게 손해를 주면서 얻는 이익.
용례:
- 매점매석으로 부당 이득을 취하다.
- 싼 수입 양주를 비싼 양주로 속여 팔아 부당 이득을 챙긴 업자가 적발되었다.
18. 불가부득 (不可不得) [불가부득]
한자: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不(아닐 불), 得(얻을 득)
마지못하여 하는 수 없이.
용례:
- 녀석을 달래려면 불가부득 술이 있어야 할 텐데.
- 홍수로 도로가 유실되어 우리는 불가부득 차를 버리고 걸어야만 했다.
19. 불로소득 (不勞所得) [불로소:득]
한자: 不(아닐 불), 勞(일할 로), 所(바 소:), 得(얻을 득)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 불로 소득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다.
- 그는 부동산과 유가 증권에 투자하여 엄청난 불로 소득을 올렸다.
- 공짜를 바란다는 것은 환언하면 불로 소득을 바라는 심리인 만큼 그것은 필연적으로 근로 정신을 약화시켜서….≪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20. 설득 (說得) [설뜩]
한자: 說(말씀 설), 得(얻을 득)
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여러 가지로 깨우쳐 말함.
용례:
- 그는 직장을 그만두려고 마음먹었으나, 직장 상사와 아내의 끈질긴 설득으로 계속 다니기로 했다.
- 어머니의 끈질긴 설득과 호소로 살인범은 마침내 자수를 결심했다.
21. 소득 (所得) [소:득]
한자: 所(바 소:), 得(얻을 득)
「1」일한 결과로 얻은 정신적ㆍ물질적 이익.
「2」일정 기간 동안의 근로 사업이나 자산의 운영 따위에서 얻는 수입. 봉급, 노임, 지대(地代), 이자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용례:
- 「1」그는 그 장사로 엄청난 소득을 남겼다고 한다.
- 「1」하루의 항해는 소득 없이 끝났다.≪최인훈, 회색인≫
- 「2」소득에 따라 정해진 세금 비율이 있어 이 기준에 맞추어 세금이 부과된다.
22. 습득 (拾得) [습뜩]
한자: 拾(주울 습), 得(얻을 득)
주워서 얻음.
23. 습득 (習得) [습뜩]
한자: 習(익힐 습), 得(얻을 득)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배워서 자기 것으로 함.
용례:
- 기술 습득.
- 정보 습득.
- 지식 습득.
24. 실득 (實得) [실뜩]
한자: 實(열매 실), 得(얻을 득)
실제로 얻음.
용례:
이번 일은 고생만 했지 실득이 없었다.
25. 심득 (心得) [심득]
한자: 心(마음 심), 得(얻을 득)
「1」충분히 이해함.
「2」마음 깊이 깨달아서 간직하고 주의함. 또는 그런 주의 사항.
26. 심득 (深得) [심:득]
한자: 深(깊을 심), 得(얻을 득)
깊이 체험하여 진리를 알아냄.
27. 양득 (兩得) [양:득]
한자: 兩(두 량:), 得(얻을 득)
「1」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2」장기에서, 자기 말 하나를 죽이고 상대의 말 둘을 잡음. 또는 그런 수.
28. 이득 (利得) [이:득]
한자: 利(이할 리:), 得(얻을 득)
「1」이익을 얻음. 또는 그 이익.
「2」증폭기를 이용하여 얻는 신호 전력의 증가. 보통 데시벨(dB)로 나타낸다.
용례:
- 「1」엄청난 이득을 보다.
- 「1」부당한 이득을 취하다.
- 「1」지난 일 얘기하면 무슨 이득이 있겠소.
- 「1」가산을 억탈하자는 것이 아니란 것을 빤히 알고 있는 터수에 제 가산의 규모를 거짓 아뢰어 또 무슨 이득이 있겠습니까.≪김주영, 객주≫
29. 자득 (自得) [자득]
한자: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
「1」스스로 깨달아 얻음.
「2」스스로 만족하게 여겨 뽐내며 우쭐거림.
「3」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자기 스스로 갚음을 받음.
30. 잡소득 (雜所得) [잡쏘득]
한자: 雜(섞일 잡), 所(바 소:), 得(얻을 득)
일정한 소득 이외의 여러 가지 잡다한 소득.
31. 저소득 (低所得) [저:소득]
한자: 低(낮을 저:), 所(바 소:), 得(얻을 득)
적은 벌이. 또는 벌이가 적음.
32. 중간이득 (中間利得) [중간니득]
한자: 中(가운데 중), 間(사이 간(:)), 利(이할 리:), 得(얻을 득)
두 사람 사이에 관여하거나 관련이 있는 사람이 취하는 이득.
용례:
농수산물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양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중간이득을 취하는 중간 상인들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된다.
33. 채득 (採得) [채:득]
한자: 採(캘 채:), 得(얻을 득)
더듬어 살펴서 찾아내거나 알아냄.
용례:
현장 보존이 안 되어 증거 채득에 난점이 많다.
34. 채득 (債得) [채:득]
한자: 債(빚 채:), 得(얻을 득)
남에게서 빚을 얻음.
용례:
신용을 잃어 채득도 여의치 않다.
35. 체득 (體得) [체득]
한자: 體(몸 체), 得(얻을 득)
「1」몸소 체험하여 알게 됨.
「2」뜻을 깊이 이해하여 실천으로써 본뜸.
용례:
「1」머리로만 아는 것보다 실제 경험을 통한 체득이 더 중요하다.
36. 총소득 (總所得) [총:소득]
한자: 總(다[皆] 총:), 所(바 소:), 得(얻을 득)
어떤 일에 들어간 비용이나 경비 따위를 포함하여 그 일의 결과로 얻은 모든 이익.
용례:
총소득이 연간 일정액을 넘지 않는 사람은 소득세가 면제된다.
37. 취득 (取得) [취:득]
한자: 取(가질 취:), 得(얻을 득)
자기 것으로 만들어 가짐.
용례:
- 면허 취득.
- 부동산 취득.
- 자격증 취득.
- 학위 취득.
38. 터득 (攄得) [터:득]
한자: 攄(펼 터:), 得(얻을 득)
깊이 생각하여 이치를 깨달아 알아냄.
용례:
어린 마리아도 이 책을 필사하면서 교리의 터득과 신앙의 심도를 더해 갔던 것이다.≪한무숙, 만남≫
39. 해득 (解得) [해:득]
한자: 解(풀 해:), 得(얻을 득)
뜻을 깨쳐 앎.
용례:
귀가 번쩍 띄는 소리건마는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해득을 하기 어려웠다.≪박종화, 임진왜란≫
40. 획득 (獲得) [획뜩]
한자: 獲(얻을 획), 得(얻을 득)
얻어 내거나 얻어 가짐.
용례:
- 부의 획득.
- 메달 획득에 나서다.
- 그는 국내 시장보다는 외화 획득을 위한 국외 시장에 더 관심이 많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