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菌 버섯 균

1. 결핵균 (結核菌) [결핵뀬]

한자: 結(맺을 결), 核(씨 핵), 菌(버섯 균)

1882년에 코흐가 발견한 결핵의 원인이 되는 균. 길이 1~4마이크로미터(㎛), 폭 0.3~0.5㎛의 간균(杆菌)으로 대개 가래나 침을 통하여 호흡 기관으로 감염한다. 저항력과 번식력이 강하여 전염성이 높으나 건조, 열, 햇빛에는 약하다.

2. 구균 (球菌) [구균]

한자: 球(공 구), 菌(버섯 균)

둥근 모양으로 생긴 세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 그 배열에 따라 쌍구균, 포도상 구균, 연쇄상 구균 따위로 나눈다.

3. 균핵균 (菌核菌) [균핵뀬]

한자: 菌(버섯 균), 核(씨 핵), 菌(버섯 균)

균핵을 이루고 있는 균류.

4. 기생균 (寄生菌) [기생균]

한자: 寄(부칠 기), 生(날 생), 菌(버섯 균)

다른 생물의 겉에 붙거나 몸 안에 들어가 여러 가지 영양물을 빨아들이면서 숙주에 피해를 주는 균.

5. 나균 (癩菌) [나:균]

한자: 癩(문둥이 라:), 菌(버섯 균)

나병의 병원균. 결핵균과 유사한 그람 양성의 항산성 간균으로, 주로 피부와 점막을 통하여 몸속에 침투하며 전염력은 약한 편이다.

용례:

그 열두 명의 아이들은 단지 문둥이의 자식들로, 오직 이유라면 그것일 뿐 손끝에도 발끝에도 나균을 가지고 있지 않은 미감아라는 것을…….≪최인호, 미개인≫

6. 나병균 (癩病菌) [나:병균]

한자: 癩(문둥이 라:), 病(병 병:), 菌(버섯 균)

나병의 병원균. 결핵균과 유사한 그람 양성의 항산성 간균으로, 주로 피부와 점막을 통하여 몸속에 침투하며 전염력은 약한 편이다.

7. 대장균 (大腸菌) [대:장균]

한자: 大(큰 대(:)), 腸(창자 장), 菌(버섯 균)

포유류의 장(腸) 속에서 포도당을 분해하여 산(酸)을 생산하는 막대기 모양의 세균. 병원성이 없으나 방광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8. 독균 (毒菌) [독뀬]

한자: 毒(독 독), 菌(버섯 균)

독이 있는 균류(菌類).

9. 독균 (毒菌) [독뀬]

한자: 毒(독 독), 菌(버섯 균)

독을 가진 균.

10. 매독균 (梅毒菌) [매독뀬]

한자: 梅(매화 매), 毒(독 독), 菌(버섯 균)

매독의 병원체.

11. 메주균 (메주菌) [메주균]

한자: 菌(버섯 균)

메주를 띄우는 누룩곰팡이.

12. 멸균 (滅菌) [멸균]

한자: 滅(꺼질/멸할 멸), 菌(버섯 균)

균을 완전히 없애 무균 상태로 만듦.

용례:

  • 상처 부위를 멸균 거즈로 덮었다.
  • 우유는 멸균 과정에서 많은 영양소가 파괴된다.

13. 무균 (無菌) [무균]

한자: 無(없을 무), 菌(버섯 균)

균이 없음.

용례:

무균 우유.

14. 발효균 (醱酵菌) [발효균]

한자: 醱(술괼 발), 酵(삭힐 효:), 菌(버섯 균)

자낭균류에 속하는 균류. 엽록소가 없는 단세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형의 균류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균류이다. 대개 출아(出芽)에 의하여 번식하며 내생 포자 생성법에 의한 것도 있다. 식품 제조 시 발효와 부풀리기에 이용하며 주로 술이나 빵을 만드는 데 많이 쓴다.

15. 병균 (病菌) [병:균]

한자: 病(병 병:), 菌(버섯 균)

병의 원인이 되는 균.

용례:

  • 병균을 옮기다.
  • 병균에 감염되다.

16. 병원균 (病原菌) [병:원균]

한자: 病(병 병:), 原(언덕 원), 菌(버섯 균)

병의 원인이 되는 균.

용례:

병원균에 감염되다.

17. 보균 (保菌) [보:균]

한자: 保(지킬 보(:)), 菌(버섯 균)

몸 안에 병균을 지님.

용례:

그 병의 보균 실태를 조사하다.

18. 부패균 (腐敗菌) [부:패균]

한자: 腐(썩을 부:), 敗(패할 패:), 菌(버섯 균)

유기물을 부패시키는 세균. 단백질과 그 밖의 질소를 함유한 유기 물질을 부패시켜 간단한 질소 화합물인 암모니아, 황화 수소 따위로 분해하는 세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발광 세균(發光細菌), 유산균(乳酸菌), 고초균(枯草菌) 따위가 있다.

19. 비저균 (鼻疽菌) [비:저균]

한자: 鼻(코 비:), 疽(종기 저), 菌(버섯 균)

마비저를 일으키는 병원균. 양 끝이 둥그스름한 짧은 막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공기 중에서 증식하고 산성에 약하다.

20. 살균 (殺菌) [살균]

한자: 殺(죽일 살), 菌(버섯 균)

병원성 미생물 따위의 균을 죽임. 약품에 의한 화학적 방법과 열을 이용한 물리적 방법이 있다.

용례:

  • 살균 작용.
  • 살균 효과.
  • 살균 장치.

21. 생균 (生菌) [생균]

한자: 生(날 생), 菌(버섯 균)

살아 있는 세균.

22. 세균 (細菌) [세:균]

한자: 細(가늘 세:), 菌(버섯 균)

생물체 가운데 가장 미세하고 가장 하등에 속하는 단세포 생활체. 다른 생물체에 기생하여 병을 일으키기도 하고 발효나 부패 작용을 하기도 하여 생태계의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조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없이 세포막과 원형질만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공 모양, 막대 모양, 나선 모양 따위가 있다.

용례:

  • 세균 감염.
  • 세균 검출.
  • 세균 배양.
  • 세균 번식.

23. 식균 (食菌) [식뀬]

한자: 食(밥/먹을 식), 菌(버섯 균)

백혈구 따위가 몸 안의 균을 먹음.

24. 식용균 (食用菌) [시굥균]

한자: 食(밥/먹을 식), 用(쓸 용:), 菌(버섯 균)

식용할 수 있는 담자균류나 자낭균류. 송이ㆍ표고ㆍ싸리버섯 따위가 있다.

25. 씨앗균 (씨앗菌) [씨앋뀬]

한자: 菌(버섯 균)

번식시키기 위한 씨로 삼는 균.

용례:

젖산균 중에서 맛을 좌우하는 우수한 젖산균을 찾아낸다면, 이들을 씨앗균으로 뿌려 같은 양념이라도 색다른 맛과 향을 내는 김치를 만들 수 있다.

26. 유산균 (乳酸菌) [유산균]

한자: 乳(젖 유), 酸(실[味覺] 산), 菌(버섯 균)

당류(糖類)를 분해하여 젖산을 만드는 균의 하나.

27. 잡균 (雜菌) [잡뀬]

한자: 雜(섞일 잡), 菌(버섯 균)

「1」잡다한 세균.
「2」미생물 따위를 배양할 때, 외부에서 섞여 들어와 자라는 이종(異種)의 세균.

용례:

  • 「1」잡균 제거.
  • 「1」땀과 먼지에 전 양말에 잡균이 퍼져 고약한 냄새가 난다.

28. 장내세균 (腸內細菌) [장내세:균]

한자: 腸(창자 장), 內(안 내:), 細(가늘 세:), 菌(버섯 균)

장내에 상존하는 세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장구균, 연쇄상 구균, 대장균 등 100종이 넘는다. 대부분 병원성(病原性)이 없이 소화 보조, 비타민 합성, 외래균 방어 따위의 구실을 하는데 살모넬라균, 적리균 등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29. 저온살균 (低溫殺菌) [저:온살균]

한자: 低(낮을 저:), 溫(따뜻할 온), 殺(죽일 살), 菌(버섯 균)

식품류를 60~80℃ 온도에서 30분 정도 가열하여 살균하는 방법. 주로 우유, 달걀, 혈청, 맥주 따위와 같이 비타민이나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 고온에서 변질되기 쉬운 식품을 살균할 때 쓴다.

30. 젖산균 (젖酸菌) [젇싼균]

한자: 酸(실[味覺] 산), 菌(버섯 균)

당류(糖類)를 분해하여 젖산을 만드는 균의 하나.

31. 탄저균 (炭疽菌) [탄:저균]

한자: 炭(숯 탄:), 疽(종기 저), 菌(버섯 균)

바실루스과 바실루스속의 세균. 그람 양성 간균으로 탄저병의 병원균이다. 균체는 비교적 크고 저항력이 강하며 협막 또는 홀씨가 있다. 가축의 질병을 일으키고 사람에게 감염하면 패혈증을 일으킨다.

32. 토양균 (土壤菌) [토양균]

한자: 土(흙 토), 壤(흙덩이 양:), 菌(버섯 균)

흙 속에 사는 세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유기물의 분해, 질산화 작용, 탈질 작용 따위에 관계한다.

33. 폐렴균 (肺炎▽菌) [폐:렴균]

한자: 肺(허파 폐:), 炎(불꽃 염), 菌(버섯 균)

폐렴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

34. 포도상구균 (葡萄狀球菌) [포도상구균]

한자: 葡(포도 포), 萄(포도 도), 狀(형상 상), 球(공 구), 菌(버섯 균)

공 모양의 세포가 불규칙하게 모여서 포도송이처럼 된 세균. 널리 분포하여 연쇄상 구균과 더불어 고름증의 병원(病原)이 된다.

35. 항균 (抗菌) [항:균]

한자: 抗(겨룰 항:), 菌(버섯 균)

균에 저항함.

용례:

항균 작용.

36. 항산균 (抗酸菌) [항:산균]

한자: 抗(겨룰 항:), 酸(실[味覺] 산), 菌(버섯 균)

아닐린 색소에 염색되기 힘드나 일단 염색되면 광산(鑛酸)으로 처리하여도 탈색되지 아니하는 세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 결핵균, 나병균 따위가 있다.

37. 효모균 (酵母菌) [효:모균]

한자: 酵(삭힐 효:), 母(어미 모:), 菌(버섯 균)

자낭균류에 속하는 균류. 엽록소가 없는 단세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형의 균류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균류이다. 대개 출아(出芽)에 의하여 번식하며 내생 포자 생성법에 의한 것도 있다. 식품 제조 시 발효와 부풀리기에 이용하며 주로 술이나 빵을 만드는 데 많이 쓴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