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鬼 귀신 귀:

1. 객귀 (客鬼) [객뀌]

한자: 客(손 객), 鬼(귀신 귀:)

「1」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혼령.
「2」떠돌아다니는 귀신.

용례:

  • 「1」징용으로 끌려간 사람들은 대부분 황량한 산천의 객귀가 되었다.
  • 「1」자기 땅에서 죽은 사람을 잘못 대접하면 객귀가 범한다고, 논밭 주인이면 논밭 주인, 논밭이 아니면 그 동네 사람들이 묻어 주는 법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 「2」오다가다 우연히 잠깐 걸린 귀신은 객귀 혹은 잡귀라 하여 간단한 푸닥거리로 몰아내면 그만이지만….≪김동리, 을화≫

2. 걸귀 (乞鬼) [걸귀]

한자: 乞(빌 걸), 鬼(귀신 귀:)

「1」새끼를 낳은 암퇘지.
「2」식욕이 매우 왕성하고, 음식을 지나치게 탐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듣자 하니 배 주리고 살진 않았겠는데 어찌 그리 걸귀처럼 구나?≪박완서, 미망≫

3. 괴귀 (怪鬼) [괴:귀]

한자: 怪(괴이할 괴(:)), 鬼(귀신 귀:)

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한 잡된 귀신의 하나. 비상한 힘과 재주를 가지고 있어 사람을 홀리기도 하고 짓궂은 장난이나 심술궂은 짓을 많이 한다고 한다.

4. 궁귀 (窮鬼) [궁귀]

한자: 窮(다할/궁할 궁), 鬼(귀신 귀:)

「1」궁한 귀신.
「2」곤궁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덕달귀 (덕달鬼) [덕딸귀]

한자: 鬼(귀신 귀:)

낡은 집에 붙어 있다는 귀신.

6. 마귀 (魔鬼) [마귀]

한자: 魔(마귀 마), 鬼(귀신 귀:)

「1」요사스럽고 못된 잡귀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적대자라는 뜻으로, 하나님과 대립하여 존재하는 악(惡)을 인격화하여 이르는 말.

용례:

  • 「1」마귀를 쫓다.
  • 「1」마귀가 들리다.

7. 매귀 (埋鬼) [매귀]

한자: 埋(묻을 매), 鬼(귀신 귀:)

주로 농촌에서 하는 민속 행사의 하나. 음력 정월 초승에 풍물패가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돈 다음 집집마다 들어가 악귀를 쫓고 복을 빈다.

8. 명귀 (冥鬼) [명귀]

한자: 冥(어두울 명), 鬼(귀신 귀:)

저승에 있다고 하는 귀신.

9. 몽달귀 (몽달鬼) [몽달귀]

한자: 鬼(귀신 귀:)

총각이 죽어서 된 귀신.

용례:

몽달귀가 붙은 아들과는 같은 상에 밥을 먹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모양이었다.≪김동리, 을화≫

10. 무자귀 (無子鬼) [무자귀]

한자: 無(없을 무), 子(아들 자), 鬼(귀신 귀:)

자손을 두지 못한 사람이 죽어서 된다는 귀신. 원귀(冤鬼)로서, 사람에게 해를 끼친다.

11. 뭇아귀 (뭇餓鬼) [무다귀]

한자: 餓(주릴 아:), 鬼(귀신 귀:)

먹지 못하여 늘 굶주린다고 하는 여러 귀신.

12. 미명귀 (未命鬼) [미:명귀]

한자: 未(아닐 미(:)), 命(목숨 명:), 鬼(귀신 귀:)

시집가 젊어서 죽은 여자 귀신. 자기 남편의 후처에게 붙어서 병을 앓게 하거나 괴롭힌다고 한다.

용례:

정체를 대중하기 어려웠으나, 미명귀가 떠돈다는 소문도 없던 터여서 미신을 근거하여 파악할 순 없을 게 분명했다.≪이문구, 장한몽≫

13. 백귀 (百鬼) [백뀌]

한자: 百(일백 백), 鬼(귀신 귀:)

온갖 잡귀.

14. 병귀 (病鬼) [병:귀]

한자: 病(병 병:), 鬼(귀신 귀:)

「1」‘병’(病)을 악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임신 초기에 나타나는 심한 입덧.

15. 부귀 (浮鬼) [부귀]

한자: 浮(뜰 부), 鬼(귀신 귀:)

떠돌아다니는 못된 귀신.

16. 사귀 (邪鬼) [사귀]

한자: 邪(간사할 사), 鬼(귀신 귀:)

요사스러운 귀신.

17. 살인귀 (殺人鬼) [사린귀]

한자: 殺(죽일 살 | 감할/빠를 쇄:), 人(사람 인), 鬼(귀신 귀:)

함부로 사람을 죽이는 악한 사람을 귀신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례:

자네는 살인귀처럼 왜 만나는 족족 죽이려고만 들어?≪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18. 수귀 (水鬼) [수귀]

한자: 水(물 수), 鬼(귀신 귀:)

「1」물속에 있다는 귀신.
「2」항해 중에 보인다는 괴물.

19. 수사귀 (水死鬼) [수사귀]

한자: 水(물 수), 死(죽을 사:), 鬼(귀신 귀:)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귀신.

20. 식인귀 (食人鬼) [시긴귀]

한자: 食(밥/먹을 식), 人(사람 인), 鬼(귀신 귀:)

사람을 잡아먹는 귀신.

21. 신귀 (神鬼) [신귀]

한자: 神(귀신 신), 鬼(귀신 귀:)

「1」사람이 죽은 뒤에 남는다는 넋.
「2」사람에게 화(禍)와 복(福)을 내려 준다는 신령(神靈).

22. 아귀 (餓鬼) [아:귀]

한자: 餓(주릴 아:), 鬼(귀신 귀:)

「1」팔부의 하나. 계율을 어기거나 탐욕을 부려 아귀도에 떨어진 귀신으로,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배가 엄청나게 큰데, 목구멍이 바늘구멍 같아서 음식을 먹을 수 없어 늘 굶주림으로 괴로워한다고 한다.
「2」염치없이 먹을 것을 탐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성질이 사납고 지독히 탐욕스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3」인민군들은 그 언덕을 빼앗으려고 온갖 악을 다 썼었다. 마지막에는 서로 총 끝에 칼을 꽂고 아귀들처럼 맞부딪치기까지 했었다.≪하근찬, 붉은 언덕≫

23. 악귀 (惡鬼) [악뀌]

한자: 惡(악할 악 | 미워할 오), 鬼(귀신 귀:)

「1」몹쓸 귀신.
「2」악독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 「1」악귀를 쫓다.
  • 「1」악귀가 붙다.
  • 「1」판개의 아내 금산댁이 석화를 따러 가서 죽은 것은 악귀가 된 판개의 넋 때문일 것이라고 했다.≪한승원, 해일≫
  • 「2」행복한 아내가 되든 잔인한 복수의 악귀가 되든 둘 중에 하나는 됐어야 했어요.≪이문열, 영웅시대≫

24. 암귀 (暗鬼) [암:귀]

한자: 暗(어두울 암:), 鬼(귀신 귀:)

「1」어둠을 지배하는 귀신.
「2」망상에서 오는 공포.

용례:

「2」이가환은 암귀와 싸우고 있는 자신에게 정나미가 떨어질 지경이었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25. 액귀 (厄鬼) [액뀌]

한자: 厄(액 액), 鬼(귀신 귀:)

모질고 사나운 운수를 몰아오는 귀신.

용례:

  • 액귀를 쫓아내다.
  • 이 집에 무슨 액귀가 붙었나 안 좋은 일이 연이어 일어나네.

26. 업귀 (業鬼) [업뀌]

한자: 業(업 업), 鬼(귀신 귀:)

괴로움을 가져오며 정도(正道)를 가지 못하게 하고 깨달음을 방해하는 악업을 악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7. 여귀 (女鬼) [여귀]

한자: 女(계집 녀), 鬼(귀신 귀:)

여자 귀신.

28. 여귀 (厲鬼) [여:귀]

한자: 厲(엄할/숫돌 려:), 鬼(귀신 귀:)

「1」제사를 받지 못하는 귀신.
「2」못된 돌림병으로 죽은 사람의 귀신.

29. 역귀 (疫鬼) [역뀌]

한자: 疫(전염병 역), 鬼(귀신 귀:)

역병을 일으킨다는 귀신.

용례:

역귀를 쫓다.

30. 영귀 (靈鬼) [영귀]

한자: 靈(신령 령), 鬼(귀신 귀:)

신령스럽거나 괴이한 귀신.

31. 온귀 (瘟鬼) [온귀]

한자: 瘟(염병 온), 鬼(귀신 귀:)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32. 왜귀 (倭鬼) [왜귀]

한자: 倭(왜나라 왜), 鬼(귀신 귀:)

일본 귀신이라는 뜻으로, 일본 제국주의를 낮잡아 이르던 말.

용례:

국공(國共)이 합작해서 왜귀를 치는데 싫고 좋고 따질 것 없어요.≪박경리, 토지≫

33. 요귀 (妖鬼) [요귀]

한자: 妖(요사할 요), 鬼(귀신 귀:)

요망하고 간사스러운 마귀.

용례:

더러 먼빛으로만 보아 왔던 짐정댁을 처음으로 마주 대한 함안댁은 마치 요귀를 보는 듯이 머리끝이 쭈뼛쭈뼛해 왔다.≪김춘복, 쌈짓골≫

34. 우귀 (牛鬼) [우귀]

한자: 牛(소 우), 鬼(귀신 귀:)

소 모양을 한 귀신.

35. 원귀 (冤鬼) [원:귀]

한자: 冤(원통할 원(:)), 鬼(귀신 귀:)

원통하게 죽어 한을 품고 있는 귀신.

용례:

  • 원귀가 씌다.
  • 원귀를 달래기 위하여 위령제를 지냈다.
  • 돈복이 없이 못사는 것, 내가 자주 앓는 것, 아이들이 상급 학교 시험에 떨어지는 것까지 곱게 못 죽은 원귀의 탓으로 돌리는 눈치였고….≪박완서, 부처님 근처≫

36. 은형귀 (隱形鬼) [은형귀]

한자: 隱(숨을 은), 形(모양 형), 鬼(귀신 귀:)

몸을 숨기고 여러 가지 재난을 일으키는 못된 귀신.

37. 음귀 (陰鬼) [음귀]

한자: 陰(그늘 음), 鬼(귀신 귀:)

죽은 사람의 영혼.

38. 인귀 (人鬼) [인귀]

한자: 人(사람 인), 鬼(귀신 귀:)

「1」사람과 귀신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
「3」몹시 잔인하고 추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9. 잡귀 (雜鬼) [잡뀌]

한자: 雜(섞일 잡), 鬼(귀신 귀:)

「1」잡스러운 모든 귀신.
「2」사람을 괴롭히는 잡생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잡귀를 쫓다.
  • 「1」잡귀가 붙다.
  • 「1」오다가다 우연히 잠깐 걸린 귀신은 객귀 혹은 잡귀라 하여 간단한 푸닥거리로 몰아내면 그만이지만….≪김동리, 을화≫

40. 적귀 (赤鬼) [적뀌]

한자: 赤(붉을 적), 鬼(귀신 귀:)

「1」지옥 옥졸의 하나로, 살갗이 붉은 귀신.
「2」‘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를 신봉하는 공산주의자들로 구성된 정당.)을 낮잡아 이르는 말.

41. 정귀 (精鬼) [정귀]

한자: 精(정할 정), 鬼(귀신 귀:)

「1」죽은 사람의 혼령.
「2」무속에서, 정신병을 일으키게 한다는 악귀.

42. 창귀 (倀鬼) [창귀]

한자: 倀(미칠 창), 鬼(귀신 귀:)

「1」먹을 것이 있는 곳으로 범을 인도한다는 나쁜 귀신.
「2」남을 못된 짓을 하도록 인도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권세의 사주 아래 저런 창귀가 기식할 수 있다는 것이 개탄할 일입니다.≪김주영, 객주≫
  • 「2」그들이 비록 왜의 수족이 되어서 창귀 노릇을 한다 하더라도 역시 마음의 한구석에는 한인 혼이 남아 있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하였다.≪김구, 백범일지≫

43. 채귀 (債鬼) [채:귀]

한자: 債(빚 채:), 鬼(귀신 귀:)

악착같이 이자를 받고 빚 갚기를 몹시 졸라 대는 빚쟁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채귀의 빚 독촉.
  • 채귀에 쫓기는 신세.
  • 기다리는 것은 앙칼지고 허욕에 가득 찬 아내 얼굴과 채귀뿐인 것이다.≪박경리, 토지≫

44. 축귀 (逐鬼) [축뀌]

한자: 逐(쫓을 축), 鬼(귀신 귀:)

잡귀를 쫓음.

용례:

정만조는 동헌을 한 바퀴 돌며 여기저기서 구성진 축귀 사설을 목청껏 소리치고 나서 변소를 돌아 곳간 앞으로 갔다.≪송기숙, 녹두 장군≫

45. 측귀 (廁鬼) [측뀌]

한자: 廁(뒷간 측), 鬼(귀신 귀:)

뒷간을 맡아 지킨다는 여신.

46. 퇴귀 (退鬼) [퇴:귀]

한자: 退(물러날 퇴:), 鬼(귀신 귀:)

민간 신앙에서, 굿을 하여 재앙을 일으키는 귀신을 물리침. 또는 그런 일.

47. 한귀 (旱鬼) [한:귀]

한자: 旱(가물 한:), 鬼(귀신 귀:)

가뭄을 맡고 있다고 하는 귀신.

48. 해귀 (海鬼) [해:귀]

한자: 海(바다 해:), 鬼(귀신 귀:)

「1」‘보자기’(바닷속에 들어가서 조개, 미역 따위의 해산물을 따는 일을 하는 사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바다에서 산다는 귀신.

49. 화귀 (花鬼) [화귀]

한자: 花(꽃 화), 鬼(귀신 귀:)

어린아이가 죽어서 된 귀신.

50. 흡혈귀 (吸血鬼) [흐펼귀]

한자: 吸(마실 흡), 血(피 혈), 鬼(귀신 귀:)

「1」밤중에 무덤에서 나와 사람의 피를 빨아 먹는다는 전설상의 귀신.
「2」다른 사람을 착취하거나 몹시 괴롭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네가 흡혈귀라도 나는 너를 사랑한단 말이야. 네가 내 피를, 마지막 한 방울의 피까지를 빨아 먹는 흡혈귀라 하더라도 나는 목숨이 끊어지는 그 마지막 순간까지 너를 싫어하지 않는단 말이야.≪유주현, 하오의 연가≫
  • 「2」그 악덕 사장은 흡혈귀처럼 사람들의 노동력을 착취했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