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里 마을 리:

1. 고리 (故里) [고:리]

한자: 故(연고 고(:)), 里(마을 리:)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용례:

안 계시는 부모 생각과 목가적인 고리에 대한 애달픈 향수에 얽혀….≪김진섭, 인생 예찬≫

2. 구리 (九里) [구리]

한자: 九(아홉 구), 里(마을 리:)

경기도에 있는 시. 1986년에 경기도 남양주군 구리읍이 승격하여 이루어진 도시이다. 명승지로 동구릉 따위가 있다. 면적은 33.29㎢.

3. 구만리 (九萬里) [구말리]

한자: 九(아홉 구), 萬(일만 만:), 里(마을 리:)

아득하게 먼 거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구만리 창공을 나는 새.
  • 잠은 구만리 밖으로 달아난 듯 세상 온갖 잡사가 모두 뒤섞여 생각나는 것이었다.≪주요섭, 미완성≫

4. 동리 (洞里) [동:니]

한자: 洞(골 동: | 밝을 통:), 里(마을 리:)

「1」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2」지방 행정 구역의 최소 구획인 동(洞)과 이(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얼어붙은 개울물에서 동리 꼬마들이 썰매를 타고 있었다.
  • 「1」도무지 풍기가 문란해서 커 가는 아이들에게 여간 큰 영향이 아니올시다. 이대로 가다가는 동리가 망하지 않겠어요?≪이기영, 서화≫

5. 몽두리 (蒙頭里) [몽두리]

한자: 蒙(어두울 몽), 頭(머리 두), 里(마을 리:)

「1」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기녀가 춤출 때에 입던 옷. 보통 초록색 두루마기와 비슷한데, 어깨와 가슴에 수를 놓고 붉은 띠를 매었다.
「2」여자가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쓰던 것.

용례:

「2」왕자 부인과 나인에게는 얼굴에 몽두리를 씌우게 하여 일본 군사들에게 여자들의 얼굴을 보지 못하게 하고….≪박종화, 임진왜란≫

6. 방리 (方里) [방니]

한자: 方(모[棱] 방), 里(마을 리:)

사방으로 일 리(里)가 되는 넓이.

용례:

  • 십 방리.
  • 홍콩은 광둥에서 멀지 아니한 섬인데 주위가 삼십 리요, 면적이 사십 방리로 항구가 넓고 물이 깊어서 수천 척의 배를 용납하는데 세계의 유명한 항구였다.≪한용운, 흑풍≫

7. 방리 (坊里) [방니]

한자: 坊(동네 방), 里(마을 리:)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용례:

백성들이 입성 못하게 엄중히 단속하게 하고 방리마다 효유문을 게시하도록 하는 등, 백방으로 엄금했으나….≪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8. 삼동리 (三洞里) [삼동니]

한자: 三(석 삼), 洞(골 동: | 밝을 통:), 里(마을 리:)

양옆과 앞에 이웃하여 있는 가까운 동네.

용례:

그 소문은 어느새 삼동리에 다 퍼졌다.

9. 삼천리 (三千里) [삼철리]

한자: 三(석 삼), 千(일천 천), 里(마을 리:)

함경북도의 북쪽 끝에서 제주도의 남쪽 끝까지 삼천 리 정도 된다고 하여, 우리나라 전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삼천리를 유람하다.
  • 그 지긋지긋한 전쟁도 끝나고 해방의 기쁨이 삼천리 전역에 넘치게 되었다.≪전영택, 소≫
  • 삼천리 방방곡곡에 자유의 종소리가 울려 퍼져서, 너도 나도 자유를 찾는 마당 아닙니까.≪최일남, 거룩한 응달≫

10. 상리 (上里) [상:니]

한자: 上(윗 상:), 里(마을 리:)

위쪽에 있는 마을. 다른 마을의 위쪽이나 지대가 높은 곳을 이른다.

용례:

상리로 올라가는 논밭 둑에는 기와 조각과 돌 주추가 군데군데 덤불을 이루어 있는 것을 보면….≪이기영, 고향≫

11. 읍리 (邑里) [음니]

한자: 邑(고을 읍), 里(마을 리:)

「1」읍과 촌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읍내에 속한 이(里).

12. 이리 (裡里) [이:리]

한자: 裡(속 리:), 里(마을 리:)

전라북도에 있던 시. 1995년 5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익산군과 합쳐져 익산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13. 인리 (鄰里) [일리]

한자: 鄰(이웃 린), 里(마을 리:)

이웃 마을.

용례:

  • 시식으로 팥죽 쑤어 인리와 즐기리라 새 책력 반포하니 내년 절후 어떠한고….≪최명희, 혼불≫
  • 인리 제인이며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김동인, 배따라기≫

14. 일리 (一里) [일리]

한자: 一(한 일), 里(마을 리:)

한 마을의 전체. 또는 온 동네.

용례:

이번 홍수로 인하여 일리가 모두 물에 잠겼다.

15. 전리 (田里) [절리]

한자: 田(밭 전), 里(마을 리:)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용례:

벼슬하지 않고 전리에 물러날 계책만을 하니….≪번역 중종실록≫

16. 천만리 (千萬里) [천말리]

한자: 千(일천 천), 萬(일만 만:), 里(마을 리:)

멀기가 천 리 또는 만 리나 된다는 뜻으로, 아주 먼 거리를 이르는 말.

용례:

자네가 집을 버려두고 천만리 머나먼 이 섬에 나를 따라온 지 어언간 4년, 그동안에 부친상을 당해도 모르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7. 청산가리 (靑酸加里) [청산가리]

한자: 靑(푸를 청), 酸(실[味覺] 산), 加(더할 가), 里(마을 리:)

‘사이안화 칼륨’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청산 칼리’의 음역어이다.

용례:

  • 그까짓 연탄가스를 기다릴 거 없이 소주에 청산가리를 타 마실까 하는 생각까지 들어.≪박완서, 지렁이 울음소리≫
  • 애를 죽이기 위해서라면 청산가리라도 먹을 거야. 독약도 먹고 쥐약도 먹을 거야. 이 새낀 내 새끼가 아냐.≪최인호, 두레박을 올려라≫

18. 촌리 (村里) [촐:리]

한자: 村(마을 촌:), 里(마을 리:)

「1」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
「2」시골의 작은 마을.

용례:

  • 「1」의병이 각 촌리로 출몰하며 군기와 군량을 거두고 도당을 모집하여 각 면장에게 맡기고 타처로 가다가….≪대한매일신보≫
  • 「2」위선 시가를 떠나 촌리로 나와서 별장 이전의 상지(祥地)를 복(卜)하려고 이 산 저 산으로 헤매었다.≪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19. 타리 (他里) [타리]

한자: 他(다를 타), 里(마을 리:)

자기가 사는 동리 이외의 동리.

용례:

우리 동네에서 못 보던 얼굴인데 타리에서 왔나 보다.

20. 해리 (海里) [해:리]

한자: 海(바다 해:), 里(마을 리:)

거리의 단위. 바다 위나 공중에서 긴 거리를 나타낼 때 쓴다. 1해리는 1,852미터에 해당하나 나라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배의 속도를 표시할 때는 시속 1해리를 1노트(knot)로 한다. 기호는 n mile.

용례:

  • 2백 해리 경제 수역.
  • 눈어림으로 동북쪽 네댓 해리 떨어진 곳에서도, 그리고 남동쪽 서너 해리쯤의 해상에서도 불야성처럼 휘황한 전등을 밝힌 오징어잡이 선단이 진을 치고 있었다.≪박해준, 이산 별곡≫

21. 향리 (鄕里) [향니]

한자: 鄕(시골 향), 里(마을 리:)

「1」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2」시골의 마을.

용례:

  • 「1」향리에 있는 가족.
  • 「1」고인의 유해가 향리에 묻히다.
  • 「1」그는 그때에 육군 정령의 군직을 버리고 그의 향리인 풍천에서 교육에 종사하고 있었는데….≪김구, 백범일지≫
  • 「2」되레 잘못 기병하였다가는 애잔한 향리의 백성들한테 누만 끼치게 될 것이 뻔하지 않은가.≪문순태, 피아골≫
  • 「2」집안 간과 일가친척은 물론이요, 향리 전체를 잘 선도하여 바르게 이끌고자 했던….≪최명희, 혼불≫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