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숙박부 (宿泊簿) [숙빡뿌]
한자: 宿(잘 숙), 泊(머무를/배댈 박), 簿(문서 부:)
여관이나 호텔 따위에서 숙박인의 성명, 주소, 행선지 따위를 적는 장부.
용례:
숙박부를 작성하다.
47. 시굴원부 (試掘原簿) [시:구뤈부]
한자: 試(시험 시(:)), 掘(팔 굴), 原(언덕 원), 簿(문서 부:)
광물을 시험적으로 캐내는 일에 관한 사항을 등록한 광업 원부.
48. 신탁원부 (信託原簿) [신:타권부]
한자: 信(믿을 신:), 託(부탁할 탁), 原(언덕 원), 簿(문서 부:)
신탁 등기를 신청할 때 신청서에 붙이는 서류. 위탁자, 수탁자, 수익자와 신탁 관리인의 이름, 주소, 신탁의 목적, 신탁 재산의 관리 방법 따위를 기록한다.
49. 약계주부 (藥契主簿) [약꼐주부]
한자: 藥(약 약), 契(맺을 계:), 主(임금/주인 주), 簿(문서 부:)
약국을 내고 한약을 지어 파는 사람.(약주부)
50. 외출부 (外出簿) [외:출부]
한자: 外(바깥 외:), 出(날[生] 출), 簿(문서 부:)
직장에서 외출한 사항을 기록하는 장부.
51. 우부 (牛簿) [우부]
한자: 牛(소 우), 簿(문서 부:)
소를 가진 사람들의 이름을 기재한 장부.
용례:
삼읍 수령들의 문갑 속에는 으레 소를 가진 사람들의 이름을 기재한 우부라는 장부가 있어 그 순서에 따라 한 마리씩 끌어다 도살하여 주육이 낭자한 성찬을 즐겼으니….≪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52. 원부 (原簿) [원부]
한자: 原(언덕 원), 簿(문서 부:)
고쳐 만들거나 베끼기 전의 본디의 장부.
53. 원수치부 (怨讐置簿) [원:수치부]
한자: 怨(원망할 원(:)), 讐(원수 수), 置(둘[措] 치:), 簿(문서 부:)
원수진 것을 오래 기억하여 둠.
용례:
아서라, 오다가다 들을라. 귀먹은 욕도 그만큼 먹였으면 고만이지, 그렇게 원수치부를 할 거야 뭐 있니?≪심훈, 상록수≫
54. 원장부 (元帳簿) [원장부]
한자: 元(으뜸 원), 帳(장막 장), 簿(문서 부:)
「1」고쳐 만들거나 베끼기 전의 본디의 장부.
「2」자산이나 부채, 자본의 상태를 표시하는 모든 계정계좌를 설정하여 분개장에서 분개한 거래를 전부 기록하는 장부.
55. 의발부 (衣鉢簿) [의발부]
한자: 衣(옷 의), 鉢(바리때 발), 簿(문서 부:)
선원에서 쓰는 금전 출납부.
56. 의장원부 (意匠原簿) [의:장원부]
한자: 意(뜻 의:), 匠(장인 장), 原(언덕 원), 簿(문서 부:)
의장권 및 의장 실시권 또는 이를 목적으로 하는 질권(質權)의 설정이나 보존, 이전, 변경, 소멸, 처분의 제한, 기타 법령에 정한 사항을 기록하여 특허청에 비치하여 둔 원부.
57. 이중장부 (二重帳簿) [이:중장부]
한자: 二(두 이:), 重(무거울 중:), 帳(장막 장), 簿(문서 부:)
금전의 출납, 거래 따위의 실상을 감추기 위하여 실태를 기입하는 장부 이외에 거짓으로 기입하는 장부를 만드는 일. 또는 그 장부.
58. 인감부 (印鑑簿) [인감부]
한자: 印(도장 인), 鑑(거울 감), 簿(문서 부:)
신고된 인감에 대한 사항을 기록하고 그 인발을 날인하여 보관하는 행정 관서의 대장. 이 대장을 근거로 인감 증명서를 발급한다.
59. 인발부 (印발簿) [인빨부]
한자: 印(도장 인), 簿(문서 부:)
인발을 올려 두고, 인감 증명을 해 주던 기록 대장.
60. 장부 (帳簿) [장부]
한자: 帳(장막 장), 簿(문서 부:)
물건의 출납이나 돈의 수지(收支) 계산을 적어 두는 책.
용례:
- 외상 장부.
- 장부 정리.
- 장부에 기입하다.
- 사무실 가운데서 오빠하고 경리 주임이 장부와 문서를 쌓아 놓고 수판질을 하고 있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61. 재단등기부 (財團登記簿) [재단등기부]
한자: 財(재물 재), 團(둥글 단),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공장 재단이나 광업 재단 따위의 부동산 재단에 관한 소유권이나 저당권을 공시하기 위하여 등기소에 비치하는 등기부.
62. 전화번호부 (電話番號簿) [전:화번호부]
한자: 電(번개 전:), 話(말씀 화), 番(차례 번), 號(이름 호(:)), 簿(문서 부:)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성명이나 상호 및 주소 따위와 함께 적어 놓은 책.
63. 점귀부 (點鬼簿) [점귀부]
한자: 點(점 점(:)), 鬼(귀신 귀:), 簿(문서 부:)
「1」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장부.
「2」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다가 지은 시문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형(楊炯)이 시문 가운데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 넣은 것을
세인이 논평한 데서 유래한다.
64. 접수부 (接受簿) [접쑤부]
한자: 接(이을 접), 受(받을 수(:)), 簿(문서 부:)
접수한 사실이나 건수를 기록하는 장부.
용례:
나는 접수부에 적힌 환자의 이름이 거짓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이청준, 소문의 벽≫
65. 제적부 (除籍簿) [제적뿌]
한자: 除(덜 제), 籍(문서 적), 簿(문서 부:)
학적, 당적 따위에서 제적한 사람을 따로 적어 두거나 묶어 두는 장부.
66. 주부 (主簿) [주부]
한자: 主(임금/주인 주), 簿(문서 부:)
한약방을 차린 사람.
67. 주요장부 (主要帳簿) [주요장부]
한자: 主(임금/주인 주), 要(요긴할 요(:)), 帳(장막 장), 簿(문서 부:)
부기(簿記)의 모든 계정을 포함하는 장부. 분개장(分介帳)과 원장(元帳)이 있다.(주요부)
68. 주주명부 (株主名簿) [주주명부]
한자: 株(그루 주), 主(임금/주인 주), 名(이름 명), 簿(문서 부:)
주주의 이름이나 주권(株券)에 대한 일정한 사항을 밝히기 위하여 이사가 작성하여 본점 및 명의 변경 대리인의 영업소에 비치하여 두는 장부.
69. 지적공부 (地籍公簿) [지적공부]
한자: 地(따 지), 籍(문서 적), 公(공평할 공), 簿(문서 부:)
지적(地籍)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작성된 토지 대장, 임야 대장, 지적도, 임야도, 수치 지적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소관청에서 보관·관리한다.
70. 지적부 (地籍簿) [지적뿌]
한자: 地(따 지), 籍(문서 적), 簿(문서 부:)
토지에 관한 장부. 토지의 소재, 지번(地番), 지목(地目), 면적, 소유자의 주소와 성명, 지상권자의 주소와 성명 따위를 기재한다.
71. 지출부 (支出簿) [지출부]
한자: 支(지탱할 지), 出(날[生] 출), 簿(문서 부:)
지출의 내용이나 날짜, 수량 따위를 적는 장부.
72. 진료부 (診療簿) [질:료부]
한자: 診(진찰할 진), 療(병고칠 료), 簿(문서 부:)
환자의 신상과 병명, 증상, 병력, 치료 경과 따위를 적어 일정 기간 보존하는 장부.
용례:
의사는 진료부를 살펴보며 간호사에게 처방전을 적어 주었다.
73. 차계부 (車計簿) [차계부]
한자: 車(수레 차), 計(셀 계:), 簿(문서 부:)
자동차의 운행에 소요되는 지출 경비를 적은 장부.
74. 출근부 (出勤簿) [출근부]
한자: 出(날[生] 출), 勤(부지런할 근(:)), 簿(문서 부:)
출결근, 지각, 조퇴 또는 출장 따위의 출근 상황을 표시하는 장부.
용례:
- 출근부에 도장을 찍다.
- 출근부에 지참이라는 표시가 기록되었다.
75. 출납부 (出納簿) [출랍뿌]
한자: 出(날[生] 출), 納(들일 납), 簿(문서 부:)
돈이나 물품을 내어주거나 받아들인 것을 적는 장부.
용례:
다른 한 권은 염색 공장 전용이었고, 또 한 권은 정미소와 전답의 운용에 따른 입출금을 적은 출납부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76. 출석부 (出席簿) [출썩뿌]
한자: 出(날[生] 출), 席(자리 석), 簿(문서 부:)
출석 상황을 적는 장부.
용례:
선생들은 자기 반 출석부를 챙겨 들고 속속 교무실을 빠져나갔다.≪김원일, 불의 제전≫
77. 치부 (置簿) [치:부]
한자: 置(둘[措] 치:), 簿(문서 부:)
「1」금전이나 물건 따위가 들어오고 나감을 기록함. 또는 그런 장부.
「2」마음속으로 그러하다고 보거나 여김.
용례:
- 「1」그날 벌이의 치부가 끝나자 그들은 어김없이 아침에 들렀던 객주 거리 주막에 들러 국밥 한 그릇씩과 막걸리 한 사발씩을 마시고 길을 재촉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1」그는 치부책에 치부를 할 만한 글밖에 몰랐다.≪이광수, 흙≫
- 「1」나 역시 글이 짧아 평생 써 본 게 치부와 어음이 다라, 명필을 남기려는 게 아니니 괘념 말고 빌려주시오.≪박완서, 미망≫
- 「2」사람들이 그를 미친 사람 치부를 하고 지낼 정도로 그는 괴팍했다.
78. 토지등기부 (土地登記簿) [토지등기부]
한자: 土(흙 토), 地(따 지),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부동산 등기부의 하나로, 토지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는 공적 장부. 등기소에 비치한다.
79. 통신부 (通信簿) [통신부]
한자: 通(통할 통), 信(믿을 신:), 簿(문서 부:)
‘생활 통지표’(학교에서 학생의 지능, 생활 태도, 학업 성적, 출석 상태 따위를 기재하여 가정에 보내는 표.)의 전 용어.
용례:
오늘이 통신부 주는 날이니 봉희의 성적이 좋지 못하여 보증인을 불러다가 주의를 시키는 반갑지 않은 일로 왔다.≪염상섭, 모란꽃 필 때≫
80. 통지부 (通知簿) [통지부]
한자: 通(통할 통), 知(알 지), 簿(문서 부:)
학교에서 학생의 지능, 생활 태도, 학업 성적, 출석 상태 따위를 기재하여 가정에 보내는 표.
용례:
학기 말마다 가져오는 성적 통지부를 들고 고민해야 하는 때가 괴로운 기억으로 남아 있었으나….≪최인훈, 회색인≫
81. 특허원부 (特許原簿) [트커원부]
한자: 特(특별할 특), 許(허락할 허), 原(언덕 원), 簿(문서 부:)
특허청에서 특허권의 설정, 변경, 소멸, 이전에 관한 사항을 등록하는 장부.
82. 필적부 (筆跡簿) [필쩍뿌]
한자: 筆(붓 필), 跡(발자취 적), 簿(문서 부:)
여러 사람의 필적을 모아서 엮어 놓은 장부.
83. 학교생활기록부 (學校生活記錄簿) [학꾜생활기록뿌]
한자: 學(배울 학), 校(학교 교:), 生(날 생), 活(살 활), 記(기록할 기), 錄(기록할 록), 簿(문서 부:)
학생의 인적, 학적, 학업 성취도, 행동 특성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장부.
용례:
선생님은 학교생활 기록부에 동아리 활동 내역을 자세히 적었다.
84. 학령부 (學齡簿) [항녕부]
한자: 學(배울 학), 齡(나이 령), 簿(문서 부:)
관할 안의 학령 아동에 관한 장부. 시·읍·면장이 작성한다.
85. 학생부 (學生簿) [학쌩부]
한자: 學(배울 학), 生(날 생), 簿(문서 부:)
‘학교생활 기록부’(학생의 인적, 학적, 학업 성취도, 행동 특성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장부.)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선생님께서 동아리 활동 내용을 학생부에 기재하셨다.
-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학생부의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니 3년이라는 시간이 새삼 짧게 느껴졌다.
86. 학적부 (學籍簿) [학쩍뿌]
한자: 學(배울 학), 籍(문서 적), 簿(문서 부:)
학생의 학적을 기록한 장부.
87. 해원명부 (海員名簿) [해:원명부]
한자: 海(바다 해:), 員(인원 원), 名(이름 명), 簿(문서 부:)
특정 배에서 승무 중인 모든 승선원의 이름과 고용 계약의 내용을 기재한 명부.
88. 현금출납부 (現金出納簿) [현:금출랍뿌]
한자: 現(나타날 현:), 金(쇠 금), 出(날[生] 출), 納(들일 납), 簿(문서 부:)
돈이 나가고 들어오는 것을 적는 장부.
용례:
아무튼 현금 출납부 하나 없는 단체가 계산 착오로 문예 진흥 기금을 미리 문예 진흥을 위해 유용하게 썼다고 해서….≪김원우, 짐승의 시간≫
89. 호적부 (戶籍簿) [호:적뿌]
한자: 戶(집 호:), 籍(문서 적), 簿(문서 부:)
예전에, 호적을 번지수에 따라 차례로 철하여 놓던 장부.
용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그는 본적지의 호적부에는 일체의 공식 기록이 백지인 채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90. 회계장부 (會計帳簿) [회:계장부]
한자: 會(모일 회:), 計(셀 계:), 帳(장막 장), 簿(문서 부:)
회계 관련 자료를 기록하고 계산하는 장부.(회계부)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簿 문서 부: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